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영향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118 - 127  

배한주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은 (김해복음병원) ,  배영희 (김해복음병원) ,  김혜진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조직 의사소통이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K시에 위치한 20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 3곳에서 6개월 이상의 재직기간을 가진 간호사 210명을 편의추출 하였고, 2019년 2월 8일부터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3.60{\pm}.49$,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39{\pm}.41$, 조직 의사소통은 $3.29{\pm}.45$, 환자안전 간호활동은 $4.08{\pm}.50$이였고 환자안전 간호활동은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r=.597, p<.001), 환자안전문화 인식(r=.626, p<.001) 및 조직 의사소통(r=.559, p<.001)간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beta}=.258$, p<.001), 환자안전 문화인식(${\beta}=.323$, p=<.001), 조직 의사소통(${\beta}=.160$, p=.044)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53.067, p<.001), 이들 간의 설명력은 43.7%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병원 규모별 구체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사들의 안전관리 자신감 증진, 비처벌적 환경 조성과 조직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형성을 위한 환자안전 간호활동 증진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gram to promot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patient safety nurs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인식, 조직 의사소통이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환자안전 간호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들 요인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조직 의사소통이 환자안전 간호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안전문화 인식과 조직의사소통이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소병원이란? 중소병원이란 ‘3차 진료기관’ ‘대형병원’ ‘대학병원’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보건의료계에서 300병상 정도의 의료기관으로 분류되고 있다[16]. 선행연구에 의하면 100병상 이상의 일부 중소병원 간호사는 간호사 1인당 11.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은? 환자안전 간호활동은 의료서비스 전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안전사고나 상해를 예방하는 활동으로, 안전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 예방을 위한 개선안을 마련하며 그 효과를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된다[12,13].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교환 및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조직의 의사소통 장애시 환자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며 의료의 질을 저하시키고[14], 심각한 의료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할 수 있었던 적신호 사건[15]을 계기로 삼아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중소병원의 환자안전관리 인식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점은? 특히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이직률은 대형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26], 간호사를 다시 채용해도 역할 수행능력을 갖추게 되면, 또 다시 이직하는 악순환이 반복되어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지 못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중소병원의 간호인력 부족은 환자의 안전에 대한 잠재적 문제 발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므로 이에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을 방지하고 환자안전을 담당할 숙련된 간호인력 확보와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인력을 관리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하위영역 중 환자안전관리 인지 점수는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 R. Kim,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1, No.1, pp.1-8, Feb. 2011. DOI: https://doi.org/10.4040/jkan.2011.41.1.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The Act on Patient Safety practice manual 2017[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7. [cited 2017 Sept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koiha.kr/member/kr/board/systemInfoNotice/systemInfoNotice_BoardView.do 

  3.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ute hospital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s (Ver 2.0)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cited 2016 July 1]. Available from : http://www.koiha.or.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View.do 

  4. H. M. Han, M. S. Jung, "Effect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 No. 2, pp.127-138, March. 2017.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2.127 

  5. S. K. Kim, H. J. Lee, E. G. Oh,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6, pp.57-67, 2010. 

  6. M. Y. Park, E. A. Kim,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Performance in Hospital Managerial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4, No.1, pp.40-50, January. 2018.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40 

  7. V. F. Nieva, J. Sorra,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BMJ Quality & Safety, Vol.12, No.2, pp.17-23 Nov. 2003. DOI: http://dx.doi.org/10.1136/qhc.12.suppl_2.ii17 

  8. M. S. Donaldson, J. M. Corrigan, L.. T. Kohn,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Vol. 6).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DOI:http://www.nap.edu/catalog/9728.html 

  9. M. KIM,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strategy on nurse's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0, No.2, pp.172-181, April. 2010. DOI: https://doi.org/10.4040/jkan.2010.40.2.172 

  10. F. Milligan, S. Dennis,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s", Vol.19, No.7, pp.33-36, 2004. DOI: https://search.proquest.com/docview/21982 9759? accountid42690 

  11. L. Kagan, S. Barnoy, "Factors associated with reporting of medication errors by Israeli nurse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Vol.23, No.4, pp.353- 36, August. 2008. DOI: http://doi:10.1097/01.NCQ.0000336674.10348.09 

  12. E. J. Lee, "Effect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Safe Care Activities" Master's thesis, Gyeongju University, Gyeongbuk, Korea, pp.27, 39-40, 2017. 

  13. S. J. Park, J. Y. Kang, Y. O. Lee,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5, No.1, pp.44-55, 2012. 

  14. S. R. Ju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shared valu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p.8-13, 2011. 

  15. J. Y. Lee, "Effective communication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58, No.2, pp.100-104, Feb. 2015. DOI: https://doi.org/10.5124/jkma.2015.58.2.100 

  16. H. J. Shin, "A Study on Material Purcha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of Small & Medium General Hospitals- Focused on Small & Medium General Hospitals in the Capital"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p.5-7, 2009. 

  17. M.E. Kim, K. O. Park, S. J. Yoo, M. j. Kim, E. S. Kim, "A Survey on the Status of Nursing Care Activation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5, No.1, pp.149-165, April. 2009. 

  18. S. J. You, H. S. Chang, M. K. Kim, Y. K. Choi, Y. H. Sung, E. S. Kim, W.H. Kwag, "Study of utilization of nursing personnel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3, No.1, pp.157-172, 2005. 

  19. L. D. Scott, A. E. Rogers, W. T. Hwang, Y. Zhang, "Effects of critical care nurses' work hours on vigilance and patients' safet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5, No.1, pp.30-7, January. 2006. 

  20. M. J. Park, I.S. Kim, Y. L. Ham, YL.,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5, pp.333-341, May.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5.332 

  21. S. G. Le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urvey instrument for hospitals,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p.1-142, 2015. 

  22. C. W. Downs, M. D. Hazen,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14, No.3, pp.63-73, 1973. 

  23. E. M. Hong, c,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p.67-68, 2007. 

  24. Y. J. Choi. Y. K. Kang, I. J.Yang, J. Y. Lim,"Patient Safety Perception of Nurses as related to Patient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4, No.3, pp.193-201, March. 2018.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193 

  25. K. O. Park, J. K. Kim, "A Study of Desired Work Conditions of Nurses in Small-Medium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5, No.1, pp.1-13, Nov. 2018.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1.1 

  26. Y. S. Kim,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ICU Nurse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Gyeonggi, Korea, pp.24-25, 2018. 

  27. B. K. Cha, J, Choi,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 No.4, pp.405-416, September.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05 

  28. A. A. Ammouri, A. K. Tailakh, J. K. Muliira, R. Geethakrishnan, S. N. Al Kindi,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nurs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62, No.1, pp.102-110. March. 2015. DOI: https://doi.org/10.1111/inr.12159 

  29. C. M. Hughes, K. L. Lapane,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18, No.4, pp.281-286, July. 2006. DOI: http://doi.org/10.1093/intqhc/mzl020 

  30. Y. M. Lee,"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ol.40. No1, pp.117-124,2012. DOI: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17 

  31. K. J. Kim, E. G. Oh, "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cidence Reporting according to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 No.4, pp.581-592, Dec. 2009. 

  32. P. Pronovost, S.. Berenholtz, T. Dorman, P. A. Lipsett, T., Simmonds, C. Haraden, "Improving communication in the ICU using daily goals".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8, No.2, pp.71-75, March 1988, DOI: https://doi.org/10.1053/jcrc.2003.50008 

  33. K. M., Park, B. S. Lee,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i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Vol.17, No.2, pp.317-332, sep. 2003. 

  34. K. J. Kim, J. S. Han, M. S. Seo, J. B. Jang, M. M. Park, H. M. Ham, M. S. Yoo, "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8, No.2, pp.213-221, June. 2012.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2.213 

  35. M. H. Nam, "The cognition level on the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in Busan"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Busan. Korea, pp:197-221, 2010. 

  36. K. M. Abstoss, B. E. Shaw, T. E. Owens, J. L.. Juno, E. L.. Commiskey, M. F. Niedner, "Increasing medication error reporting rates while reducing harm through simultaneous cultural and system-level interventions in an intensive care unit". BMJ Qual Saf, Vol.20, No.11, pp.914-922, June. 2011. DOI: http://dx.doi.org/10.1136/bmjqs.2010.047233 

  37.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Seven steps to patient safety: a guide to NHS staff", Available at: http://www.nrls.npsa.nhs.uk/resources/collections/seven-steps-to-patientsafety/, accessed 19 January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