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융합 기반 범죄예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성남시 사례 분석을 통해 -
Exploratory Study on Crime Prevention based on Bigdata Convergence - Through Case Studies of Seongnam City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1, 2016년, pp.125 - 133  

최민제 (선문대학교 경영학과) ,  노규성 (선문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뭇지마 범죄' 등 각종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의 범죄 예방 노력과 이에 관한 연구 등에도 불구하고 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다른 접근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막대그래프와 버블차드 및 버블차드를 활용한 시각화와 연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여러 변수와 범죄와의 관계 분석을 위해 성남시, 사이버경찰청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CTV의 수는 범죄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나 보안등의 수는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간대별로, 요일별로 다른 유형의 범죄가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외국인의 증가도 범죄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범죄율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various crimes such as "random killing' crime continue to rise. Despite the government's crime prevention efforts and crime related researches, crime increases and a different approach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alternative for crime prevention by analyzing big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CCTV, 보안등 데이터 등 본 연구에서 분석하기에 적합하게 정리된 데이터가 성남시의 데이터였다는 점도 성남시 범죄 분석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이다. 결국 본 연구는 성남시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성남시의 범죄에 어떠한 패턴이 존재하는지 그 패턴에 의해 어떠한 예방책이 필요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그리고 데이터는 적합하여야 한다. 공공데이터가 활용목적을 이루기 위해 값 자체가 갖춰야 할 품질에 관한 내용이다. 완전성의 세부특성은 완전성, 유효성, 적시성, 일관성이 있다[5].
  • 따라서 본 연구는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범죄예방 수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관련 데이터수집 및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범죄 예방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성남시 3개 구에 방범용 CCTV의 설치 증대를 해결방안으로 제시한다. 또한 범죄 우발지역에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로 CCTV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경기 성남시의 범죄예방에 대해서 성남시 공공데이터, 사이버 경찰청 범죄데이터, 국가 통계포탈(KOS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남시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는 외국인으로 인해 외국인에 의한 범죄도 증가해 우리 사회의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범죄에 관한 성남시만의 데이터가 없어 다른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남시의 외국인 범죄 관련 분석을 하였다. 즉 외국인과 범죄와의 관계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성남시 범죄 증감과 국적 미취득 성남시 거주 외국인의 증감데이터를 사용하였다[1].
  • 김상균의 연구에서는 CCTV 가이드라인 설치 방안과 부정사용에 대한 처벌 강화 방안을 대안으로 내놓았다[21]. 본 연구에서는 성남시 3개 구에 방범용 CCTV의 설치 증대를 해결방안으로 제시한다. 또한 범죄 우발지역에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로 CCTV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범죄예방 수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관련 데이터수집 및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범죄 예방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는 전국적인 범죄 데이터수집 문제, 정제 문제 등의 애로사항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개방데이터가 많고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관리 품질을 가지고 있는 성남시 데이터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하기로 하였다.
  • 이상을 종합해 보면, 범죄의 예방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인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로부터 범죄 예방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표본적인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CCTV 수와 보안등 수가 증가하면 범죄율은 감소할 것이다.
  • 가설 2: 시간대에 따라 범죄율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 가설 3: 외국인의 국내 유입의 증가는 범죄율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 이러한 본 연구의 가설은 기존 연구모형에서 검증된 가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CCTV 및 보안등과 범죄와의 관계는 김상균, 강승영의 연구에서 CCTV와 보안등이 수행하는 주요역할 중 하나가 범죄의 억제와 예방인 것이 증명되어 이를 가설로 구성하였다[21,22]. 둘째, 이윤호 등의 연구에 의하면, 공통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은 동일한 년, 월, 일, 시에 따라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범죄 역시 인간 삶의 한 방식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시간 구성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갖게 될 것이라는 것을 추론된다[20].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가설을 정의한 다음, 이를 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도록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통계적 검정 절차를 거쳐 기각 내지 채택을 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정책적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실험적 가설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가설은 기존 연구모형에서 검증된 가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측적 경찰활동 이란? 미국 법무부 산하 국립사법연구소(NIJ :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는 2009년 11월과 2010년 6월 두 차례에 걸쳐 예측적 경찰활동에 대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예측적 경찰활동이란 “다양한 분석 기법(특히 양적 기법)을 활용하여 경찰개입이 필요한 목표물을 통계적으로 예측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거나 해결하는 제반활동”을 말한다[2]. 이는 2008년 William J.
범죄관련 데이터 분석 범위를 성남시로 한정한 이유는? 본 연구는 연구 범위를 성남시 범죄관련 데이터 분석으로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데이터 확보 문제도 있었지만, 전국 단위로 분석을 하는 것보다는 한 지역을 특정지어서 분석을 하는 것이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CCTV, 보안등 데이터 등 본 연구에서 분석하기에 적합하게 정리된 데이터가 성남시의 데이터였다는 점도 성남시 범죄 분석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이다. 결국 본 연구는 성남시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성남시의 범죄에 어떠한 패턴이 존재하는지 그 패턴에 의해 어떠한 예방책이 필요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적합한 품질을 갖춰야 할 공공데이터에 어떤 문제가 있는가? 공공데이터는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품질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공공데이터 품질 관리와 표준화의 미흡으로 인한 오류데이터 발견 및 활용성 저하 문제가 제기되며, 품질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미흡하다. 그리고 공공데이터는 활용이 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National Policy Agency, http://www.police.go.kr 

  2. Perry, W.L., McInnis, B., Price, C.C., Smith, S.C., & Hollywood, J.S., "Predictive Policing: The Role of Crime Forecasting in Law Enforcement Operations" RAND, pp. 1-2. 2013. 

  3. Perry, W.L., McInnis, B., Price, C.C., Smith, S.C., & Hollywood, J.S., "Predictive Policing: The Role of Crime Forecasting in Law Enforcement Operations" RAND, p. 4, 2013. 

  4.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Article 2, 2013. 

  5. GoEun Park, ChangJae Kim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135-146, 2015. 

  6. Youngmi Kim, "A Study on plan for promoting innova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har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43-49, 2014. 

  7. Steve LaValle, "Big Data, analytics and the path from insights to valu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2013. 

  8. KyooSung Noh, Seong Taek Park, KyungHye Park, "Convergence Study on Big Data Competency Refere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3, pp. 55-63, 2015. 

  9. Youngki Jung, Myunggun Suk, ChangJae Kim,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Big Data through an analysis of introduction effect of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1, pp. 241-248, 2014. 

  10. Soonseok Kim,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pplication in Urban Space Design for Crime Prevention"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10, No. 1, pp. 27-52, 2014. 

  11. JoYong Chul, "A Review on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the Crime Prediction"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1, No. 1, pp. 273-294, 2005. 

  12. Yongeun Sung, Kyungshick Choi, "Empirical Delineation: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Perceived Risk of Victimization, and Perceive"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5, No. 2, pp. 81-121, 2009. 

  13. Sang Hyun Cho, Yang Hyun Kim, "A Study on the Community Policing and the Fear of Crime -Focusing o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reside in South Korea-"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10, No. 2, pp. 83-107, 2014. 

  14. Cheong Ho Seok, "The Renovation Plan for Crime Prevention of Local Police in Korea"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8, No. 2, pp. 99-123, 2012. 

  15. SangJin Park, ChangKeun Kim, "A Study on the Counterplan of the Elder"s Crimes for Old People in an Aging Societies"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5, No. 2, pp. 3-29, 2009. 

  16. DongSoo Park, "Elder"s Crime : The Actual Condition and Countermeasures"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5, No. 1, pp. 43-64, 2009. 

  17. JeongGyu Kim, DongJoon Shin, "Immigrant communities and crime: Issues and Prospects" Korean Society for Social Theory, Vol 39, pp. 113-163, 2011. 

  18. SoonSeok Kim, "A Study on the crime of a multicultural society"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8, No. 2, pp. 3-29, 2010. 

  19. SoonSeok Kim, "A Study on the crime-factor and countermeasure of a multicultural society"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9, No. 1, pp. 5-28, 2013. 

  20. YoonHo Lee, YeanSao Kim, "Weather, the Day of Week, and the Number of Crime: focused on Crime Occurrence in Seoul during the Winter"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6, No. 1, pp. 207-238, 2010. 

  21. SangGyun Kim, "Crime Prevention and Invasion of privacy for Private CCTV Installation"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10, No. 3, pp. 29-47, 2014. 

  22. Seungyeong Gang, "A Study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Making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 Focusing on alleys in the residential area of Busan" master"s a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2014. 

  23. YookSang Jung, "The New Trends of Transnational Crimes & It's Countermeasures" A Study o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journals, Vol 7, No. 1, pp. 155-17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