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성인의 구취와 구강건조감 및 스트레스의 관련성
Correlation among Halitosis, Xerostomia and Stress in Adult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5, 2016년, pp.370 - 377  

김기은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한지형 (수원과학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본 연구는 을지대학교 치위생학과에 방문한 스케일링 환자 155명을 대상으로 구취와 구강건조감, 스트레스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구취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취 측정 결과는 $H_2S$의 경우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0대가 355.61로 가장 높았고, 다음 50대가 227.85였다(p<0.001). $CH_3SH$가 축농증, 비염이 있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p=0.034). 구취성분 간의 상관관계는 $H_2S$$(CH_3)_2S$가 관련성을 보였으며(r=0.492, p<0.01), 구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CH_3)_2S$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구취를 호소하는 환자 진단 시 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요인 조사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진단 도구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bad breath with a poll in 155-scaling patients visiting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fter grasping the relevance among halitosis, xerostomia, and stress from them. Analysis was per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여러 스트레스 상황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구취와 구강건조감, 스트레스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으며, 효율적인 구취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란 무엇인가? 구취는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구취에 대한 관심과 우려를 가지게되었다.
구취와 관련된 구강 내 산물은 무엇인가? 구취와 관련된 구강 내 산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황함유 아미노산(메티오닌, 시스테인과 시스틴)의 세균 분해 시 발생되는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ur compound)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성분은 hydrogen sulfide (H2S), methyl mercaptan (CH3SH), dimethyl sulfide ((CH3)2S)이다1-3). 이는 구취를 호소하는 사람으로부터 얻어진 전형적인 크로마토그라프에서 유래하는데 그래프 상에서 3곳의 정점을 이루고 있으며4), 이들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사실상 구취의 정도를 평가하는 지침이 되고 있다5)
구강 내 타액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또한 구강 내 자정작용이 떨어질 경우 세균성 부패와 이로 인한 휘발성 황화물의 발생이 높아지게 되므로 구취가 발생하게 된다10). 더불어 타액이 감소하면 나타날 수있는 증상으로 구강건조감이 있는데, 노화에 따른 타액선 기능의 저하, 약물 복용, 쇼그렌 증후군, 당뇨병, 알츠하이머및 파킨슨 질환 등의 전신질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3). 그러나 주관적으로 구강건조감을 호소하는 것과 타액분비율 감소가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가지고 있지 않다는 보고14)가 있었으며, 주관적인 구강건조감은 스트레스나 우울감, 긴장 등 심리적 요소가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leinberg I, Westbay G: Salivary and metabolic factors involved in oral malodor formation. J Periodontol 63: 768-775, 1992. 

  2. Miyazaki H, Sakao S, Katoh Y, Takehara T: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phur compounds and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Periodontol 66: 679-684, 1995. 

  3. Waler SM: On the transformation of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and peptides to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 in the human mouth. Eur J Oral Sci 105: 534-537, 1997. 

  4. Tonzetich J: Direct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sulphur compounds in mouth air. Arch Oral Biol 16: 587-597, 1971. 

  5. Han K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feeling of oral malodor. J Korean Acad Med 27: 255-269, 2002. 

  6. Spielman AI, Bivona P, Rifkin BR: Halitosis. A common oral problem. N Y State Dent J 62: 36-42, 1996. 

  7.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48: 13-20, 1977. 

  8. Tangerman A, Winkel EG: Intra- and extra-oral halitosis: finding of a new form of extra-oral blood-borne halitosis caused by dimethyl sulfide. J Clin Periodontol 34: 748-755, 2007. 

  9. Kleinberg I, Wolff MS, Codipilly DM: Role of saliva in oral dryness, oral feel and oral malodour. Int Dent J 52: 236-240, 2002. 

  10. Shon WY, Chun YH, Lee JY, Cho HG, Hong JP: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salivary gland function. J Korean Acad Med 23: 353-359, 1998. 

  11. Guggenheimer J, Moore PA: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atment. J Am Dent Assoc 134: 61-69, 2003. 

  12. Al-Hashimi I: Xerostomia secondary to Sjogren's syndrome in the elderly: recognition and management. Drugs Aging 22: 887-899, 2005. 

  13. So JS, Chung SC, Kho HS, Kim YK, Chung JW: Dry mouth among the elderly in Korea: a survey of prevalence, severity, and associated factor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10: 475-483, 2010. 

  14. Spielman A, Ben-Aryeh H, Gutman D, Szargel R, Deutsch E: Xerostomia diagnosis and treat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51: 144-147, 1981. 

  15. Bergdahl M, Bergdahl J: Low unstimulated salivary flow and subjective oral dryness: association with medic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J Dent Res 79: 1652-1658, 2000. 

  16. Heo HY, Shin SC, Cho JW, Park KS: A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mouth-odor survey and factor analysis. J Korean Acad Dent Health 29: 368-384, 2005. 

  17. Pai S, Ghezzi EM, Ship JA: Development of a visual analogue scale questionnaire for subjective assessment of salivary dysfunc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91: 311-316, 2001. 

  18. Koh KB, Park JK, Kim C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9: 707-719, 2000. 

  19. Yaegaki K, Sanada K: Biochemical and clinical factors influencing oral malodor in periodontal patients. J Periodontol 63: 783-789, 1992. 

  20. Kazor CE, Loesche WJ: Longitudinal oral malodor treatment evaluation. Curr Infect Dis Rep 5: 110-134, 2003. 

  21. Miyazaki H, Sakuo S, Katoh Y, Takehara T: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fur compounds and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Periodontol 66: 679-684, 1995. 

  22. Lee YO, Hong JP, Lee TY: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rural residents. J Korean Acad Med 32: 157-175, 2007. 

  23. Park MS, Ryu SA: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 Korean Acad Nurs 40: 747-755, 2010. 

  24. Hong MH: Correlation between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i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15: 389-397, 2015. 

  25. Oh JK, Kim YJ, Kho HS: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J Korean Acad Med 26: 331-343, 2001. 

  26. Ji MG: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causing factors and components. J Korea Inst Electron Commun Sci 8: 1971-1978, 2013. 

  27. Choi JM: A study on the bad breath of some dental students and other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6: 494-503, 2006. 

  28. Chung JS, Park HS, Na DW, Noh EK, Choi CH, Park J: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Ko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34: 534-542, 2010. 

  29. Jee YJ, Kim JS, Lee JH, Jeon 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developments and oral environmental. J Dent Hyg Sci 10: 101-10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