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영어권 외국인 입원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Caring Experiences of the Nurses Caring for Foreign Inpatients of non-English Speak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415 - 426  

장혜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이은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내 외국인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적인 간호경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외국인 환자의 간호의 질을 관리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비영어권 외국인 입원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년 이상의 병원임상경력을 가진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개인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영어권 외국인 입원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은 '문화적 차이 인식', '진심을 통한 신뢰관계 형성', '추가적인 간호업무', '진정한 간호로의 몰입', '아쉬움과 후련함'으로 총 5개의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비영어권 외국인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사들이 비영어권 외국인 환자를 돌보면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간호를 위해 적극적인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통역 서비스 등의 인적 자원이나 영문 이외의 다양한 언어로 된 진료 안내서와 교육 자료 등의 시스템적인 자원 부족이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과 자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patient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for foreign inpatients through the promotion of studies on practical nursing care experience.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c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국내 거주 외국인은 어떠한가? 최근 10여 년간 우리사회는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의 원인에 의해 외국인 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7년에는 국내 거주 외국인 100만 시대를 맞이 하였다. 2015년 국내 거주 외국인은 174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4%를 차지하고 있으며, 2050년이 되면 9.2%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의료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간호사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이렇듯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의료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국제진료센터를 운영하고 외국인 환자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등 외국인 환자 응대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3]. 특히 간호사는 외국인 환자의 의료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전문 의료 인력으로 간호수행, 진료지원, 교육 및 상담 등의 포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의사소통 기술, 신뢰관계 형성 기술,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지식과 문화적 배경과 차이에 대한 이해 등의 국제간호역량이 요구된다[4].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외국인 전담간호사나 외국인 전담코디네이터 등의 이름으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업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나 지침이 부족하고[5,6], 병원마다 외국인 전담 간호사의 역할 범위가 각기 다르며, 업무 범위 또한 제한적이어서 간호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비영어권 외국인 입원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이 어떠한 주제로 도출되었는가? 자료수집은 개인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영어권 외국인 입원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은 '문화적 차이 인식', '진심을 통한 신뢰관계 형성', '추가적인 간호업무', '진정한 간호로의 몰입', '아쉬움과 후련함'으로 총 5개의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비영어권 외국인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사들이 비영어권 외국인 환자를 돌보면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간호를 위해 적극적인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nistry of the Inferior. Governments in 2015[Internet]. Seoul: Author: Available from: http://www.mogaha.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463272015 (accessed Aug., 5, 2015).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s on international patients in Korea[Internet]. Osong: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Available from: http://www.khiss.go.kr/board/bbs_read.jsp?tnameMINBOARD358&bbsidB301&cat_bbsid&bbs_seq406&jkey&jword&pg1&htxt_codenull&wj_vcs&reverseNum0&forwardNum0 (accessed Jan., 18, 2016) 

  3. K. S. Kim, J. W. Ahn, J. A. Kim, H. J. Kim, "A comparison study using mixed methods on foreig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4, no. 1, pp. 86-96, 2014.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4.44.1.86 

  4. S. J. Kim, J. A. Oh, H. J. Park, B. R. Kim, K. S. Hong, Understanding of global healthcare & application for nursing practice, pp. 1-7, Fornurse, 2016. 

  5. J. S. Kim, Y. H. Kim, Y. H. Kim, S. J. Lee, "Job analysis of global health care coordinators based on DACUM method",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0, no. 3, pp. 353-372, 2011. 

  6. H. S. Park, S. J. Ha, J. H. Park, J. H. Yu, S. H. Lee, "Employment experiences of nurses caring for foreig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3, pp. 281-291,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81 

  7. C. K. Koh, S. K. Koh, "Married female migrants' experiences of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Education, vol. 15, no. 1, pp. 89-99, 2009.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1.089 

  8. J. Kim, "Survey of services provid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foreign worke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vol. 30, no. 1, pp. 24-35, 2004. 

  9. S. Kim, "The conception and factors that affect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among foreign migrant workers in Korea",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vol. 18, pp. 255-297, 2015. DOI: http://dx.doi.org/10.15400/mccs.2015.04.18.255 

  10. M. Ju, M. Kang, H. Bae, "Legislature regarding the right to health of foreigners - Focusing on the subrogation payment system in the Korea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vol. 21, no. 2, pp. 221-246, 2013. 

  11. B. S. Lee, I. K. Oh, E. M. Lee, "Foreign residents' experience of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226-237,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226 

  12. M. Tatiana, W. H. Choi, J. K. Jun, "The effects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Russian tourist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8, no. 2B, pp. 891-902, 2016. 

  13. H. O. Chung, "A study on plans for the education of specialists and required manpower in medical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35, no. 6, pp. 205-228, 2011. 

  14. K. Craig, L. Beichl, "Glottalization of healthcare: case management in a 21st-century world",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vol. 14, no. 5, pp. 235-246, 2009. DOI: http://dx.doi.org/10.1097/NCM.0b013e3181badd06 

  15. J. A. Kim, Y. R. Park, H. J. Kim, "Health care providers' treatment experiences, attitude for international pati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awareness, needs for global healthcare for international patients projec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4, pp. 2229-2243, 2014. 

  16. Y. M. Won, M. K. Rho, M. S.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medical tourism specialist", Journal of Tourism Policy, vol. 13, no. 1, pp. 107-126, 2007. 

  17. Y. M. Chao, Y. T. Dai, M. C. Yeh, "Perspectives on nursing education, licensing examinations and professional core competence in Taiwan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Hu Li Za Zhi, vol. 57, no. 5, pp. 5-11, 2010. 

  18. M. Ben-Natan, E. Ben-Sefer, M. Ehrenfeld, "Medical tourism: A new role for nursing?" Th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vol. 14, no. 3, 2009. DOI: http://dx.doi.org/10.3912/OJIN.Vol14No03PPT02 

  19. B. Yih, "The Lived Experiences of Clinical Nurses Who working at the Women's Hospital Caring for Foreign Wives in Korea: A Narrative Study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 188-198,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88 

  20. M, Kim, T. Kim, Y. Kwon, "A study about cultural sensitivity and stereotype about immigrant wome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in Chungcheong a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3 pp. 1334-1344,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33 

  2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s on international patients in Korea, [Internet]. Osong: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271422&page1(accessed Jun., 10, 2013) 

  22. H. F. Hsieh, S. E. Shannon,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 15, no. 9, pp. 1277-1288, 2005. DOI: http://dx.doi.org/10.1177/1049732305276687 

  23. M. Sandelowski,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 8, no. 3, pp. 27-37, 1986. DOI: http://dx.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24. H. Amiri, S. M. Sadeghi, Z. A. Karimi, F. Bahari, A. Binesh, "Effectiveness of solution-focused communication training (SFCT) in nurses' communication skills", Journal of Military Medicine, vol. 14, no. 4, pp. 271-278, 2013. 

  25. S. I, Lim, H. S. Kim, J. Park,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1, no. 3, pp. 274-282, 2012.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74 

  26. D. P. Andrulis, C. Brach, "Integrating literacy, culture, and language to improve health care quality for diverse population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vol. 31, no. 1, pp. 122-133, 2007. DOI: http://dx.doi.org/10.5993/AJHB.31.s1.16 

  27. Y. Kim, "Diversification in Korea and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elf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35, pp. 117-144, 2007. 

  28. W. Ruppen, O. Bandschapp, A. Urwyler, "Language difficulties in outpatients and their impact on a chronic pain unit in Northwest Switzerland", Swiss Medical Weekly, vol. 140, no. 17-18, pp. 260-264, 2010. DOI: http://dx.doi.org/smw-12816 

  29. H. H. Lee,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service for foreigners in Korea", Kei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30. E. H. Peek, C. S. Park,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5, pp. 690-696,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690 

  31. K. H. Hughes, L. J. Hood, "Teaching methods and an outcome tool for Measuring cultural sensitivit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 18, pp. 57-62, 2007. DOI: http://dx.doi.org/10.1177/1043659606294196 

  32. E. J. Lee, Y. K. Kim, H. K. Lee,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3, no. 2, pp. 179-188, 2012.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2.23.2.179 

  33. S. Y. Yang, H. N. Lim, J. H. Lee,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empath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 183-193,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183 

  34. W. O. Oh,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222-229, 2011. DOI: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4.222 

  35. M. K. Cho, H. Y. Jang,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5, pp. 2795-280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