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1, 2016년, pp.101 - 120  

한혜숙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내용 지식 교육의 측면에서 예비수학교사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예비수학교사들의 MKT에 대한 인식 조사와 더불어 실제 과제 수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MKT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6명의 예비수학교사가 MKT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와 중학교 수준의 기하 영역에 해당되는 2개의 MKT 과제의 수행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KCT-2 범주를 제외한 MKT 하위 범주 각각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비교사교육에서 MKT의 각각의 하위 범주에 대한 교육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MKT 과제 수행 분석으로부터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은 SCK, KCS,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CK와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적절한 응답을 준 예비교사의 비율이 50% 이하로 나타나 MKT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 발현 과정 사이에는 불일치되는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MKT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he aspect of teachers' content knowledge. Twenty-six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MKT에 대한 인식 조사와 더불어 실제 과제 수행과정에서 드러나는 MKT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MKT 교육 측면에서 예비수학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MKT에 대한 인식 조사 및 중학교 기하 영역에 해당되는 2개의 과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MKT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MKT 교육 측면에서 예비수학교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교과교육학에 비해 교과내용학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크게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교과내용학 교육을 포함한 예비수학교사 교육의 전반적인 방향에 대한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비록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예비수학교사들이 교사 지식이나 예비교사 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나 필요를 파악하는 것은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과정일 것이다.
  • 셋째, Ball 외(2008)는 MKT의 하위 범주에서 (대학 수준의)전문적인 수학 지식을 포함시키기 않았으나, 본 연구자는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하게 되는 교과내용학 관련 지식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또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교과내용학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예비교사 교육에서 교과내용학에 대한 교육이 그다지 중요하지도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Ball 외(2008)는 Shulman(1986)이 제시한 교사 지식의 영역을 보다 정교화시켜 [그림 Ⅱ-1]과 같이 MKT를 교과내용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과 교수학적 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의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SMK는 공통내용지식(CCK), 전문화된 내용지식(SCK), 수학적 식견으로서의 지식(HCK)의 3가지 하위 범주로, PCK는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CS), 내용과 교수에 대한 지식(KCT),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KCC)의 3가지 범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요소에 비해 HCK와 KCC의 경우 지식 경계의 모호함을 인정하며 HCK와 KCC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CCK, SCK, KCS, KCT 만을 다루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에 있어 교사에게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어설 수 없다’ 라는 유명한 말처럼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자질이나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Ma(1999)는 수학을 잘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능력은 교사의 교과에 대한 지식에 의존한다고 주장하며, 교사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예비교사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예비교사 교육과정은 교사의 지식 기반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하고도 핵심적인 과정이며(김종훈, 2009), 예비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계발시키는 첫 단계로 볼 수 있다. Battista(1986)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과에 대한 교수(instruction)의 질은 초등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의존한다고 주장하며 예비교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이순아(2015) 또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형성된 지식이나 신념은 그들이 가르칠 미래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예비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실질적으로 나타난 이점은 무엇인가? Battista(1986)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과에 대한 교수(instruction)의 질은 초등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의존한다고 주장하며 예비교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이순아(2015) 또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형성된 지식이나 신념은 그들이 가르칠 미래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비록 예비교사들이 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교수 이론에 대한 지식이 교사가 된 후에 즉각적으로 수업에 적용되지는 못할 수도 있으나, 많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수업의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ichardson,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영란.조정수.김진환 (2012). 분수 나눗셈의 문장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지식(SCK)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6(3), 301-316. (Kang, Y. R., Cho, C. S., & Kim, J. H. (2012).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for the word problems of fraction divis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3), 301-316.) 

  2. 김종훈 (2009). 교사의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의 활용과 형성과정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J. H. (2009). (The study of application and construction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고희정.고상숙 (2013).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 (SCKT).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57-185. (Koh, H. J., & Choi-Koh, S. S. (2013).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n high school calculus lesson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6(1), 157-185.) 

  4. 권민성.남승인.김상룡 (2009). 미국의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 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8(4), 399-417. (Kwon, M., Nam, S. I., & Kim, S. L. (2009). Adapting U.S. multiple-choice items to measure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in Kore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4), 399-417.) 

  5. 권성룡 (2012). MKT 적용과제에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반응 고찰 - 연꼴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4(2), 255-274. (Kwon, S. (2012).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to MKT applying task-focused on kite. School Mathematics, 14(2), 255-274.) 

  6. 김윤경 (2013). 함수의 극한 및 연속성에 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MKT 분석.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Kim, Y. K. (2013). An analysis o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MKT in limit and continuity of a Fun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7. 김해규 (2012). J 대학교 교육대학 3학년 학생들의 수와 연산 영역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대한 사 례 연구 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91-509. (Kim, H. G. (2012). A case study on J university teachers college junio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number and operation I.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6(3), 491-509.) 

  8. 문진수.김구연 (2015).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학교수학, 17(3), 469-492. (Mun, J., & Kim, G. (2015). Measuring and analysis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functio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7(3), 469-492.) 

  9. 성태제.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Seong, T. J., & Si, K. J. (2006). Research methods. Seoul: Hakjisa.) 

  10. 윤현경.권오남 (201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벡터 개념에 대한 이해-MKT 중심으로. 학교수학, 13(4), 615-632. (Yoon, H. K., & Kwon, O. N. (2011).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MKT about the concept of vector. School Mathematics, 13(4), 615-632.) 

  11. 이순아 (2015).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견해 차이 들여다보기 : 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온라인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2), 57-92. (Lee, S. (2015).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and becoming new teachers: Intercultural online exchanges. Anthropology of education, 18(2), 57-92.) 

  12. 이인협.조선아 (2011). 미분 단원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5(2), 391-414. (Yi, I., & Cho, S. (2011).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differenti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15(2), 391-414.) 

  13. 전미현.김구연 (2015).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5(4), 691-715.(Jeon, M., & Kim, G. (2015).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5(4), 691-715.) 

  14. Ball, D. L. (1990). The mathematical understandings that prospective teachers bring to teacher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449-466. 

  15.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6. Ball, D. L., & Hill, H. C. (2008).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measures. Mathematics released items 2008. Retrieved from http://www.umich.edu/-lmtweb/files/lmt_sample_items.pdf 

  17. Battista, M. (1986).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knowledge to the learning of mathematical pedagogy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6(1), 10-19. 

  18.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 Hill H. C., & Ball, D. L. (2004).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Results from California's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5), 330-351. 

  20. Hill, H. C., Ball, D. L., Blunk, M., Goffney, I. M., & Rowan, B. (2007). Validating the ecological assumption: The relationship of measure scores to classroom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Measurement, 5(2-3), 107-118. 

  21.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372-400. 

  22. Hill, H. C., Rowan, B., & Ball, D. L. (2005).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 Research Journal, 42(2), 371-406. 

  23. Hill, H. C., Schilling, S. G., & Ball, D. L. (2004).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105, 11-30. 

  24.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Manizade, A. G., & Mason, M. M. (2011). Using Delphi methodology to design assessment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6(2), 183-207. 

  26. Richardson, V. (1996). The role of attitudes and beliefs in learning to teach. In J.Sikula, T.J. Buttery & E. Guyto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nd ed, pp. 102-119) . New York: Macmillan. 

  27.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