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생존자의 재활을 위한 국내 프로그램 고찰
Review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307 - 315  

한종희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 기술의 발달은 암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암치료는 종료되었지만 암생존자들은 지속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로 고통 받고 있다. 따라서 암생존자들이 경험하는 문제에 총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통합 재활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암생존자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을 확인하고 재활의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통합재활프로그램 개발의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문헌검토를 통해 검색된 13개의 연구 논문을 고찰한 결과 암생존자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은 운동, 심리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었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신체 기능 향상과 피로, 이차암 또는 암 재발과 관련된 호르몬의 변화를 통해 재활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심리사회 프로그램은 삶의 질,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정서의 변화, 긍정적 자기 변화를 표현하는 외상 후 성장으로 효과를 측정하였고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통합재활프로그램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측면을 모두 향상시켰다. 향후 암생존자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측면뿐만 아니라 직업 재활 측면까지 고려되어야 하며 암생존자의 다양성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dvances in health care, the cancer survival rat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Even though cancer treatment has finished, cancer survivors may continuously suffer from physical and psychosocial proble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blems cancer survivors have experienced, a comprehensive re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 재활 프로그램의 구성을 확인하고 재활프로그램의 효과 지표들을 분석하고자, 문헌 검토를 통해 검색된 13개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암생존자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은 운동, 심리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었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신체기능 향상과 피로, 이차암 또는 암 재발의 지표가 될 수 있는 호르몬과 암 지표의 감소를 재활 효과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검토된 문헌 및 분석에 근거해서 암생존자의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과 관련해서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 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하고 그들의 욕구와 관심에 근거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운동 프로그램은 대부분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유방암 치료 후 저하되는 신체적 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폐암 생존자는 호흡기 기능이 후두암 생존자는 발성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분석된 운동프로그램은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고 암과 관련이 있는 호르몬들을 조절하여 암의 재발을 낮추고자 하였으며, 신체활동 증가에 따른 긍정적 심리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먼저 신체 기능 향상 면을 살펴보면, 대부분은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유방암 치료 후 나타나는 어깨 관절의 기능 저하, 림프 부종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 하고 상지 근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악력을 측정하여 재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다룬 13개의 연구 논문을 검토하였다. 검토된 13개의 연구 논문을 통해 암 생존자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그런 프로그램들이 다양한 재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지표를 사용하였는지 분석하였다.
  • 가정기반운동(home - based exercise)[16]은 운동 비디오, 만보기, 운동책자 및 일지를 제공하여 집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매일 만보를 걷고 운동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12주 동안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공복 시 혈당, 아디포사이토 카인, TNF a의 감소를 통해 대장암 재발에 대한 위험도를 낮추고자 하였으며 신체 기능과 근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디포사이토 카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다른 공복 혈당, TNF a, 신체기능과 근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근거로 암생존자를 위한 국내 재활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에 대한 자료들을 열거해 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 및 효과 지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암생존자를 위한 통합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활용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체 13개 논문 중 3개의 논문이 운동과 심리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재활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베하스 운동 프로그램, 통합 재활프로그램이 여기에 해당된다.
  • 재활운동센터에서 매회 총 50~ 60분, 주 2회 또는 3회, 12주간 진행하였다. 참여자의 신체 기능 향상과 피로도 감소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 활동내용은 영화감상 후 본인 삶의 덫에 대해 이야기하기, 이완요법, 감사편지쓰기, 긍정적 활동 계획하기, 용서활동 훈련하기, 미소 짓는 연습하기 등을 포함하였다. 프로그램은 외상 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회복 탄력성 및 적응적 정서조절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참여자는 모두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발생률이 증가 원인은? 고령화, 식생활 및 생활환경의 변화 등으로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조기진단과 암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암 생존율 또한 크게 향상됨에 따라, 암 생존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중앙 암등록본부의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5년 암 상대 생존율은 69.
중앙 암등록본부의 보고에 의한 5년 암 상대 생존율은? 고령화, 식생활 및 생활환경의 변화 등으로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조기진단과 암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암 생존율 또한 크게 향상됨에 따라, 암 생존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중앙 암등록본부의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5년 암 상대 생존율은 69.4%로 암 발생자의 절반 이상이 5년 이상 생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이는 암 치료가 종결된 후 지역사회로 돌아가 일상생활을 하고 건강 유지를 위해 스스로 관리해야 하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69.4%로 암 발생자의 절반 이상이 5년 이상 생존한다는 의미는? 4%로 암 발생자의 절반 이상이 5년 이상 생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이는 암 치료가 종결된 후 지역사회로 돌아가 일상생활을 하고 건강 유지를 위해 스스로 관리해야 하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3. Seoul: 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2. Bender CM, Engberg SJ, Donovan HS, Cohen SM, Houze MP, Rosenzweig MQ. "Symptom clusters in adults with chronic health problems and cancer as a comorbidity",Oncology Nursing Forum, vol. 35, pp. 1-11, 2008. DOI: http://dx.doi.org/10.1188/08.ONF.E1-E11 

  3. Campbell MK, Tessaro I, Gellin M, Valle CG, Golden S, Kaye L, Ganz PA, McCabe MS, Jacobs LA, Syrjala K, Anderson B, Jones AF, Miller K. "Adult cancer survivorship care: experiences from the LIVESTRONG centers of excellence network".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 research and practice, vol.5, no. 3, pp.271-82, 2011. DOI: http://dx.doi.org/10.1007/s11764-011-0180-z 

  4. Thorsen L, Gjerset GM, Loge JH, Kiserud CE, Skovlund E, FlOtten T, Fossa SD. "Cancer patients' needs for rehabilitation services". Acta Oncologica. vol. 50, no. 2, pp. 212-22, 2011. DOI: http://dx.doi.org/10.3109/0284186X.2010.531050 

  5. Alfano CM, Rowland JH. "Recovery issues in cancer survivorship: A new challenge for surpportive care." Cancer Journal, vol. 12, pp. 432-43, 2006. DOI: https://doi.org/10.1097/00130404-200609000-00012 

  6. Seo HG, Park JH, Kwon SS. Evidence - based management for cancer survivor, Ilsan: National Cancer Center, 2013. 

  7. Hutchison NA. "Cancer rehabilitation," Minnesota medicine, vol. 93, no. 10, pp. 50-52, 2010. 

  8. Alfano CM, Rowland JH. "Recovery issues in cancer survivorship: a new challenge for supportive care." The Cancer Journal, vol. 12, no. 5, pp. 432-443, 2006. DOI: https://doi.org/10.1097/00130404-200609000-00012 

  9. Lee, Bo Y, Jo, Heui S, Kwon, Myung S. "Survey on quality of life. Meth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49-60, 2010. 

  10. Hanssens S, Luyten R, Watthy C, Fontaine C, Decoster L, Baillon C, Trullemans F, Cortoos A , De Greve J. "Evaluation of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ost-treatment patients with cancer." Oncol Nurs Forum, vol. 38, no. 6, pp. 418-424, 2011. DOI: http://dx.doi.org/10.1188/11.ONF.E418-E424 

  11. Shelby RA, Taylor KL, Kerner JF, Coleman E, Blum D. "The role of community-based and philanthropic organizations in meeting cancer patient and caregiver need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vol. 52, no. 4, pp. 229-46, 2002. DOI: http://dx.doi.org/10.3322/canjclin.52.4.229 

  12. Kim MS, Ryu KH, Lee EN. "The Effect of a 12-week Combined-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Fatigue for Cancer Survivo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19, no. 1, pp. 5-15, 2012. DOI: http://dx.doi.org/10.5953/JMJH.2012.19.1.005 

  13. Kim YW, Kim MS. "The Effects of 12 Week's Yoga, Elastic Band Exercise and Swiss Ball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for Breast Cancer Survivor."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35, no. 2, pp. 1051-1060, 2009. 

  14. Kim SM, Choi DH.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for breast cancer survivors in estradiol, IGF-I and CA15-3."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 9, no. 3, pp. 211-221, 2014. 

  15. Kim YS, Kim KC, Lee JW, Kim YH.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Qigong Exercis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of Community in B C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6, pp. 3263-3277, 2013. 

  16. Lee MK. "Effects of 12 weeks home-based exercise program on fasting insulin and adipocytokines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Seoul: Yonsei University, 2014. 

  17. Verkasalo PK, Thomas HV, Appleby PN, Davey GK, Key TJ. "Circulating levels of sex hormones and their relation to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 cross-sectional study in 1092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United Kingdom)." Cancer Causes & Control, vol. 12, no. 1, pp. 47-59, 2001. DOI: http://dx.doi.org/10.1023/A:1008929714862 

  18. Hong S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ansitional Care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Transition for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Seoul: Younsei University, 2013. 

  19. Oh KO, Gang MH, Jung KS.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tate-Anxie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Cancer Survivors." Asian Oncology Nursing, vol. 12, no. 2, pp. 125-131, 2012. DOI: http://dx.doi.org/10.1097/CHI.0b013e3181825af8 

  20. Yun MR. "Effects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logical Well-being."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21. Kong JH. "The effects of Healing movie program on Post traumatic stress syndrome ,resilience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of the cancer survivor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22. Seo Y, Oh H, Seo W.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related fatigue."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vol. 14, no. 5, pp. 380-386, 2010. DOI: http://dx.doi.org/10.1016/j.ejon.2009.09.008 

  23. Oh PJ, Jung JA.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related Fatigue in Korea: 1990-2010."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2, pp. 163-175, 2011. DOI: http://dx.doi.org/10.1097/CHI.0b013e3181825af8 

  24. Mishra SI, Scherer RW, Geigle PM, Berlanstein DR, Topaloglu O, Gotay CC, Snyder C. "Exercise intervention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r cancer survivor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 2, no. 8, 2012. DOI: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7566.pub2 

  25. Park SY, Kim JI. "Effects of BeHaS Exercise Program on Flexibility, Grip Strength, Stress and Self-esteem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0, no. 3, pp. 171-179, 2013. DOI: http://dx.doi.org/10.5953/JMJH.2013.20.3.171 

  26. Hwang KH. "Effect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Fatigue, Cardiopulmonary Function, Muscle Strength, Immune Response and Quality of life in Ovarian Cancer Survivor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2011. 

  27. Cho OH. "Effects of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4, no. 5, pp. 809-819, 2004. 

  28. Jang, Eun H, Choi, Kyung S, Kwon, Soo J.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on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vol. 13, no. 1, pp. 1-10, 2013. DOI: https://doi.org/10.5388/aon.2013.13.1.1 

  29. Kim, Yoon S, Tae, Young S. "The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sian Oncology Nursing, vol. 11, no. 3, pp. 221-228, 2011. DOI: https://doi.org/10.5388/jkon.2011.11.3.221 

  30. Harrison SE, Watson EK, Ward AM, Khan NF, Turner D, Adams E, Forman D, Roche MF, Rose PW. "Primary health and supportive care needs of long-term cancer survivors: a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 29, no. 15, 2011. DOI: http://dx.doi.org/10.1200/JCO.2010.32.5167 

  31. Golant M, Altman T, Martin C. "Managing cancer side effect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 cancer psychoeducation program." Cancer nursing. vol. 26, no. 1, pp. 37-44, 2003. 

  32. Park M-S, Kim K-S. "Cancer Survivors' Life Experience." Asian Oncology Nursing, vol. 8, no. 2, pp. 93-104, 2008. DOI: https://doi.org/10.1097/00002820-200302000-00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