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Clinical Nurse's Safety Nursing Activ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1, 2016년, pp.469 - 479  

송은정 (충남대학교병원) ,  박연숙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지현순 (충남대학교병원) ,  이혜경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병원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1까지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사후분석Scheffe' test로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30{\pm}.22$점이었고, 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평균 $3.89{\pm}.44$점이었으며,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환자안전간호활동과의 양의 상관관계(r=.364, p=.000)가 나타났다. 또한 안전간호활동에 간호사의 총 경력, 직위, 직속관리자/책임자, 의사소통 절차, 사건보고 빈도가 영향을 받으며, 38.6%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경력자 관리, 조직간 원활한 의사소통, 자발적 사건보고를 할 수 있는 실무지침과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n the perception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y nursing activity with the clinical nurses of the university hospitals as the subject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병원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에 따른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들어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를 다룬 국내연구를 보면 신규간호사[18], 중환자실 간호사[20], 응급실간호사[21, 22], 수술실간호사[23]등 특수 직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양한 직종의 의료인과 병원종사자들이 함께 근무하는 대학병원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정도 및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추후 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정책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안전사고 발생현황은? 최근 각 나라의 병원 내 의료안전사고 발생현황에 의하면 의료안전사건의 발생확률은 입원 당 9.2%, 안전사고 발생환자의 사망확률은 7.4%, 예방가능한 환자안전사고는 43.5%로, 한국의 2010년도 입원건수에 적용해 보면 연간 39,000명이 환자안전사고로 사망하고, 이중 예방 가능한 사망 환자수가 약 17,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 이러한 예방 가능한 환자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원인 중의 하나는 의료서비스가 전문화되고 분업화되면서 여러 의료 종사자들 간 업무 수행시 의사전달 과정에서의 부적절한 의사소통, 책임과 안전의식 등의 저하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2].
전환된 의료기관 평가가 인증제가 가진 한계는? 보건복지부에서 2004년부터 의료기관 평가에서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과 관리기준을 마련하고 평가하였으며, 2010년 의료기관 평가가 인증제로 전환됨에 따라 의료의질 향상과 환자안전을 기본가치 체계로 강조하면서 환자 안전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인증제도가 시행 초기로서 인증 받은 의료기관이 전체 병원급 의료기관의 11.3% 이고, 자율인증의 경우 활동도가 저조한 실정이며 [2], 환자안전사고 발생 시 자발적인 보고 및 이를 통한 의료사고 재발방지가 미흡한 상황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4]. 이러한 환자안전사고 발생 시 보고가 되지 않는 가장 큰 요인으로 오류발생과 보고가 밝혀졌을 때 처벌과 보복, 전문직에 대한 오명을 두려워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5, 6].
예방 가능한 환자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원인 중 하나는? 5%로, 한국의 2010년도 입원건수에 적용해 보면 연간 39,000명이 환자안전사고로 사망하고, 이중 예방 가능한 사망 환자수가 약 17,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 이러한 예방 가능한 환자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원인 중의 하나는 의료서비스가 전문화되고 분업화되면서 여러 의료 종사자들 간 업무 수행시 의사전달 과정에서의 부적절한 의사소통, 책임과 안전의식 등의 저하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2]. 환자안전사고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 L. Le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mechanism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2. J. Y. Kim & E. A. Hwang.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umer Safety in Medical Services-Based on Patient Safety", Korea Consumer Agency. 2014. 

  3. Kohn, L. T., J. M. Corrigan, & M. S. Donaldson.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4. J. Jeong.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 -ement activitie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 The case of nursing divis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6. 

  5. T. K. Lee, E. Y. Kim, & N. H. Ki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1, 35-47, 2014. 

  6. Force, M. V., Deering, L., Hubbe, J., Andersen, M., Hagemann, B., Coorer-Hahn, M., Peters W.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reporting of medication errors in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36, pp. 34-41, 2006. 

  7. J. Y. Moon, "An empirical study of the Strategy Development and Deployment effects on the Hospital Management and Hospital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57-63, 2015. 

  8. E. K. Kim, M. Kang, & H. J. Kim.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321-334, 2007. 

  9. J. E. Kim, M. A. Kim, A. K. Kang, & H. Y. Sung.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3, No. 3, pp. 169-179, 2007. 

  10. S. K. Kim, H. J. Lee, & E. G. Oh.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6, No. 2, pp. 57-67, 2010 

  11. AHRQ.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 2010 User Comparative Database Repot." pp. 1-85, AHRQ publiaton No. 10-0026, march 2010. 

  12. Woodward S, Rondall S, Hoey A & Bishop R. "Seven steps to patient safety: Build a safety culture", NHS, Feburary, pp. 3-5, 2004. 

  13. J. J. Kim, T. J. Kim, S. E. Seo, Y. S. Jung, C. H. Shin, I. S. Kim & H. J. Han. Fundamental of nursing. Seoul: Jung Dam Media, 2006. 

  14. S. Y. Kim, & B. K. Kim. "falls in elderly people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 of Health Policy & Management. 2005. 

  15. Abbott, P. A. "Research in patient safety/error reduction; A nursing perspective", session presented at th Post-conference for 8th International Congress in Nursing Informatons, Rio De Janeiro, Brazil, June, 2003 

  16. J. U. Kim, G. A. Yang, & S. H. Yun. "Korean hospit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patient safety and communication process in recognition of a nurse",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10, pp. 130-135, 2004.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rsing.Care Integrated Services", Press release. http://www.ohw. o. r front_new. 2016. 3. 3. 

  18. S. S. Cho & M. H. Gang.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Entry-level Nurses", Korean Journal Occup Health Nurses Vol. 22, No. 1, pp. 24-34, 2013. 

  19. M. R. Kim.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4l, No. 1, pp. 1-8, 2011. 

  20. J. M. Lee, S. J. Hong, & M. H. Park.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ICU Nurses."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9, No. 11, pp. 273-290, 2013. 

  21. J. E. Lee & E. N. Lee. "Emergency Room Nurses' Recogni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Management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Nursing Vol. 6, No. 1, pp44-56, 2013. 

  22. J. M. Yun, & H. S. Park. "Perception of the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Safety Management by Nurses in Emergency Servic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 Fundam Nurse Vol. 21 No. 4, pp. 380-391, 2014. 

  23. K. H. Lee, Y. S. Lee, H. K. Park, J. O. Rhu & I. S. Byun.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2, pp. 204-214, 2011. 

  24. G. O. Lee.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09. 

  25. Y. J. Lee.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011. 

  26. J. H. Choi, K. M. Lee & M. A. Le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r Safety Care Activities."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 17, No. 1, pp. 64-72, 2010. 

  27. H. Y. Yang.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tal Nurses Toward the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nursing Activity: Focusing on Suncheon reg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cheon University, Suncheon, 2009. 

  28. Y. L. Kim, M. I. Lee & E. Y. Chin. " Convergence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ntrol on Safety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7, pp. 201-211, 2016. 

  29. S. D. Cho, S. E. Heo & D. H. Moon. "A Convergence Study on the Hospital Nurs'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25-136, 2016. 

  30. Fisher ID, Krauss MJ, Dunagan WC. Birge S. Hitcho E, & Johnson S. "Patterns and predictors of inpatient falls and fall-relate injuries in a large academic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Hosp Epidemiology, Vol. 26, No. 10, pp. 822-827, 2005. 

  31. Hendrich AL, Bender PS, & Nyhuis A.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 Applied Nursing Research. Vol. 16, No. 1, pp. 9-21, 2003. 

  32. X. Feng, K. Bobay, & M. Weiss.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a dimensional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3, No. 3, pp. 310-319, 2008. 

  33. S. J. Park.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 A University, Busan,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