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숙 횟수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급성 위염 개선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astrodia elata extract by steaming time on acute gastriti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6, 2016년, pp.597 - 603  

이아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 교실) ,  권오준 (경북지역산업평가단) ,  노정숙 (동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성수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증숙 횟수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산화방지 효과를 통한 위 점막 손상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이다. 증숙 횟수를 달리한 천마 추출물을 준비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total phenol, flavonoid, gastrodin, gastrodigenin 성분 분석 결과, 1회 증숙 천마와 9회 증숙 천마 추출물간의 급성 위염 개선 효능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HCl/ethanol로 유발된 급성 위염 동물 모델에 GE1과 GE9 (100 mg/kg body weight)과 sucralfate (10 mg/kg body weight)를 HCl/ethanol 처리 전 경구 투여하였다. 그리고 이를 정상군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급성 위염 개선 효능 실험에서 증숙 천마 추출물의 섭취는 HCl/ethanol로 유발된 위 점막 손상 마우스에서 위 조직의 육안적 손상을 감소시켰다. 9회 증숙 천마 추출물의 섭취는 위 점막 손상마우스에서 혈청의 ROS와 조직의 $ONOO^-$를 감소시켰고, 위 조직에서 염증성 매개인자인 $TNF-{\alpha}$ 또한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9회 증숙한 천마의 경구투여는 1회 증숙한 천마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위 점막 손상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9회 증숙 천마 추출물의 투여가 급성 위염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위점막 손상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tective effect of Gastrodia elata (GE) in an HCl/ethanol induced acute gastritis model by differing the steaming time. The samples GE1 (GE by steaming for 1 time) and GE9 (GE by steaming for 9 tim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HPLC analysis, free rad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증숙 천마의 위염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증숙 횟수를 달리한 천마 추출물을 급성 위염 동물모델에 경구 투여하여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염이란? 위염은 위 점막 염증성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위 점막을 보호하는 고유의 방어인자와 손상시키는 공격인자 사이의 균형이 깨져, 공격인자가 강해지거나 방어인자가 약해지면 발생하게 된다(1). 히스타민(Histamine), 위산,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과다복용과 불규칙한 식습관, 음주, 스트레스 등이 대표적인 공격인자이다(2).
위염은 어떤 경우에 발생되는가? 위염은 위 점막 염증성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위 점막을 보호하는 고유의 방어인자와 손상시키는 공격인자 사이의 균형이 깨져, 공격인자가 강해지거나 방어인자가 약해지면 발생하게 된다(1). 히스타민(Histamine), 위산,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과다복용과 불규칙한 식습관, 음주, 스트레스 등이 대표적인 공격인자이다(2).
위 점막을 손상시키는 대표적인 공격인자는? 위염은 위 점막 염증성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위 점막을 보호하는 고유의 방어인자와 손상시키는 공격인자 사이의 균형이 깨져, 공격인자가 강해지거나 방어인자가 약해지면 발생하게 된다(1). 히스타민(Histamine), 위산,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과다복용과 불규칙한 식습관, 음주, 스트레스 등이 대표적인 공격인자이다(2). 이때, 위 점막 보호물질의 감소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 히스타민 분비량 증가 등은 위 손상과 염증을 악화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nks WJ. Applied veterinary histology 2nd. pp.393-396. William & Wilkins Baltimore. Philadelphia, USA. (1986) 

  2. Shay J, Komarov SA, Fels SS, Merance D, Gruenstein M, Siplet H. A simple method for the uniform production of gastric ulceration in the rats. Gastroenterology 5: 43-61 (1945) 

  3. Suzuki H, Nishizawa T, Tsugawa H, Mogami S, Hibi T. Role of oxidative stress in stomach disorders. J. Clin. Biochem. Nutr. 50: 35-39 (2012) 

  4. Thomson A, Hemphill D, Jeejeebhoy K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intestinal disease. Dig. Dis. 16: 152-158 (1998) 

  5. Feldman M, Burton ME. $Histamine_2$ -receptor antagonists-standard therapy for acid-peptic diseases. N. Engl. J. Med. 20: 1672-1680 (1990) 

  6. Bell NJ, Hunt RH. Progress with proton pump inhibition. Yale J. Biol. Med. 65: 649-657 (1992) 

  7. Berardi RR, Savitsky ME, Nostrant TT. Maintenance therapy for prevention of recurrent peptic ulcers. Drug Intell. Clin. Pharm. 21: 493-507 (1987) 

  8. Fullarton GM, McLauchlan G, Macdonald A, Crean GP, McColl KE. Rebound nocturnal hypersecretion after four weeks treatment with an $H_2$ receptor antagonist. Gut 30: 449-454 (1989) 

  9. Szabo S, Bynum TE. Alternatives to the acid-oriented approach to ulcer disease: does 'cytoprotection' exist in man? A new classification of antiulcer agents. Scand. J. Gastroenterol. 23: 1-6 (1988) 

  10. Taguchi H, Yosioka I, Yamasaki K, Kim IH. Studies on the constituents Gastrodia elata Blume. Chem. Pharm. Bull. 29: 55-62 (1981) 

  11. Ahn DK, Kim HC. Hanyakpojaehak. Iljung Publishing House, Seoul, Korea. pp. 285-287 (2000) 

  12. Heo JC, Park JY, An SM, Lee JM , Yun CY, Shin HM, Kwon TK, Lee SH.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 83-87 (2006) 

  13. Kang TS, Kong JY, Kwon HJ, Choi, Hong JG, Park YK. A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 elata. Korean J. Mycol. 30: 136-141 (2004) 

  14. Cho HE, Choi YH, Park SH, Park YS, Ahn BY. Effect of Gastrodiae rhizoma powder on serum and liver lipid levels of rats with high fat diet. Korean J. Food Nutr. 21: 64-70 (2008) 

  15. Kim MH.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Nutr. 27: 837-844 (2014) 

  16. Blos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958) 

  1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 Med. 26: 1231-1237 (1999) 

  18.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 J. Biol. Chem. 12: 239-243 (1912) 

  19. Lister CE, Lancaster JE, Sutton KH, Walker JR.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lavonoids in skin of a red and a green apple cultivar. J. Sci. Food Agr. 64: 155-161 (1994) 

  20. Martins JLR, Rodrigues ORL, da Silva DM, Galdino PM, de Palula JR, Romao W, da Costa HB, Vaz BG, Ghedini PC, Costa EA. Mechanisms involved in the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Celtis iguanaea (Jacq.) Sargent on gastric lesions in mice. J. Ethnopharmacol. 155: 1616-1624 (2014) 

  21. Ali SF, LeBel CP, Bondy SC.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s a biomarker of methylmercury and trimethyltin neurotoxicity. Neurotoxicology 13: 637-648 (1992) 

  22. Kooy NW, Royall JA, Ischiropoulos H, Beckman JS.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on of dihydrohodamine 123. Free Radic. Biol. Med. 16:149-156 (1994) 

  23. Zhao S, Li N, Zhen Y, Ge M, Li Y, Yu B, Shao RG. Protective effect of gastrodin on bile duct ligation-induced hepatic fibrosis in rats. Food Chem. Toxicol. 86: 202-207 (2015) 

  24. Zhang JS, Zhou SF, Wang Q, Guo JN, Liang HM, Deng JB, He WY. Gastrodin suppresses BACE1 expression under oxidative stress condition via inhibition of the PKR/eIF2 ${\alpha}$ pathway in Alzheimer's disease. Neuroscience 325: 1-9 (2016) 

  25. Kam KY, Yu SJ, Jeong N, Hong JH, Jalin AMA, Lee S, Kang SG. p-Hydroxybenzyl alcohol prevents brain injury and behavioral impairment by activating Nrf2, PDI, and neurotrophic factor genes in a rat model of brain ischemia. Mol. Cells. 31: 209-215 (2011) 

  26. Liu SH, Pan IH, Chu IM. Inhibitory effect of p-hydroxybenzyl alcohol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Biol. Pharm. Bull. 30: 1135-1139 (2007) 

  27. Yun-Choi HS, Pyo MK. Isolation of 4,4'-dihydroxybenzyl sulfoxide from Gastrodia elata. Arch. Pharm. Res. 20: 91-92 (1997) 

  28. Shin SL, Lee CH. Antioxidant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aerial part and rhizomes of ferns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23: 38-46 (2010) 

  29. Park MR, You C, Chang YN, Ahn BY.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Korean J. Plant Res. 25: 379-386 (2012) 

  30. Jeon HY, Kim MH, Kim M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n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uscutae semen. Korean J. Food Cook. Sci. 24: 46-51 (2008) 

  31. Ishii Y, Fujii Y, Homma M. Gastric acid stimulating action of cysteamine in the rat. Eur. J. Pharmacol. 36: 331-336 (1976) 

  32. Kim SJ, Baek JY, Park CK, Kim GW. Gastroprotective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18-822 (2004) 

  33. Jung KW. Momordicae cochichinensis seed extract as a therapeutic agent for acute & chronic gastritis and its constituent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12) 

  34. Kenter M, Demir H, Karakaya C, Ozbek H.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Nigella sativa L oil and its constituent, thymoquinone against acute alcoh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n rats. World J. Gastoenterol. 11: 6662-6666 (2005) 

  35. Alrashdi AS, Salama SM, Alkiyumi SS, Abdulla MA, Hadi AHA, Abdelwahab SI, Asykin N. Mechanisms of gastroprotective effects of ethanolic leaf extract of Jasminum sambac against HCl/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n rats. Evid.-Based Compl. Alt. 2012: 786426 (2012) 

  36. Boligon AA, de Freitas RB, de Brum TF, Waczuk EP, Klimaczewski CV, de Avila DS, de Freitas Bauermann L. Antiulcerogenic activity of Scutia buxifolia on gastric ulcers induced by ethanol in rats. Acta Pharm. Sin. B. 4: 358-367 (2014) 

  37. Bilici D, Suleyman H, Banoglu ZN, Kizltunc A, Avci B, Clftcioglu A, Bilici S. Melatonin prevents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possibly due to its antioxidant effect. Dig. Dis. Sci. 47: 856-861 (2002) 

  38. Suzuki Y, Ishihara M, Segami T, Ito M. Anti-ulcer effects of antioxidants, quercetin, alpha-tocopherol, nifedipine and tetracycline in rats. Jpn. J. Pharmacol. 78: 435-441 (1998) 

  39. Atsushi O, Kenjirou O, Mamoru K, Hideaki H. Protective effects of a gastrointestinal agent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on gastric ulcer models in mice. BMC Complem. Altern. M. 10:10.1186/1472-6882-10-45 (2010) 

  40. Van Antwerp DJ, Martin SJ, Verma IM, Green DR. Inhibition of TNF- ${\alpha}$ induced apoptosis by NF- ${\kappa}B$ . Trends Cell Biol. 8: 107-111 (1998) 

  41. Opal SM, DePalo VA. Anti-inflammatory cytokines. Chest 117: 1162-1172 (2000) 

  42. Lee SW, Shin SM, Kim HY, Han SH, Kim KH, Kwon JH, Kwak JH, Lee CK, Yim DS, Kim KJ. Anti-inflammatory function of arctiin by inhibiting COX-2 expression via NF- ${\kappa}B$ pathways. J. Inflamm. 8: 10.1186/1476-9255-8-16 (2011) 

  43. Ekmekcioglu S, Ellerhorst J, Smid CM, Prieto VG, Munsell M, Buzaid AC, Grimm EA.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nitrotyrosine in human metastatic melanoma tumors correlate with poor survival. Clin. Cancer Res. 6: 4768-4775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