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새싹채소 종자의 전처리 방법이 식중독 세균 검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Sprout Seed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6, 2016년, pp.465 - 470  

김원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선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인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한상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세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윤보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류재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처리 방법이 새싹채소 재배에 사용되는 종자 중 식중독 세균의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기 위해 시중 유통되고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 19종을 수집하여 종자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Salmonella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해서 무처리, 세척,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S. enterica의 검출율을 검정하였다. 시중 유통되고 있는 종자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 등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E. coli 검출율과 양성시료에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인위적으로 S.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한 검출율 비교 검정에서도 분석시료량 대비 전처리방법별로 검출율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배지 종류에 따라서도 S. enterica의 검출율이 차이가 났다. 결론적으로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분석에 있어서 종자의 전처리 방법, 시료당 분석시료량, 선택배지 종류 등이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ple preparation methods were evaluated for effectiveness in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from sprout seeds. The methods included: Rinse.-Test portions were rinsed with 0.1% peptone water, and the pellet after centrifugation was inoculated into pre-enrichment media; and Sprouting.-Seed samples w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시료당 종자 100 g을 샘플백(18 × 30 cm, Jinsung Uni-Tech, Goyang-si, Korea)에 담고 멸균한 0.1% Peptone water (Oxoid, UK) 용액 200 ml을 넣은 후 균질기(BagMixer® 400, Interscience, Saint Nom, France)를 이용해 최고 강도로 2분간 처리하였다.
  • 이 후 VITEK 2 System (VITEK® 2, BioMérieux, Craponne, France)을 이용해 해당 균주의 생화학적 동정을 하였다.
  •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검출율을 비교하였고, Salmonella enterica를 인위적으로 접종한 알팔파 종자를 대상으로 침종, 세척, 발아의 전처리 방법 간 검출율을 검정하였다.
  • 전처리 방법에 따른 식중독 세균의 검출율을 비교하고자 한 포장단위의 작물별 종자를 소분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종자의 오염도를 최대한 균질화하기 위해 포장이 되어 있는 상태로 약 5분간 손으로 흔들어서 균질화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 전처리 방법에 따른 식중독 세균의 검출율을 비교하고자 한 포장단위의 작물별 종자를 소분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종자의 오염도를 최대한 균질화하기 위해 포장이 되어 있는 상태로 약 5분간 손으로 흔들어서 균질화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 균질 처리한 시료로부터 현탁액 약 180 ml을 50 ml conical tube (SPL, Korea)에 나누어 담은 후, 4,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버리고 pellet을 vortex mixer (Vortex-Genie 2, Scientific Industries, New York, USA)를 이용해 풀어준 뒤 conical tube에 나누어져 있는 것을 합쳐서 그 중 1ml을 취해 각 식중독 세균 분석용 증균배지에 첨가하였다.
  • 분석대상 시료를 1:9 (w/v, v/v) 비율의 mTSB (modified tryptone soya broth, Oxoid, UK)에 추가하고 37℃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novoviocin (8 µg/ml)을 추가하였고 4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 시중 유통종자에서 전처리 방법별 분석시료수 대비 E. coli의 양성수와 총 시료량 대비 E. coli 검출 시료량, S. enterica를 인위적으로 접종한 알팔파 종자의 전처리 방법별 S. enterica 검출빈도, 선택배지별 S. enterica 검출빈도를 피셔의 정확검정법(Fisher’s Exact Test)으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P < 0.05).
  • 분석대상 시료를 1:9 (w/v, v/v) 비율의 mTSB (modified tryptone soya broth, Oxoid, UK)에 추가하고 37℃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novoviocin (8 µg/ml)을 추가하였고 4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멸균 loop를 이용해 배양액 일부를 CHROMagarTM O157 (CHROMagar, France)과 SMA (sorbitol MacConkey agar, Oxoid, UK) 배지에 계대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E. coli O157:H7으로 의심되는 전형적인 형태의 colony를 NA 배지에 순수분리하였다. 이 후 VITEK 2 System을 이용해 해당 균주의 생화학적 동정을 하였다.
  • coli O157:H7으로 의심되는 전형적인 형태의 colony를 NA 배지에 순수분리하였다. 이 후 VITEK 2 System을 이용해 해당 균주의 생화학적 동정을 하였다.
  • 분석대상 시료를 1:9 (w/v, v/v) 비율의 FRASER (Oxoid, UK)에 추가하고 30℃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FRASER supplement (Oxoid, UK)를 추가하고 30℃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멸균 loop를 이용해 배양액 일부를 PALCAM과 Oxford (Oxoid, UK) 배지에 계대하고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L.
  • 분석대상 시료를 1:9 (w/v, v/v) 비율의 FRASER (Oxoid, UK)에 추가하고 30℃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FRASER supplement (Oxoid, UK)를 추가하고 30℃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멸균 loop를 이용해 배양액 일부를 PALCAM과 Oxford (Oxoid, UK) 배지에 계대하고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L. mono-cytogenes로 의심되는 전형적인 형태의 colony를 NA 배지에 순수분리하였다. 이 후 VITEK 2 System을 이용해 해당 균주의 생화학적 동정을 하였다.
  • 종자 건조를 위해 Fume hood 내에 알루미늄 호일을 깔고 그 위에 종자를 고르게 편 후 24시간 동안 두었다. 가능한 낮은 밀도로 S. enterica를 알팔파 종자에 접종되게 하기 위해 앞선 S. enterica를 접종한 건조된 종자 2g을 취해 세균을 접종하지 않은 건전한 종자 198 g에 넣어 5분간 handshaking 방법으로 균질화하고 또 다시 그 중 10g을 취해 건전한 종자 990g에 담고 균질화한 후 실험대상 종자로 사용하였다.
  • 전처리 방법별 알팔파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S. enterica의 검출율에 대한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침지, 세척, 발아방법으로 전처리를 하였다. 침지는 Salmonella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 25g을 한 점의 시료로 하였다.
  • 총 10종의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를 수집할 수 있었고, 이들을 원산지별로 구분하여 총 19가지 종류의 시료로 나누었다(Table 1). 전처리 방법 중 세척 처리구는 시료당 100 g의 종자가 사용되었고 총 270개 시료를 분석하여 분석시료량은 총 27 kg이었다.
  • 새싹채소 중 식중독 세균 오염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 발생 중 Salmonella spp.에 의한 사고가 가장 높은 비율로 보고됨에 따라4)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 종자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S. enterica 균주의 전처리 방법과 선택배지별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전처리 방법으로는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종자 시료를 증균배지에 넣는 방법과 종자 표면을 세척한 용액을 농축하여 증균과정을 거치는 세척 방법, 종자를 6시간 동안 침종한 뒤 3일간 발아시켜 증균과정을 거치는 발아 방법을 통해 인위적으로 접종한 S.
  •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Salmonella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해서 무처리, 세척,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S.
  • monocytogenes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Salmonella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해서 무처리, 세척,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S. enterica의 검출율을 검정하였다. 시중 유통되고 있는 종자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 등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E.
  • enterica 균주의 전처리 방법과 선택배지별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전처리 방법으로는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종자 시료를 증균배지에 넣는 방법과 종자 표면을 세척한 용액을 농축하여 증균과정을 거치는 세척 방법, 종자를 6시간 동안 침종한 뒤 3일간 발아시켜 증균과정을 거치는 발아 방법을 통해 인위적으로 접종한 S.enterica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2차 증균배지인 RV에 증균한 배양액을 XLD, XLT-4, CHROMagar Salmonella 선택배지에 각각 계대한 결과에 따른 S.

대상 데이터

  • 시중 유통되고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를 구입하여 분석대상 시료로 사용하였고, 각 작물별 원산지, 샘플수, 샘플당 시료량은 아래의 Table 1과 같다. 종자는 분석에 사용될 때까지 냉장 보관하였다.
  • 종자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S. enterica는 Rifampin (50 µg/ml) 항생제 내성이 있는 S. enterica ATCC 4931 균주를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시중 유통되고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알팔파 종자(Nong-woobio, Korea)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종자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S.
  • 총 10종의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를 수집할 수 있었고, 이들을 원산지별로 구분하여 총 19가지 종류의 시료로 나누었다(Table 1). 전처리 방법 중 세척 처리구는 시료당 100 g의 종자가 사용되었고 총 270개 시료를 분석하여 분석시료량은 총 27 kg이었다. 발아 처리구는 시료당 25g의 종자가 사용되었고 총 130개 시료를 분석하여 분석시료량은 총 3.
  • 전처리 방법 중 세척 처리구는 시료당 100 g의 종자가 사용되었고 총 270개 시료를 분석하여 분석시료량은 총 27 kg이었다. 발아 처리구는 시료당 25g의 종자가 사용되었고 총 130개 시료를 분석하여 분석시료량은 총 3.25 kg이었다(Table 1). Salmonella spp.

데이터처리

  • 시중 유통 종자의 전처리 방법간 유의성 검정을 SAS 9.2 (SAS Institute Inc., USA)를 이용해 실시하였다. 시중 유통종자에서 전처리 방법별 분석시료수 대비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오염 여부 조사 방법의 문제점은?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오염 여부 조사는 증균배지에 시료를 첨가하고 증균 과정을 거친 후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석대상 균주를 분리·동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법이다. 그러나 자연계에서는 식중독 세균이 종자에 매우 낮은 밀도로 존재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6), 종자의 주름진 표면, 상처가 생긴 종자 등 종자 표면 아래에 있는 세균은 증균배지에 접근되지 않아 이러한 특성이 위음성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7). 한편, 종자가 발아되고 생육되는 환경은 세균이 생장하기에 적합한것으로 알려져 있어8), 종자 표면에 존재하는 Salmonella spp.
일반적인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오염 여부 조사 방법은?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오염 여부 조사는 증균배지에 시료를 첨가하고 증균 과정을 거친 후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석대상 균주를 분리·동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법이다. 그러나 자연계에서는 식중독 세균이 종자에 매우 낮은 밀도로 존재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6), 종자의 주름진 표면, 상처가 생긴 종자 등 종자 표면 아래에 있는 세균은 증균배지에 접근되지 않아 이러한 특성이 위음성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7).
새싹채소에 식중독세균이 오염되는 경로는? 38%를 차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3). 식중독세균이 새싹채소에 오염되는 경로는 농업용수, 작업자, 작업도구, 오염된 종자 등이 있다4). 그 중 오염된 종자가 원인이 된 새싹채소 식중독 사고 발생이 가장 많은 비율로 보고되어5), 종자의 안전성 확인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homas, J.L., Palumbo, M.S., Farrar, J.A., Farver, T.B. and Cliver, D.O.: Industry practices and compliance with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elines among California sprout firms. J Food Prot, 66, 1253-1259 (2003). 

  2. Callejon, R.M., Rodriguez-Naranjo, M.I., Ubeda, C., Hornedo- Ortega, R., Garcia-Parrilla, M.C. and Troncoso, A.M.: Reported foodborne outbreaks due to fresh produc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trends and causes. Foodborne Pathog Dis, 12, 32-38 (2015). 

  3. Elaine, O.N., Sheryl, A. K., John, S.B.: Online reports of foodborne illness capture foods implicated in official foodborne outbreak reports. Prev Med, 67, 264-269 (2014). 

  4. Yang, Y., Meier, F., Ann Lo, J., Yuan, W., Lee Pei Sze, V., Chung, H.-J. and Yuk, H.-G.: Overview of Recent Events i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Sprouts and New Intervention Technologie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2, 265-280 (2013). 

  5. Foods, N.A.C.o.M.C.f.: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on sprouted seeds. Int J Food Microbiol, 52, 123-153 (1999). 

  6. Wu, F.M., Beuchat, L.R., Wells, J.G., Slutsker, L., Doyle, M.P. and Swaminathan, B.: Factors influencing the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alfalfa seeds. Int J Food Microbiol, 71, 93-99 (2001). 

  7. Jacobson, A.P., Hammack, T.S. and Andrews, W.H.: Evaluation of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Salmonella from alfalfa and mung bean seeds with the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s Salmonella culture method. J AOAC Int, 91, 1083-1089 (2008). 

  8. Taormina, P.J., Beuchat, L.R. and Slutsker, L.: Infections associated with eating seed sprouts: an international concern. Emerg Infect Dis, 5, 626-634 (1999). 

  9. Andrews, W.H., Mislivec, P.B., Wilson, C.R., Bruce, V.R., Poelma, P.L., Gibson, R., Trucksess, M.W. and Young, K.: Microbial hazards associated with bean sprouting. J Assoc Off Anal Chem, 65, 241-248 (1982). 

  10. Jaquette, C.B., Beuchat, L.R. and Mahon, B.E.: Efficacy of chlorine and heat treatment in killing Salmonella stanley inoculated onto alfalfa seeds and growth and survival of the pathogen during sprouting and storage. Appl Environ Microbiol, 62, 2212-2215 (1996). 

  11. Castro-Rosas, J. and Escartin, E.: Survival and growth of Vibrio cholerae O1, Salmonella typhi, and Escherichia coli O157: H7 in alfalfa sprouts. J Food Sci, 65, 162-165 (2000). 

  12. Inami, G.B. and Moler, S.E.: Detection and isolation of Salmonella from naturally contaminated alfalfa seeds following an outbreak investigation. J Food Prot, 62, 662-664 (1999). 

  13. Inami, G.B., Lee, S.M., Hogue, R.W. and Brenden, R.A.: Two processing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Salmonella from naturally contaminated alfalfa seeds. J Food Prot, 64, 1240-1243 (2001). 

  14. Penas, E., Gomez, R., Frias, J. and Vidal-Valverde, C.: Efficacy of combinations of high pressure treatment, temperature and antimicrobial compounds to improv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alfalfa seeds for sprout production. Food Control, 20, 31-39 (2009). 

  15. Kim, S.A., Kim, O.M. and Rhee, M.S.: Changes in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and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alfalfa (Medicago sativa) and rapeseed (Brassica napus) during sprout production in manufacturing plants. Lett Appl Microbiol, 56, 30-36 (2013). 

  16. Barret, M., Briand, M., Bonneau, S., Preveaux, A., Valiere, S., Bouchez, O., Hunault, G., Simoneau, P. and Jacques, M.- A.: Emergence Shapes the Structure of the Seed Microbiota. Appl Environ Microbiol, 81, 1257-1266 (2015). 

  17. Moise, J.A., Han, S., Gudynait-Savitch, L., Johnson, D.A. and Miki, B.L.A.: Seed coats: Structure, development, composition, and biotechnology.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41, 620-644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