$\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심희수 초상화 채색 안료 분석
Analysis of Pigment on Portraits of Sim Hui-su in Joseon Period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4, 2016년, pp.571 - 578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장연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희수 초상화 2점의 채색 안료에 대한 분석과 현미경 관찰을 통해 채색 안료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비파괴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심희수 초상화에 사용된 안료는 색상에 따라 유사한 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색 안료는 진사/주, 연단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 녹색 안료는 녹염동광, 백색 안료는 연백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사한 형식으로 제작된 17~18세기 조선시대 관복초상화 6점과의 채색 안료를 비교한 결과 제작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적색 안료의 경우 18세기에 제작된 초상화에서 산화철 계통의 안료가 추가적으로 사용된 특징을 보인다. 청색 안료의 차이점은 18세기 초반까지 사용되지 않았던 회청 안료가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초상화에서 확인된 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igments used in two portraits of Sim Hui-su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SEM/EDS), X-ray diffraction(XRD)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from nondestructive analysis. It was estimated that 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존처리 과정에서 안료를 수습하여 현미경으로 안료 입자를 관찰하고 SEM/EDS 및 XRD를 이용하여 성분 및 결정구조를 분석하여 초상화에 사용된 안료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초상화 가운데 심희수 초상화와 유사한 형식인 관복초상화 전신상으로 제작된 초상화의 채색 안료 분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관복초상화에 사용된 안료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17세기에 제작된 심희수(沈喜壽) 초상화 2점의 채색 안료에 대하여 과학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안료를 수습하여 현미경으로 안료 입자를 관찰하고 SEM/EDS 및 XRD를 이용하여 성분 및 결정구조를 분석하여 초상화에 사용된 안료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 초상화는 전신상의 관복초상화로 흉배를 부착한 단령에 사모와 서대를 착용한 전신좌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상화 2점의 채색안료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형식으로 제작된 조선시대 전신상 관복초상화의 채색 안료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에 관복 초상화가 활발하게 제작된 이유는? 초상화는 초상화 주인공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착용한 복장의 성격에 따라 관리의 정복을 입은 관복본(冠服本)과 평상복 차림인 야복본(野服本)으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의 관복 초상화는 관리로서 나라에 봉직한 모습을 전하며 그 자손 및 백성들에게 귀감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활발하게 제작되었다(Lee, 2009). 특히 조선왕조는 개국 초부터 각종 반란이나 내란 및 왜란, 호란을 거칠 때마다 공을 세운 사람을 공신으로 책록하고 공신상을 제작하도록 하였고 이러한 공신상은 현존하는 조선시대 전반기 관복 초상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Lee, 2008).
문화재에 남아있는 안료의 성분 분석은 어떻게 진행되나? 또한 현미경으로 안료 입자를 관찰함으로써 입자상태 및 채색기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Yu and Chang, 2007; Yu and Cheon, 2009). 문화재에 남아있는 안료의 성분 분석은 시료채취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비파괴법으로 진행되며, 분석 환경에 따라 안료의 해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안료 해석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법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17세기 및 18세기 관복 초상화에 사용된 채색 안료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색 계열별로 비교한 결과는? 초상화의 채색 안료는 제작 시기에 따라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적색 계통은 진사/주, 연단, 석황, 산화철, 염료 등이 사용되었다. 진사/주, 연단, 석황은 17, 18세기에 두루 사용되었고 산화철은 18세기에 제작된 초상화 3점에서 확인되고 있다. 청색 계통은 석청, 회청, 염료 등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18세기 초반까지는 주로 석청이 사용되었고 18세기 후반에는 석청 뿐 아니라 회청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녹색 계통은 석록과 녹염동광 안료가 사용되었으며, 17,18세기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다. 농담 변화를 주기 위해 연백을 함께 사용한 경우도 확인되었다. 백색은 17, 18세기 전반에 걸쳐 모두 연백이 사용되었다. 황색 계통은 금, 연백+염료(또는 황단), 석황 등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흑색은 채색 부분에서 특정 원소가 검출되지 않아 모두 먹(탄소)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ng, Y.H., Yu, H.S. and Hwang, Y.J., 2008,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conservation of portrait scroll of 'Jo Gyeong' dated middle of Joseon.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9, 85-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ng, Y.H., Yun, E.Y. and Kim, S.Y., 2014, Scientific study on materials and painting techniques of portrait of Sim Hui-su.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15, 96-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Lee, S.M., 2008, Catalog entries, Joseon Portraits II.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229-230. (in Korean) 

  4. Lee, S.M., 2009,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ortraits in the collec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Joseon Portraits III.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180-195. (in Korean) 

  5. Moon, S.Y., 2009, Pigments applied on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Seoul Museum of History, Seoul, 49-206. (in Korean) 

  6. Yi, Y.H., Yu, H.S., Kim, S.C., Kang, H.T., Jo, Y.T., Aoki, S.G. and Ohbayashi, K.T., 2003,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ntral Asian mural painting(II)-An investigation on the pigments for the mural painting and of the plants used for making the original wall-.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4,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Yu, H.S. and Chang, Y.H., 2007, Pigments analysis in portrait paintings, Joseon Portraits I-Korean paintings and calligraphy of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15, 241-267. (in Korean) 

  8. Yu, H.S. and Chang, Y.H., 2008, Pigments analysis in Portrait paintings, Joseon Portraits II-Korean paintings and calligraphy of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16, 263-301. (in Korean) 

  9. Yu, H.S., Chang, Y.H. and Yun, E.Y., 2009, Pigments analysis in portrait paintings, Joseon portraits III-Korean paintings and calligraphy of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17, 227-275. (in Korean) 

  10. Yu, H.S. and Cheon J.H., 2009, Scientific Analysis of the pigments used on the Aamiram Amit?bha painting in Cheoneunsa temple, Buddhist art of Cheoneunsa temple.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63-70. (in Korean) 

  11. Yu, H.S. and Yun, E.Y., 2015, Analysis of pigments used in Banchados of three Oegyujanggak Uigwe related to funerary rites, Funerary Rites of the Oegyujanggak Uigwe I.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242-28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