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사 사후평가는 공공건설공사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사업결과에 대한 적정성을 검증하여 추후 유사한 건설공사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인식 부족 등에 의해 활발한 제도 이행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유사한 프로젝트 수행 시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의 효과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시범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사후평가 결과가 건설CALS에 입력된 국도, 고속도로, 철도, 항만 등 293건의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철도 사업의 공사비 증감율이 고속도로, 국도, 항만공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속도로의 공사기간 증감율은 철도, 국도, 항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사후평가 분석 프레임워크는 추후 프로젝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벤치마킹 도구로써 유용하며, 지속적인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을 통해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공공건설공사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사업결과에 대한 적정성을 검증하여 추후 유사한 건설공사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인식 부족 등에 의해 활발한 제도 이행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유사한 프로젝트 수행 시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의 효과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시범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사후평가 결과가 건설CALS에 입력된 국도, 고속도로, 철도, 항만 등 293건의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철도 사업의 공사비 증감율이 고속도로, 국도, 항만공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속도로의 공사기간 증감율은 철도, 국도, 항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사후평가 분석 프레임워크는 추후 프로젝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벤치마킹 도구로써 유용하며, 지속적인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을 통해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A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is introduc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similar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futur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ject results. However, it is not widely...
A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is introduc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similar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futur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ject results. However, it is not widely used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the method. For this reas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frame that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for a similar project in the future based on the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More specifically, a more effective analysis method for the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is proposed and then an exemplary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method. The paper analyzes 293 cases stored in construction CALS. Construction cost growth rates of railway projects are tend to be greater than other project types like highway, expressway, and harbour. Then, construction schedule grwoth rates of expressway are greater than others. This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 future project, and serve as a basic frame. Moreover, it is also meaningful that a project can be analyz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rough the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A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is introduc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similar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futur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ject results. However, it is not widely used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the method. For this reas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frame that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for a similar project in the future based on the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More specifically, a more effective analysis method for the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is proposed and then an exemplary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method. The paper analyzes 293 cases stored in construction CALS. Construction cost growth rates of railway projects are tend to be greater than other project types like highway, expressway, and harbour. Then, construction schedule grwoth rates of expressway are greater than others. This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 future project, and serve as a basic frame. Moreover, it is also meaningful that a project can be analyz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rough the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도입 취지는 공공건설공사의 계획단계부터 수행단계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사업결과에 대한 적정성을 검증하여 추후 유사한 건설공사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로젝트별 사업수행성과를 유사 프로젝트와 비교·평가하는 벤치마킹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유사한 프로젝트 수행 시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의 효과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시범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국토교통성이 주관한 사업 중 유지관리 및 재해복구 사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을 대상으로 하며, 2003년부터 제도화되었다. 공공건설공사의 효율성 및 투명성 향상과 함께 사업의 효과 및 환경영향평가를 목적으로 실시한다. 이는 사업이 완료된 후 5년 이내 실시를 원칙으로 사업평가감시위원회의 평가결과를 검토를 통해 문제점이 발견된 경우 재평가를 실시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개별 보고서는 유사한 성격을 가진 타 프로젝트와의 직접비교를 통해 개별 프로젝트의 성과수준을 비교・평가하는 수행 성적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수행된 전체 국도건설공사 중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수준을 나타냄으로써 발주자에게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안 방법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내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의 평가방법 및 내용, 평가항목 등에 대한 상세한 고찰을 통해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내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의 평가방법 및 내용, 평가항목 등에 대한 상세한 고찰을 통해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업수행성과의 비교 및 평가를 통해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 가능한 사후평가 수행결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내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의 평가방법 및 내용, 평가항목 등에 대한 상세한 고찰을 통해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업수행성과의 비교 및 평가를 통해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 가능한 사후평가 수행결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표와 그래프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건설공사의 사업수행성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사후평가 분석은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 후 건설 CALS시스템에 입력된 293건의 데이터 수집하여 시험분석에 활용 하였다. 수집된 사후평가 결과 데이터는 Fig. 4와 같이 시설물 유형별로 현황을 분석하여 분류하였다. 이때, 분류방식은 목적에 따라 시설물의 유형뿐만 아니라 공사규모나 공사성격, 계약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이는 시설물의 유형, 규모, 성격 등 유사한 사업간 비교·평가가 가능한 분석 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유형별로 분류된 시설물 중 수행건수를 기준으로 상위 4개 유형인 국도, 고속도로, 철도, 항만 시설물에 대한 공사비, 공사기간, 보상비, 변경성과 등의 수행성과를 시험분석하여 총괄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중 국도건설공사만을 다시 추출한 후 공사성격별, 계약성격 별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수행성과분석을 통해 데이터 리포트와 세부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유형별로 분류된 시설물 중 수행건수를 기준으로 상위 4개 유형인 국도, 고속도로, 철도, 항만 시설물에 대한 공사비, 공사기간, 보상비, 변경성과 등의 수행성과를 시험분석하여 총괄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중 국도건설공사만을 다시 추출한 후 공사성격별, 계약성격 별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수행성과분석을 통해 데이터 리포트와 세부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본 논문은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총괄보고서와 개별보고서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프로젝트 총괄보고서는 모든 프로젝트에 대해 총괄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건설 CALS에 입력된 자료를 활용하여 공사비 증감율과 공사기간 증감율 등을 시범분석 한 결과 데이터 요약 특성치가 시설물 종류별 사업 특성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개별 사업별 보고서를 통해 해당 사업이 유사 사업들과 비교하여 어느 수준의 성과를 거두었는지를 비교분석할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그리고 건설사업정보화(Construction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 CALS) 포털시스템(이하 건설CALS시스템)1)에 사후평가 수행결과가 입력된 국도, 고속도로, 철도, 항만 등 293건의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시범 분석을 실시하였다.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대상은 준공금액 기준 총 공사비 300억원 이상의 건설공사로, 준공 이후 5년 이내에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미국의 건설산업연구소(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CII)는 Performance Assessment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 지속적인 건설사업 자료수집과 분석을 통해 프로젝트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1993년 시작된 이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는 1996년 처음 보고된 바 있으며, 2011년 기준 총 1,947개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프로젝트들의 총 사업비는 약 1,940억 달러에 달한다.
그러나 법적 강제력이 없어 실제 수행사례는 많지 않다. 대상은 프랑스의 도시 및 교통 인프라, 공항, 항만 등이며, 사업의 목표와 투자비, 양적 또는 질적 서비스의 향상, 이용자 및 그 조직에 대한 영향, 국토 및 경제개발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사후평가 분석은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 후 건설 CALS시스템에 입력된 293건의 데이터 수집하여 시험분석에 활용 하였다. 수집된 사후평가 결과 데이터는 Fig.
성능/효과
개별 보고서의 그래프 모델은 1분위, 4분위를 제외한 부분만 표현하고 있는 총괄 보고서의 그래프와는 달리 4분위 전체를 표현하며,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를 화살표로 나타낸다. 위 Fig. 3과 같이 A-35 프로젝트는 입력된 총 194개 국도건설 프로젝트 중 중 공사비의 증감이 가장 적은 상위 25%인 1사분위에 포함되어 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A-013 건설공사는 하위 25%인 4사분위에 포함되어 좋지 않은 성과를 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수행된 전체 국도건설공사 중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수준을 나타냄으로써 발주자에게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분석결과 평균적으로 고속도로 19.3%, 국도 32.5%, 철도 53.8%, 항만은 11.7%의 공사비가 증액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195개의 실적을 분석한 국도건설공사에서 최고성과는 계약금액 대비 준공금액이 약 9% 감소되었으나, 최저성과는 계약금액보다 약 300% 증가되어 사업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7%의 공사비가 증액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195개의 실적을 분석한 국도건설공사에서 최고성과는 계약금액 대비 준공금액이 약 9% 감소되었으나, 최저성과는 계약금액보다 약 300% 증가되어 사업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중앙값인 23.
분석결과 평균적으로 고속도로 –0.3%, 국도 66.4%, 철도 46.8%, 항만은 20.7%의 공사기간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7%의 공사기간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188개의 실적을 분석한 국도건설공사에서 최고성과는 계약공사기간 대비 준공기간을 약 20% 감축하였으나, 최저성과는 계약공사기간보다 약 220%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기간 증감율의 경우 중앙값은 62.
분석결과 평균적으로 고속도로 63.5%, 국도 15%, 철도 24%, 항만은 0.5%의 공사비가 설계변경에 의해 공사비가 증액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195개의 실적을 분석한 국도건설공사에서 최고성과는 설계변경을 통해 계약금액 대비 약 13.
5%의 공사비가 설계변경에 의해 공사비가 증액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195개의 실적을 분석한 국도건설공사에서 최고성과는 설계변경을 통해 계약금액 대비 약 13.9% 감소되었으나, 반대로 최저성과는 계약금액보다 약 67.5%가 증액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값은 13.
그러나 평균 증감율은 신규공사가 26.0% 증액된 반면에 확장·증설 공사는 약 34.9% 증액된 것으로 나타나 확장·증설공사의 공사비 증액이 신규 공사에 비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표준편차도 신규공사에 비해 확장·증설공사가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상비 증감율 또한 공사기간 증감율과 마찬가지로 공사성격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7, Fig.
후속연구
발주자가 수행한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수행결과는 건설CALS 시스템에 입력되어 데이터를 축적한다. 축적된 데이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과 가공을 통해 향후 유사한 프로젝트 수행 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분석결과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개별 사업단위의 사후평가 보고서만 CALS에 입력되어 있을 뿐 이를 활용한 피드백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관별, 시설물별 또는 공사규모별 등 상호 비교를 통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성과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추후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중점관리항목 도출과 수행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수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래프는 중간범위만 표현하고 있지만 분석표를 통해 최대치, 최소치 등 각 분위의 값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발주자는 이미 수행한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함으로써 해당 프로젝트의 수행성과가 어느 정도인지, 또 발주기관 차원에서는 다른 발주기관들과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의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측정할 수 있고, 추후 프로젝트 수행 시 개선사항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추후 유사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당해 성과를 비교·평가하는 벤치마킹 도구로써 활용이 가능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제시한 분석방법을 토대로 시범적 분석에 그쳤으나, 지속적인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을 통해 분석 대상 시설물을 확대하고 분석 목적을 달리하며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관련 자료가 선순환되지 못한 실정이었다.
기존에는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관련 자료가 선순환되지 못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분석을 통해 추후 추진 사업 계획에 활용 가능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 분석은 어덯게 활용 가능한가?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 분석틀은 축척된 사후평가 수행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설물을 유형별, 공사규모별, 공사성격별 등으로 구분하고 해당 구분에 따라 프로젝트의 성과를 총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 분석은 표와 그래프로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사업수행성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사업수행성과의 비교 및 평가를 위한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도입 취지은 무엇인가?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도입 취지는 공공건설공사의 계획단계부터 수행단계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사업결과에 대한 적정성을 검증하여 추후 유사한 건설공사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프로젝트 총괄 보고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1 프로젝트 총괄 보고서 총괄 보고서는 데이터베이스내의 모든 사업을 통합하여 기술통계학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따라서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성과를 특정할 수 없어 개별 프로젝트의 사업수행성과에 대한 보안이 확보되며, 개별 프로젝트의 사후평가 보고서를 통해 전반적인 성과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사업수행성과의 비교 및 평가를 위한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7)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X) (2010),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of Cheongwon-Sangju Expressway and Another 1 Line (in Korea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X) (2010),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of Iksan-Pohang Expressway (Daegu-Pohang) and Another 1 Line (in Korean).
Kwon, S. W. and Park, H. S. (2009). "The case study of post evaluation for apartment complex projec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7, pp. 121- 128.
Lee, D. H. and Park, J. W. (2013). "Improvement scheme of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system."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Vol. 14, No. 6, pp. 78-89.
Lee, D. H., K, Kwon, S. W. and Park, H. S. (2007). "Reformation proposal of post evaluation regulation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3, No. 3, pp. 113-1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Improvement for Comprehensive Analysis and Reflux Systems of Construction Post Evaluation, 11-1613000-000157-01 (in Korean).
Seo, C. B. (2015). Improving Practical Use of the post-evaluation : Focused on Expressway. Master's Degree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