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가관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비약물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270 - 284  

허석모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주과) ,  허나래 (한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유방암 생존자들의 비약물적 추후 관리 경험에 대한 본질적 구조와 의미에 대해 심도 있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 총 참여자는 10명으로 S시 E병원 외래에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유방암 생존자로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완료한 자들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심층면담 후 Colaizzi의 방법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7개의 주제는 '1.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용이한 방법을 적용함, 2. 변화된 신체 상태를 위해 움직이려 함, 3. 재발 방지를 위해 특정 식용 작물을 섭취함, 4.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 양식이 있음, 5.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항상 예의주시함, 6. 주치의 처방외 필요한 치료가 있음, 7. 자연친화적인 환경에서의 삶을 지향함' 이었다. 이번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들이 치료 후에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추후관리를 하는지 심도있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나아가 본 결과는 향후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실제 관리 양식에 근거한 실행 가능한 지침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써 제공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by using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breast cancer survivors who were completing cancer treatment that involved surgery, che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중의 하나인 facework에서는 유방암 그룹이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 이와 같이 치료 후 관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방암 생존자들은 스스로 사회적 네트웍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해 스스로 그들의 건강상태를 공유하고 필요한 도움이 무엇인지를 알리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중의 하나인 facework에는 1,090,397명으로 구성된 620개의 유방암 그룹이 형성 되어 있어 ‘상품 또는 서비스 증진, 지지 탐색, 인지 제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16]. 국내에서도 유방암 생존자 중심의 블로그들이 운영되고 있고, 멘토를 찾는다는 공지를 올리기도 한다[17].
국가 암통계에 따르면 2013년 여성의 암 발병 2위는 어떤 암인가? 의학기술의 발달로 유방암 환자의 생존기간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가 암통계에 따르면 2013년 여성의 암 발병 2위는 유방암으로, 유병자수는 146,416명이며 5년 상대생존율은 91.5%였다[1].
유방암 생존자들은 치료가 끝난 후에도 여러 가지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는데, 구체적으로 해당 문제들에는 어떤 예들이 있는가? 수술, 방사선 요법, 항암 화학 치료, 호르몬 요법, 면역 요법 등의 의학적 치료로 인해 생존율이 높아졌지만[2], 치료가 끝난 후에도 유방암 생존자들은 끊임없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3]. 상지 기능 저하, 통증[4], 인지기능 손상, 폐경[5], 피로[6], 재발에 대한 불안과 불확실성[7]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러한 경험들은 일상적인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National Cancer Care, "2013 Statistics registration project annual report", [cited 2016, August 28],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402000000 

  2. A. Lee, B. I. Moon.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The Ewha Medical Journal, vol. 37, no. 2, pp.75-82, 2014. DOI: http://dx.doi.org/10.12771/emj.2014.37.2.75 

  3. M. Rosedale, M. R. Fu, "Confronting the unexpected: temporal, situational, and attributive dimensions of distressing symptom experienc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vol. 37, no. 1, pp. 28-33, 2010. DOI: http://dx.doi.org/10.1188/10.ONF.E28-E33 

  4. M. Lee, S. Kim, J. Shim, "Comparison of shoulder range of motion, pain, function, scapular position between breast cancer surgery and shoulder surgery femal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vol. 22, no. 1, pp. 9-18, 2015. DOI: http://dx.doi.org/10.12674/ptk.2015.22.1.009 

  5. G. D. Kim, B. Y. Chung, K. H. Kim, H. S. Byun, E. H. Choi. "Comparison of climacteric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women", Asian Oncology Nursing, vol. 13, no. 1, pp. 11-17, 2013. DOI: http://dx.doi.org/10.5388/aon.2013.13.1.11 

  6. Y. M. Ryu, M. Yi,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vol. 13, no. 3, pp. 121-127, 2013. DOI: http://dx.doi.org/10.5388/aon.2013.13.3.121 

  7. J. H. Yang,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living world amo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1, pp. 140-151, 2008.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1.140 

  8. F. Mols, A. J. Vingerhoets, J. W. Coebergh, L. V. van de Poll-Franse,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Cancer, vol. 41, no. 17, pp. 2613-2619, 2015. DOI: http://dx.doi.org/10.1016/j.ejca.2005.05.017 

  9. C. L. Rock, C. Doyle, W. Demark Wahnefried, J. Meyerhardt, K. S. Courneya, K. S. Schwartz, A. L. AL, et 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vol. 62, no. 4, pp. 242-274, 2012. DOI: http://dx.doi.org/10.3322/caac.21142 

  10. K. H. Schmitz, K. S. Courneya, C. Matthews, W. Demark-Wahnefriend, D. A. Galvao, B. M. Pinto, et al.,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roundtable on exercise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42, no. 7, pp. 1409-1426, 2011. DOI: http://dx.doi.org/10.1249/MSS.0b013e3181e0c112 

  11. N. Davies, L. Batehup, "Self-management support for cancer survivors: Guidance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London", UK: Macmillan Cancer Support, pp. 1-82, 2010. 

  1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Institute, "2014 Patient management guidelines", [cited 2016, August 28],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60107030000 

  13. S. Y. Park, J. I. Kim, "Effects of BeHaS exercise program on flexibility, grip strength, stress and self-esteem i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0, no. 3, pp. 171-179, 2013. 

  14. G, Kang. S. Oh,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erceived stress, ways of coping, and stress respons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2, pp. 161-170, 2012.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2.42.2.161 

  15. Y. S. Kim, K. C. Kim, J. W. Lee, Y. H. Kim,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Qigong exercis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of community in B c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6, pp. 3263-3277. 2013. 

  16. J. L. Bender, M. C. Jimenez-Marroquin, A. R. Jadad, "Seeking support on facebook: A content analysis of breast cancer group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 13, no. 1, 2011. DOI: http://dx.doi.org/10.2196/jmir.1560 

  17. CHA Medical group, "Mentoring program for breast cancer patients", [cited 2016, August 28], Available from: http://blog.naver.com/chagroup/220762258480 

  18. M. A. Burg, G. Adorno, E. D. Lopez, V. Loerzel, K. Stein, C. Wallace, D. K. Sharma, "Current unmet needs of cancer survivors: analysis of open-ended responses to the American Cancer Society Study of Cancer Survivors II", Cancer, vol. 121, no. 4, pp. 623-630. 2015. DOI: http://dx.doi.org/10.1002/cncr.28951 

  19. M. Feuerstein, "Defining cancer survivorship",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Vol 1, no. 1, pp. 5-7, 2007. DOI: http://dx.doi.org/10.1007/s11764-006-0002-x 

  20. 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Cancer Control Planning Board, "2016 Promo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o conquer cancer", [cited 2016, August 28], Available from: https://ncc.ncc.re.kr/ 

  21. P. E.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cal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22. Y. S. Lincoln,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23. S. M. Heo, N. Heo, "The experience of self-management support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8, no. 4, pp. 470-481, 2016.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6.28.4.470 

  24. S. H. Kim, R. Lee, K. S. Lee. "Symptoms and uncertainty in breast cancer survivors in Korea: Differences by treatment trajector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21, pp. 1014-1023,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896.x 

  25. S. Y. Kim, "Evidence-based assessment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1, no. 5, pp. 403-410, 2008. DOI: http://dx.doi.org/10.5124/jkma.2008.51.5.403 

  26. J. Kim, H. Yoo, C. Cho, C. Son, J. Cho, Y. Lee, "Study on level of evidence and recommendatio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cancer by using natural standard methodology", vol. 29, no. 1, pp. 160-176, 2008. 

  27. National Cancer Institute Center, "Awarenes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ited 2016, August 28],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album/gallery.jsp?boardType02&boardId31817&listType02&boardSeq3799442&mcategoryId&idcancer_050207000000&spage1 

  28. K. O, Kim, H. Park, M. Chun, E, H. Lee, H-S, Kim. "Eating patterns and use of nutritional informa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treated with radiatio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3, No 46. 3, pp. 250-260, 2013. DOI: http://dx.doi.org/10.4163/jnh.2013.46.3.250 

  29. M. Yun, M. Song,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0, no. 1, pp. 41-51, 2013. 

  30. D. W. Han, Y. Y. Kim, S. J. Choi, J. H. Hwang, "Determinants on Korean medicine us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vol. 16, no. 3, pp. 37-51, 2012. 

  31. M. Baranski, D. Srednicka-Tober, N. Volakakis, C. Seal, R. Sanderson, G. B. Stewart, et al., "Higher antioxidant and lower cadmium concentrations and lower incidence of pesticide residues in organically grown crop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e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vol. 112, no. 5, pp. 794-811. 2014. DOI: http://dx.doi.org/10.1017/S0007114514001366 

  32. B. K. Lee, H. H.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physiology after foster phytoncide therapy", Journal of Naturopathy, vol. 1, no. 1, pp. 14-2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