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사량은 지구 내 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지표변수로써, 원격탐사를 통해 모니터링 하는 것은 태양 에너지의 잠재량을 평가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관측 빈도에 따른 일 평균 일사량 산출의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COMS의 채널 자료 및 구름탐지 분석자료, 구름에 의한 일사량의 감쇠 정도를 이용하여 시간 해상도가 1시간과 3시간 간격의 자료를 이용하여 일사량을 산출하였다. 전천을 의미하는 공간적 범위만큼 Hemispherical Integration를 실시하였고, 각 일사량을 일 평균하여 지상 37곳의 일사계 자료와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시간 간격의 자료를 이용하여 일평균한 일사량은 $28.6401W/m^2$의 정확도를, 3시간 간격의 자료를 이용하여 일 평균한 일사량은 $30.4960W/m^2$의 정확도를 보여, 일 평균 일사량은 위성의 관측 빈도에 큰 민감도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시간해상도가 다른 두 일사량은 공간적 분포에서 구름의 관측 빈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고, 구름의 관측 빈도와 두 일사량의 차이 간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대 $19.4392W/m^2$의 민감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solation is an major indicator variable that can serve as an energy source in earth system. It is important to monitor insolation content using remote sensing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solar energy. In this study, we performed sensitivity analysis of observed frequency on daily composite inso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천리안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은 INS를 15분 및 3시간 간격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관측 빈도에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 평균 INS를 산출 할 때, 관측 빈도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COMS를 기반으로 한 INS을 1시간과 3시간 간격으로 산출하고, 이어서 산출된 INS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일 평균을 실시한 뒤, 지상 일사계 자료와 검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 평균 INS를 산출 할 때, 위성의 관측 빈도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COMS 채널자료와 CLD, CF를 이용하여 한반도 영역에서 2014년의 INS를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사량이란? 일사량(INSolation, INS)은 단위 면적당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으로, 지구의 환경 및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지구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변수이다(Liang, 2012). INS는 일사계로 측정될 수 있지만, 모든 지역을 포함한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일사량을 원격탐사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일사량은 지구 내 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지표변수로써, 원격탐사를 통해 모니터링 하는 것은 태양 에너지의 잠재량을 평가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관측 빈도에 따른 일 평균 일사량 산출의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INS 산출 및 연구의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방법은 원격 탐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한 INS 산출 및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Tarpley(1979)는 GOES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계수를 이용하여 INS를 산출하였다. Kawamura et al.(1998)은 GMS-5/VISSR을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대해 최적화 된 물리모델을 제시했으며, 청천일 때와 구름이 존재할 때의 두 가지로 INS를 산출하였다. Zarzalejo et al.(2009)는 Meteosat 데이터와 지상에서 획득한 청명지수와 구름지수를 이용하였으며, 지중해와 반 건조 및 해양기후에 적합한 INS 통계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Yeom et al.(2012)은 Kawamura et al.(1998)의 물리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INS 산출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구름 감쇠 효과에 대한 비율을 알베도와 태양 천정각에 의한 LUT를 적용하여 INS를 산출하였다. Choi et al.(2015)는 기존 Heliosat-II 방법에 운량에 의한 지표 반사도 차이를 선형 변환을 통해 보정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Heliosat-II 방법을 수정하였으며, COMS/MI 가시광 채널 영상만을 사용하여 INS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시간 해상도는 30분에서 1일까지 다양하였다. 이 외에도 INS가 아닌 대류시스템이나, 강수, 태풍, 기상관측 등의 분야에서도 30분이나 1시간 간격의 자료를 이용하거나 생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Baek et al., 2006; Ushio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Baek, S.K., Y.J. Choi, C.Y. Chung, and C.H. Cho, 2006. The Characteristics and Predictability of Convective System Based on GOES-9 Observations during the Summer of 2004 over East Asia, Atmosphere, 16(3): 255-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W.S., A.R. Song, and Y.I. Kim, 2015. Solar Irradiance Estimation in Korea by Using Modified Heliosat-II Method and COMS-MI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3(5): 463-4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awamura, H., S. Tanahashi, and T. Takahashi, 1998. Estimation of insolation over the Pacific Ocean off the Sanriku Coast, Journal of Oceanography, 54: 457-464. 

  4. Liang, S., X. Li, and J. Wang, 2012. Advanced remote sensing: Terrestrial Information Extraction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5. National Meteorological Satellite Center, 2012. Insolation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orea. 

  6. Tarpley, J.D., 1979. Estimating Incident Solar Radiation at the Surface from Geostationary Satellite Dat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18: 1172-1181. 

  7. Ushio, T., K. Sasashige, T. Kubota, S. Shige, K. Okamoto, K. Aonashi, T. Inoue, N. Takahashi, T. Iguchi, M. Kachi, R. Oki, T. Morimoto, and Z. Kawasaki, 2009. A Kalman Filter Approach to the Global Satellite Mapping of Precipitation (GSMaP) from Combined Passive Microwave and Infrared Radiometric Data,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7(A): 137-151. 

  8. Yeom, J.M., K.S. Han, and J.J. Kim, 2012. Evaluation on penetration rate of cloud for incoming solar radiation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dat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8: 115-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Zarzalejo, L.F., J. Polo, L. Martin, L. Ramirez, and B. Espinar, 2009. A new statistical approach for deriving global solar radiation from satellite images, Solar Energy, 83(4): 480-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