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서태평양 GCOM-W1/AMSR2 해수면온도 검증 및 오차 특성
Validation of GCOM-W1/AMSR2 Sea Surface Temperature and Error Characteristics in the Northwest Pacific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6, 2016년, pp.721 - 732  

김희영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우혜진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7월부터 2016년 8월까지 GCOM-W1/AMSR2 마이크로파 센서 자료와 해양 현장수온 관측 자료 사이에서 획득된 총 162,264개의 일치점 자료를 활용하여 북서태평양 해역에서의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 정확도를 검증하고 오차 특성을 분석하였다. AMSR2 해수면온도는 실측 자료에 대해 $0.63^{\circ}C$의 평균제곱근오차와 $0.05^{\circ}C$편차를 보였다. 위성 해수면온도와 현장 관측 해수면온도의 차이는 풍속, 해수면 온도, 연안으로부터의 거리, 열전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되었다. AMSR2 해수면온도는 낮시간 동안 낮은 풍속(< 6 m/s)에서 실측 해수면온도보다 높게 산출되는 일변동(diurnal effect)에 의한 오차를 보였다. 또한 겨울철에 평균제곱근오차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해상풍의 풍속이 커질수록 해수면의 방사율이 높아져 해수면온도 산출 시 양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겨울철의 강한 바람이 해수면온도 오차를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외에도 저온에서 저하되는 민감도와 육지에 의한 자료오염 또한 AMSR2 해수면온도의 오차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열전선에 따른 해수면온도 오차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수면온도의 공간 구배 크기가 커질수록, 열전선에 근접할수록 해수면온도 오차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북서태평양 해역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의 정확도 검증 및 오차 특성 분석을 통해 향후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를 활용하는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지역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보다 정확한 위성 관측 해수면온도를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curacy and error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measurements in the Northwest Pacific were analyzed by utilizing 162,264 collocated matchup data between GCOM-W1/AMSR2 data and oceanic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July 2012 to August 2016. The AMSR2 SST m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MSR2 해수면온도 오차의 계절적 특성과 관계없이 풍속이 해수면온도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해양 실측 풍속 자료가 기록된 일치점 자료들을 선별하였다. 일치점 자료 중 풍속 자료가 기록된 표층 뜰개는 존재하지 않았고 우리나라 연안에 설치되어 있는 계류 부이인 기상청 해양기상부이에서만 풍속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 이와 같이 수온의 변화가 큰 폭으로 나타나는 해역은 해양과 대기 조건이 다양하여 인공위성 자료로 계산된 해수면온도가 실제 바다의 수온과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COM-W1/AMSR2 위성을 활용하여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를 실측 자료와 비교하고 정확도와 오차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오차 발생의 가능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2015)은 해수면온도의 공간 구배 크기가 크게 나타났던 달과 약하게 나타났던 달을 비교하여 AMSR2 해수면온도와 해양 실측 해수면온도 간큰오차가 발생하는 것은 전선의 작용과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해수면온도의 공간 구배 크기와 해수면온도 오차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성 관측 자료로부터 해수면온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원격탐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 지구적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이 가능해지면서 인공위성 관측 해수면온도 자료가 기후변화 연구에 주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위성 관측 자료로부터 해수면온도를 산출하는 방법에는 크게 적외 영역을 이용하는 방법과 마이크로파 영역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파장이 짧은 적외 영역 해수면온도는 마이크로파 영역 해수면온도에 비해 높은 공간 해상도(1-4 km)를 가지며 작은 화소 크기 덕분에 육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마이크로파 영역에 비해 육지 근처에서 보다 정확한 자료가 산출될 수 있다(Ricciardulli and Wentz, 2004).
인공위성 관측 해수면온도 자료가 기후변화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원격탐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 지구적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이 가능해지면서 인공위성 관측 해수면온도 자료가 기후변화 연구에 주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위성 관측 자료로부터 해수면온도를 산출하는 방법에는 크게 적외 영역을 이용하는 방법과 마이크로파 영역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적외 영역을 이용하는 방법과 마이크로파 영역을 이용하여 해수면온도를 파악하는 것의 특징은 각각 무엇인가? 위성 관측 자료로부터 해수면온도를 산출하는 방법에는 크게 적외 영역을 이용하는 방법과 마이크로파 영역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파장이 짧은 적외 영역 해수면온도는 마이크로파 영역 해수면온도에 비해 높은 공간 해상도(1-4 km)를 가지며 작은 화소 크기 덕분에 육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마이크로파 영역에 비해 육지 근처에서 보다 정확한 자료가 산출될 수 있다(Ricciardulli and Wentz, 2004). 그러나 적외 영역에서는 대기의 수증기나 구름에 의한 영향으로 구름이 있을 경우 해수면온도를 관측할 수 없으며, 대기 보정과 구름 탐지가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로 인한 오차가 자료에 그대로 남게 된다(Vazquez-Cuervo et al., 2004). 이에 비하여 파장이 긴 마이크로파 영역에서의 관측은 구름에 의한 오염이 거의 없고 대기에 의한 영향을 비교적 쉽게 보정할 수 있어 연속적인 해수면온도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수 구역, 연안 지역을 제외한 모든 해역에서 마이크로파 영역 해수면온도 자료 획득률이 적외 영역보다 훨씬 높음에 따라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 자료가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Stammer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onlon, C.J., N. Rayner, I. Robinson, D.J.S. Poulter, K.S. Casey, and J. Vazquez-Cuervo, 2007. The global ocean data assimilation experiment high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pilot project,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8(8): 1197-1213. 

  2. Dong, S., S.T. Gille, J. Sprintall, and C. Gentemann, 2006. Validation of the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for the Earth Observing System (AMSR-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Southern Oc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1(C4). 

  3. Emery, W.J., S. Castro, G.A. Wick, P. Schluessel, and C. Donlon, 2001.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infrared satellite and in situ temperature data,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2(12): 2773. 

  4. Gentemann, C.L. and F.J. Wentz, 2001. Satellite microwave SST: Accuracy, comparisons to AVHRR and Reynolds SST, and measurement of diurnal thermocline variability, Proc. of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01, IEEE 2001 International, vol. 1, pp. 246-248. 

  5. Gentemann, C.L., F.J. Wentz, C.A. Mears, and D.K. Smith, 2004. In situ validation of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microwave sea surface temperat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9(C4). 

  6. Gentemann, C.L., T. Meissner, and F.J. Wentz, 2010. Accuracy of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at 7 and 11 GHz,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8(3): 1009-1018. 

  7. Gentemann, C.L., 2014. Three way validation of MODIS and AMSR-E sea surface temperat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9: 2583-2598. 

  8. Gentemann, C.L. and K.A. Hilburn, 2015. In situ valid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s from the GCOM-W1/AMSR2 RSS calibrated brightness temperat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20(5): 3567-3585. 

  9. Hihara, T., M. Kubota, and A. Okuro, 2015. Evalu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wind speed observed by GCOM-W1/AMSR2 using in situ data and global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64: 170-178. 

  10. Hollinger, J.P. and R.C. Lo, 1984. Low Frequency Microwave Radiometer for N-ROSS, Proc. of Technical Symposium East,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pp. 199-207. 

  11. Mizuno, K. and W.B. White, 1983. Annu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in the Kuroshio current system,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3(10): 1847-1867. 

  12. O'Carroll, A.G., J.G. Watts, L.A. Horrocks, R.W. Saunders, and N.A. Rayner, 2006. Validation of the AATSR meteo product sea surface temperature,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3(5): 711-726. 

  13. Park, K.A., F. Sakaida, and H. Kawamura, 2008. Oceanic skin-bulk temperature difference through the comparison of satellite-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 and in-situ measurement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4(4): 273-287 (in Korean with Enlish abstract). 

  14. Park, K.A., E.Y. Lee, S.R. Chung, E.H. Sohn, 2011. Accuracy assessment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NOAA/AVHRR data in the seas around Korea and error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7(6): 663-675. 

  15. Park, K.A., H.J. Woo, E.Y. Lee, S.W. Hong, K.L. Kim, 2013. Valida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 from satellite altimeter in the seas around Korea and error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6): 631-644. 

  16. Ricciardulli, L. and F.J. Wentz, 2004. Uncertainties in sea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s from space: Comparison of microwave and infrared observations from TRM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9(C12). 

  17. Stammer, D., F.J. Wentz, and C. Gentemann, 2003. Validation of microwave sea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s for climate purposes, Journal of Climate, 16(1): 73-87. 

  18. Stogryn, A., 1967. The apparent temperature of the sea at microwave frequencies,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15(2): 278-286. 

  19. Tomita, H., Y. Kawai, M.F. Cronin, T. Hihara, M. Kubota, 2015. Validation of AMSR2 Sea Surface Wind and Temperature over the Kuroshio Extension Region, SOLA, 11(0): 43-47. 

  20. Vazquez-Cuervo, J., E.M. Armstrong, and A. Harris, 2004. The effect of aerosols and clouds on the retrieval of infrared sea surface temperatures, Journal of Climate, 17(20): 3921-3933. 

  21. Wentz. F.J., 1983. A model function for ocean microwave brightness temperatu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88(C3): 1892-1908. 

  22. Wentz, F.J. and T. Meissner, 2007. Supplement 1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for AMSR-E Ocena Algorithm, Santa Rosa, CA: Remote Sensing Systems. 

  23. Yasuda, I., 2003. Hydrographic structure and variability in the Kuroshio-Oyashio transition area, Journal of Oceanography, 59(4): 389-402. 

  24. Yoshimori, K., K. Itoh, and Y. Ichioka, 1994. Thermal radiative and reflective characteristics of a windroughened water surface, JOSA A, 11(6): 1886-18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