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간호학 수업에 팀 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dult Nursing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241 - 249  

정경숙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간호학의 혈액계 환자간호에서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학습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팀 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단일군 전 후 실험설계연구이며, 2018년 4월 5일에서 5월 17일까지 B시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에게 TBL 수업 후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학습 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모두 향상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상자들의 팀 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교육에 팀 기반 학습법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뿐만 아니라 간호교육의 질을 높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추후 타 교수학습법과 비교하여 연구해볼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BL program in the nursing Hematopoietic disorder in adult nursing, to apply nursing students to confirm the effects of academic self - efficacy,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perceptions of team-based l...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후 다시 팀 별 번호카드를 들어 올리도록 하여 토론의 결과를 확인 한 후 교수자가 정답을 발표 하고 해당 문항에서 주요 논점과 핵심사항을 정리하였다.교수자는 팀 별 점수를 발표하고 사전 읽기 자료에서 어려운 부분을 질문 받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한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학 이론과목인 성인간호학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 전·후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학습만족도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TBL 적용 후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확인하여 주로 사용하는 강의식 수업과 함께 간호교육에서 TBL의 적용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TBL을 성인간호학 이론 수업에 적용한 후 TBL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이론 수업에 TBL을 적용한 후 TBL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연구이다.
  • 사전 자가학습 과정은 학습자들이 선행 읽기 과제를 통해 학습해야하는 주요한 개념들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시작 1주일 전에 교수자가 수업 진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알려주고 사전학습을 위해 19페이지 가량의 읽기 자료를 유인물로 제공하였다. 학생은 제시된 학습자료를 바탕으로 미리 예습을 하고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 높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새로운 상황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보다 잘 학습할 수 있도록 이끄는 원동력이 되므로 학습자는 보다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게 되고, 성공적으로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더욱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며, 어려운 일에 부딪혀도 지속적으로 과제를 끈기 있게 하게 된다[30].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이 TBL 수업을 하는 동안 공동의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팀원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하고 서로를 격려하는 등, 학습활동 시 이루어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성취감의 결과로 여겨진다. 또한 그라운드룰을 통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여 학업을 위한 환경을 만들고, 자신의 의견을 조원들과 공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학생 스스로가 학업에 대한 자기조절을 잘 수행한 결과로 보여진다.
  • 이를 바탕으로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한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학 이론과목인 성인간호학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 전·후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학습만족도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 기반 학습이 주목받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그러므로 학생 스스로가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적용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해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새롭고 다양한 교육방식의 도입과 전환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8,9]. 이에 대한 방안 중 하나로 강의식 학습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학습자 개개인을 학습에 참여시킴과 동시에 현 시대가 요구하는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 방식으로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 TBL)이 주목받고 있다[10].
강의식 수업의 특성은 무엇인가? 강의식 수업은 간호교육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고차원적인 사고를 촉진시키는 활동보다는 단순한 수용적 학습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6]. 그러나 더이상 기존의 암기식 혹은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만으로 학생들이 변화된 의료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이다[7].
최근 간호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이 변화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최근의 의료 환경 또한 의료분야의 전문화, 의료기술의 발전, 대상자의 건강요구 변화와 새로운 정보 및 지식의 증가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에 임상간호현장도 단순하고 반복적인 상황에서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변화되면서 다양한 간호 상황과 복잡한 간호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2]. 이러한 변화에 간호교육 현장에서도 국내외 보건의료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수행 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간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서 성과기반교육체제와 함께 간호사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Y. H. Jin & J. W. Son. (2011). Eff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3), 703-718. DOI : 10.9722/JGTE.2011.21.3.703 

  2. K. J. Koh, S. J. Kim & H. K. Kang. (2010).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a College's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PBL Strateg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33-42. DOI : 10.5977/JKASNE.2010.16.1.033 

  3. I, S. Seo, S. M. Oh, D. W. Choi, H. O. Park & R. W. Ma. (2014). Effects of Basic Clinical Practice Program in Academic Motivati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5(4), 2276-2284. DOI : 10.5762/KAIS.2014.15.4.2276 

  4. S. Berkow, K. Virkstis, J. Stewart & L. Conway. (2008). Assessing new graduate nurse performan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7(11), 468-474. DOI : 10.1097/01.NNA.0000339477.50219.06 

  5. H. S. Oh. (2015).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409-418. DOI : 10.14400/JDC.2015.13.9.409 

  6. S. Y. Baek et al. (2011). Instructional Analysis of Lecture Video Recordings and Its Applic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Medical Lectur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3(4), 263-274. DOI : 10.3946/kjme.2011.23.4.263 

  7. Y. R. Hur. (2000). (A) study on teaching strategy of problem-based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A. R. Cho, S. I. Han, S. H. Yoon, S. Kim, J. H. Park & N. J. Yoo. (2010). Methods of Effective Team-Based Learning Administration and Expected Effects o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2(1), 47-55. DOI : 10.3946/kjme.2010.22.1.47 

  9. M. Y. Jho & M. O. Chae. (2014).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13-522. DOI : 10.5977/jkasne.2014.20.4.513 

  10. C. Y. Ha & S. Y. Lee. (2014).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Model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on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1), 1-26. 

  11. L. K. Michaelsen, D. X. Parmalee, L. L. McMahon & R. E. Levine. (2008).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VA : Sterling. 

  12. D. X . Parmelee & L. K. Michaelsen. (2010). Twelve tips for doing effective team based learning. Medical Teacher, l32, 118-122. DOI : 10.3109/01421590903548562 

  13. Y. S. Roh, E. N. Ryoo, D. W. Choi, S. S. Baek & S. S. Kim. (2012).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239-247. DOI : 10.5977/jkasne.2012.18.2.239 

  14. Y. H. Cho.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program on enha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15. S. H. Lim. (2015).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natomy Subject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0), 7098-7108. DOI : 10.5762/KAIS.2015.16.10.7098 

  16. S. J. Han. (2013).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5), 559-566. DOI : 10.7475/kjan.2013.25.5.559 

  17. H. S. Jun & H. J. Ju. (2017). The Effect of Term Based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269-279. DOI : 10.14400/JDC.2017.15.10.269 

  18. J. H. Seo. (2012). Impact of Team 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Seonam University, Namwon. 

  19. J. Y. Lee, B. S. Lee & S. E. Oh. (2015, November).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Fall Conference. (pp.73-75). Cheongju. 

  20. S. O. Kim. (2017).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tion in Lesson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351-363. DOI : 10.14400/JDC.2017.15.4.351 

  21. A. Y. Kim & I. Y. Park.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22. S. O. Kim & M. S. Kim. (2016).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Fundamentals of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107-119. DOI : 10.5762/KAIS.2016.17.12.107 

  23. S. G. Shin, H. J. Hwang, S. J. Kim & G. S. Seung. (1992).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Pursuit of the Essence of Education(III): Mathematics and evaluation tools (RM 92-05-02). Seoul :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4. S. Y. Hwang. (2003).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5. J. M. Keller. (1987).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motivation to learn. Performance & Instruction, l26(8), 1-7. DOI : 10.1002/pfi.4160260802 

  26. H. S. Jung. (2005). Effects of Self-Directedness, Task, Value, and Learning Type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N. S. Vasan, D. O. DeFouw & S. Compton. (2009).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in anatomy curriculum: Favorable views unrelated to grades. Anatomical Science Education, 2(4), 150-155. DOI : 10.1002/ase.91 

  28. L. H. Yang, L. Y. Jiang, B. Xu, S. Q. Liu & Y. R. Lian. (2014). Evaluating team-based, lecture-based, and hybrid learning methods for neurology clerkship in China: a method-comparison study. BMC Medical Education, 14(1), 2014. DOI : 10.1186/1472-6920-14-98 

  29.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30. J. A. Jeong. (2012).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s i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to Major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3(5), 2329-2344. DOI : 10.15703/kjc.13.5.201210.2329 

  31. I. S. Park. (2009). Effe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oral prophylaxis of dental hygien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32. L .K. Michaelsen, A. B. Knight & D .L. Fink. (2004). Team- 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VA : Stylus Publishing. 

  33. R. E. Slavin. (1991).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48(5), 71-82. 

  34. W. S. Chang. (2016). The Effects of TBL(Team based lear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2), 655-666. DOI : 10.5392/JKCA.2016.16.12.6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