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6 no.1, 2017년, pp.19 - 39  

탁병주 (서울대학교대학원) ,  구나영 (안양고등학교) ,  강현영 (목원대학교) ,  이경화 (서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연구 참여자들 모두 동일한 학교에 재학 중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예비교사 대상 통계교육의 실태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학교 통계교육과 예비교사교육의 개선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통계적 소양 틀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수준의 목표를 지니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표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두 속성인 표본대표성과 표집변이성을 연구 내용의 중심으로 삼았다. 그리고 각각의 속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알아보기 위해 검사도구로서 외국의 교과서와 선행연구에서 발췌한 총 4개의 과제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의 분석 틀로 표본대표성과 표집변이성을 선정한 후, 선행연구과 외국 교과서를 바탕으로 문항을 설계하여 각 속성에 대한 예비교사의 이해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열린 형태의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새로 설계하여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질적 분석을 통해 표본 개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이해가 가지는 특징들을 범주화한다. 특히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현행 통계교육 체계를 반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현행 통계 과목의 수강 여부를 하나의 변수로 상정한다.

가설 설정

  • 1. 표본대표성과 표집변이성의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은 표본 개념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 2.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에 비추어볼 때, 예비교사의 통계적 소양 수준은 어떠한가?
  • 가령, Watson & Moritz의 범주화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표본의 크기에 대한 이해를,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반응을 범주화하는데 고려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본 개념은 어떻게 하나의 스키마를 형성하고 있는가? 표본 개념은 반복가능성, 대표성, 임의성, 변이성, 분포 등 매우 다양한 통계적 개념들이 상호 관련하여 하나의 스키마를 형성하고 있다(Pfannkuch, 2008; Saldanha & Thompson, 2002). 이러한 개념의 복잡성으로 인해,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들 또한 표본 개념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없이 통계적 추론 과정에서 부정확한 직관에 의존하곤 한다.
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연구 대상에 대해 대표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연구 대상에 대해 대표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수학이 설명항이 피설명항을 완전히 함축하고 있는 연역법을 학문적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계에서 연구 대상이 지니는 대표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이는 통계적 방법론이 ‘일부’에 불과한 경험적 사실을 토대로 ‘전체’에 대한 일반적인 법칙이나 이론을 세우는 귀납법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표본과 모집단 간의 불일치가 여전히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의표집 외에도 표본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기법들이 등장하였으나 표본과 모집단 간의 불일치는 여전히 존재하는데, 표본대표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편의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Moore & Notz(2009)에 따르면 표본대표성은 편의 외에도 표집변이성의 영향을 받는데, 편의가 표본을 여러 번 선택할 때 모수에서 한 방향으로 일관되고 반복적으로 벗어나는 통계량의 편차를 의미한다면, 표집변이성은 표본을 여러번 선택할 때 통계량의 값이 얼마나 퍼져 있는가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현영 (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21-137. Kang, H.Y. (2012). Study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Statistical Literacy.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5(4), 121-137. 

  2.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김정자,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 (2014). 통계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Kang, H.Y., Shin, B., Ko, E.S., Lee, D.H., Sim, S., Kim, J.J., Ku, N.Y., Jeong, I.S., Choi, K.S., & Hong. J.H. (2014). Research on improv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for activation of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Report.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ociety and Creativity. 

  3. 고은성 (2012). 통계적 변이성 사고 요소 간의 관계 연구. 학교수학, 14(4), 495-516. Ko, E.S.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Thinking related to Statistical Variability. School Mathematics, 14(4), 495-516. 

  4. 고은성 (2015). 현 초중고 통계교육 연구 진행 현황 및 과제. 통계청(편.). 미래사회, 이제 통계적 소양이다 (pp.83-100). 대전: 통계청. Ko. E.S. (2015). The status quo and the issues of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in school mathematics. Statistics Korea (Eds.). Statistics literacy for the future society. Daejeon: Statistics Korea. 

  5. 고은성, 이경화 (2011).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표집에 대한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21(1), 17-32. Ko, E.S. & Lee, K.H. (2011).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Sampl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1), 17-32. 

  6.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Bulletin of MOE No. 2015-74 [Seperate Volume #8] 

  7. 구나영, 탁병주, 강현영, 이경화 (2015). 표본 지도에 대한 고찰: 국외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7(3), 515-530. Ku, N.Y., Tak, B., Kang, H.Y., & Lee, K.H. (2015). A Study on the Teaching Sample - An Analysis of Foreign Curriculum. School Mathematics, 17(3), 515-530. 

  8. 이강섭 (2003). 교원양성기관의 통계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 자료. 수학교육논문집, 15, 59-64. Lee. K.S. (2003). Basic data on the curriculum of the statistics for teacher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5, 59-64. 

  9. 이경화 (2015). 우리나라 초중고 통계교육의 실제와 방향. 통계청(편.). 미래사회, 이제 통계적 소양이다 (pp.27-43). 대전: 통계청. Lee. K.H. (2015).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Statistics Korea (Eds.). Statistics literacy for the future society. Daejeon: Statistics Korea. 

  10. 이영하 (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Lee Y. (2014). Principles of statistics education in terms of humanitie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1. 이영하, 신수영 (2011). 초.중.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단원에 나타난 표본개념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4), 327-344. Lee, Y. & Shin, S. (2011). Features of sample concepts in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chapters of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of grades 1-12.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4), 327-344. 

  12. 이영하, 심효정 (2003). 확률.통계 연구에 대한 수학교육학적 고찰: 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2(2), 203-218. Lee, Y. & Sim, H.J. (2003). A Trend analysis on the educational research of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cused on papers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2), 203-218. 

  13. 이은희, 김원경 (2015). 국내외 통계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수학교육, 54(3), 241-259. Lee, E.H. & Kim, W.K.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tatis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4(3), 241-259. 

  14. 정한영 (1995). 통계학사 개론. 춘천: 한림대학교출판부. Chung, H.Y. (1995). Introduction to Statistics History. Chuncheon: Hallim University Press. 

  15. 지은정 (2011). 자료의 분포와 표본추출 상황에서 변이성 개념 지도.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Ji, E.J. (2011). Instruction on the concept of variability in the data distributions and sampling situation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of Education. 

  16. 탁병주, 구나영, 강현영, 이경화 (2014). 표본 개념에 대한 고찰: 역사적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6(4), 727-743. Tak, B., Ku, N.Y., Kang, H.Y., & Lee, K.H. (2014). A Study on the Concept of Sample by a Historical Analysis. School Mathematics, 16(4), 727-743. 

  17. Bar-Hillel, M. (1979). The role of sample size in sample evalu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4(2), 245-257. 

  18. Ben-Zvi, D. & Garfield, J. (2010).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 목표, 정의, 난제.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외 9인역), (pp.3-17)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 

  19. Ben-Zvi, D., Bakker, A., & Makar, K. (2015). Learning to reason from sampl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3), 291-303. 

  20. Coffey, D. (2013). Pearson Mathematics 8: Student Book. Frenchs Forest: Pearson Education Australia. 

  21. delMas, R.C. (2002).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learning: A commentary.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0(3). 

  22. Franklin, C.G.,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3.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24. Garfield, J., delMas, R.C., & Chance, B. (2003). The Web-based ARTIST: Assessment resource tools for improving statistical thinking.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25. Garfield, J., Le, L., Zieffler, A., & Ben-Zvi, D. (2015). Developing students' reasoning about samples and sampling variability as a path to expert statistical think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3), 327-342. 

  26. Groth, R.E. (2007).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statistical knowledge for teach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8(5), 427-437. 

  27. Groth, R.E., & Bergner, J.A. (200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aphors for the concept of statistical sample.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4(2), 27-42. 

  28. Hill, H.C., Blunk, M.L., Charalambous, C.Y., Lewis, J.M., Phelps, G.C., Sleep, L., & Ball, D.L. (2008).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the 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An exploratory study. Cognition and Instruction, 26(4), 430-511. 

  29. Kahneman, D. & Tversky, A. (1972). Subjective probability: A judgment of representativeness. Cognitive Psychology, 3(3), 430-454. 

  30. Lipson, K. (2003). The role of the sampling distribution in understanding statistical inferenc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5(3), 270-287. 

  31. Moore, D.S. (1990). Uncertainty. In L.S. Steen (Ed.).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 Approaches to Numeracy (pp.95-137).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2. Moore, D.S., & Notz, W.I. (2009). 논쟁거리로 배우는 통계학 (심규박, 조태영, 신미경 역),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원저 2005년 출판) 

  33. Noll, J.A. (2007). Graduate teaching assistants' statistical knowledge for teaching. Ph.D. dissertation. Portland State University. 

  34. Noll, J.A. (2011). Graduate teaching assistants' statistical content knowledge of sampling.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0(2), 48-74. 

  35. Pfannkuch, M. (2008). Building sampling concepts for statistical inference: A case study. ICME-11 Proceedings, Monterrey, Mexico, July 2008. 

  36. Pfannkuch, M., Arnold, P., & Wild, C.J. (2015). What I see is not quite the way it really is: students' emergent reasoning about sampling variabil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3), 343-360. 

  37. Reading, C., & Shaughnessy, J.M. (2010). 변이에 대한 추론.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외 9인 역), (pp.239-270)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 

  38. Ridgway, J., Nicholson, J., & McCusker, S. (2011).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in students and teachers. In C., Batanero, G. Burrill, & C. Reading (Eds.).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Challenges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Springer. 

  39. Rubin, A., Bruce, B., & Tenney, Y. (1990). Learning about sampling: Trouble at the core of statistics. In D. Vere-Jones(Ed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Vol. 1, pp.314-319). Voorburg: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40. Rumsey, D.J. (2002). Statistical literacy as a goal for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s.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0(3), 6-13. 

  41. Saldanha, L. & Thompson, P. (2002). Conceptions of sample and their relationship to statistical inferenc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1, 257-270. 

  42. Shaughnessy, J.M. (2007). Research on statistics learning.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957-1009. 

  43. Sullivan, P., Clarke, D., & Clarke, B. (2013). Teaching with tasks for effective mathematics learning. New York: Springer. 

  44. Sullivan, P., Zevenbergen, R., & Mousley, J. (2003). The Contexts of mathematics tasks and the context of the classroom: Are we including all student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5(2), 107-121. 

  45. Torok, R., & Watson, J. (2000).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tatistical variation: An exploratory stud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2(2), 147-169. 

  46. Wallman, K.K. (1993).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Enriching our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 1-8. 

  47. Watson, J.M. (1997). Assessing Statistical Thinking Using the Media. In I. Gal & J. B. Garfield (Eds.). The Assessment Chanllenge in Statistics Education (pp.107-121). Amsterdam: IOS Press. 

  48. Watson, J.M. (200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ing: Intuition or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2(1), 121-135. 

  49. Watson, J.M. (2010). 표본에 대한 추론.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외 역 pp.329-351)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 

  50. Watson, J.M.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박영희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6년 출판) 

  51. Watson, J.M., Kelly, B.A., Callingham, R.A., & Shaughnessy, J.M. (2003). The measurement of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var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4(1), 1-29. 

  52. Watson, J.M. & Moritz, J.B. (2000a). Developing concepts of sampl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 44-70. 

  53. Watson, J.M. & Moritz, J.B. (2000b).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sampling for statistical literacy.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9, 109-136. 

  54. Wild. C.J. (2006). The concept of distribution.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5(2), 10-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