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ull HD 동영상을 이용한 FEES법이 VFSS의 진단적 가치를 향상 시키는 유용성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f Usefulness of FEES Method using Full HD Video that Improves Diagnostic Value of VF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678 - 685  

김영란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김영일 (충남대학교 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까지 연하 장애의 검사법으로 Gold standard 한 검사법은 영상의학과의 투시 장비를 이용한 삼킴 검사법이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면서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법이 이용되면서 진단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FSS와 FEES를 동시에 수행함으로 FEES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평가했습니다. 본 연구는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연하 곤란의 진단 또는 평가를 위해 VFSS와 FEES 두 가지 검사를 모두 시행한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장비는 VFSS(FELAVISION, SHIMADZU), FESS(EVIU LUCERA CV-260SL, OLYMPUS)을 사용하였다. Logemann의 protocal을 일부 변형하여 2.5 ml, 5 ml, 10 ml의 바륨 희석액, 바륨을 희석한 요거트, 바륨을 희석한 죽, 바륨을 희석한 밥을 준비하여 취식하게 한 후 pharyngeal residue, penetration, aspiration 등을 확인하였다. FULL HD동영상을 사용한 VFFS 검사에서와 FEES 검사에서는 총130명의 환자에서 36명이 두 검사 모두에서 Aspiration이 관찰되었다. 이중 VFFS 에서는 36명이 Aspiration이 발견되었고 FESS에서는 5명이 증가한 41명에서 Aspiration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FEES 의 검사법이 연하곤란의 진단에는 더욱 민감하게 검출 되었으나 이 두 가지 검사법은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에 보다 숙련된 내시경조작법과 정확한 투시검사가 병행될 때 진단적 가치는 훨씬 향상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glutition inspection has been the gold standard for inspection of dysphagia using a penetration device of the division of radiology to date. However, inspection using an endoscope has facilitated diagnosis of dysphagia in recent day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results of VFSS alone with tho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에 연하 검사에서 시행되어지는 두 가지 검사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하검사와 달리 VFSS와 FEES를 한 공간에서 동시에 시행함으로서 기도안의 잔여물과 침습과 흡인을 관찰하였다.
  • 이때 내시경을 이용하여 흡인된 음식물에 대한 감각이 있는지,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지도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검사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투시연하검사와 광섬유내시경 연하 검사에서 환자 간 검사결과의 차이가 확인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Material does not enter the airwa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는 무엇인가? 연하는 짧은 시간 내에 정교하게 조절되어 일어나는 구강 및 후두부의 일련의 움직임이 이루는 동작으로 관련 부위의 손상 혹은 마비 시 연하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인지기능의 저하나 위약을 초래하는 상부 운동신경계 질환에서부터 구강 혹은 후두부의 국소 질환까지 다양한 질환이 연하곤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디오투시 연하 검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조영제를 섞은 물이나 여러 음식물을 씹거나 삼키면서 X선으로 투시하여 변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이상 뿐 아니라 삼키는 중에 발생하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기 때문에 연하곤란을 평가하는 매우 좋은 검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환자가 협조 하지 못하거나 검사가 불가능한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전신 상태가 매우 나쁜 경우 검사를 시행할 수 없고 검사 중 기도로 음식물이 넘어가거나 방사선에 일부 노출이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비디오투시 연하 검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연하장애 환자의 진단방법은 전통적으로 비디오투시연하검사(Videofluoroscopy Swallowing Studies, VFSS)와 최근 사용하고 있는 광섬유내시경 연하검사 (Fieberoptic endoscopy examination of swallowing, FEES)가 이용되고 있다. 연하곤란의 가장 좋은 진단법으로 알려져 있는 비디오투시 연하 검사는, 흡인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고 환자의 해부학적 혹은 기능적 문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개인에게 적합한 식이나 자세, 연하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디오투시 연하 검사는 연하 곤란의 유무 및 정도뿐만 아니라 연하 곤란의 기전을 확인하고 치료 방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재 사용하는 가장 확실한 검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an, T. R., Paik, N. J., Park, J. W., Kwon, B. S. The prediction of persistent dysphagia beyond six months after stroke, Dysphagia, 23(1), pp. 59-64, 2008. DOI: http://dx.doi.org/10.1007/s00455-007-9097-0 

  2. Rosenbek JC, Robbins JA, Roecker EB, Coyle JL, Wood JL, A penetration-aspiration scale, Dysphagia, 11, pp. 93-98, 1996. DOI: http://dx.doi.org/10.1007/BF00417897 

  3. Perry, L. Screening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Part one: Identification, implementation and initial evaluation of a screening tool for use by nur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4), pp. 463-473, 2001. DOI: http://dx.doi.org/10.1046/j.1365-2702.2001.00501.x 

  4. Shepherd, A. Recognizing and treating dysphagia can help residents maintain their dignity. Nursing & Residential Care, 12(10), pp. 491-494, 2010. DOI: http://dx.doi.org/10.12968/nrec.2010.12.10.78406 

  5. Langmore S.E., Schatz K, Olsen N., Fiberoptic endoscopic examination of swallowing safety: a new procedure. Dysphagia, 2, pp. 216-219, 1988. DOI: http://dx.doi.org/10.1007/BF02414429 

  6. Kelly A.M., Leslie P., Beale T., Payten C., Drinnan M.J., Fibre-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and videofluoroscopy: dose examination type influence perception of pharyngeal residue severity? Clinical Otolaryngology. 31, pp. 425-432,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749-4486.2006.01292.x 

  7. Park Y.H., Management of oropharyngeal dysphagia.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46, pp. 997-1004, 2003. 

  8. Duncan P.W., Zorowitz R, Bates B, Choi J.Y., Glasberg J.J., Graham G.D., Katz R.C., Lamberty K., Reker D, Management of adult stroke rehabilitation care: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troke, 36, pp. 100-143, 2005.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80861.54180.FF 

  9. Connor, N. P., Cohen, S. B., Kammer, R. E., Sullivan, P. A., Brewer, K. A., & Hong, T. S. Impact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ritical functions of the head.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65(4), pp. 1051-1062, 2006. DOI: http://dx.doi.org/10.1016/j.ijrobp.2006.01.054 

  10. Rosenbek, J. C., Robbins, J., Roecker, E. B., Coyle, J. L., & Wood, J. L. A penetration-aspiration scale. Dysphagia, 11(2), pp. 93-98, 1996. DOI: http://dx.doi.org/10.1007/BF00417897 

  11. Logemann, J. A.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2nd ed). San Diego, College Hill Press, 1998. 

  12. Kim, J. Y. Koh Eun sil.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the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2011. 

  13. Han, T. R., Paik, N. J., Park, J. W., & Kwon, B. S. The prediction of persistent dysphagia beyond six months after stroke. Dysphagia, 23(1), pp. 59-64, 2008. DOI: http://dx.doi.org/10.1007/s00455-007-9097-0 

  14. Park, J. W. Scoring system i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Journal of the Korean Dysphagia Society, 1(2), pp. 55-59, 2011. 

  15. Wesling, M., Bardy, S., Jensen, M., Nickell, M., Statkus, D., & Escobar, N. Dysphagia outcomes in patients with brain tumors undergoing inpatient rehabilitation. Dysphagia, 18(3), pp. 203-210, 2003. DOI: http://dx.doi.org/10.1007/s00455-002-0098-8 

  16. O' Neil, K. H., Purdy, M., Falk, J., & Gallo, L. The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 Dysphagia, 14(3), pp. 139-145, 1999. DOI: http://dx.doi.org/10.1007/PL00009595 

  17. Jung, S. H., Lee, K. J., Hong, J. B., & Han, T. R. Validation of clinical dysphagia scale: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9(4), pp. 343-350, 2005. 

  18. Rosenbek, J. C., Robbins, J., Roecker, E. B., Coyle, J. L., & Wood, J. L. A penetration-aspiration scale. Dysphagia, 11(2), pp. 93-98, 1996. DOI: http://dx.doi.org/10.1007/BF00417897 

  19. Martin-Harris, B., Brodsky, M. B., Michel, Y., Castell, D. O., Schleicher, M., Sandidge, J., Blair, J, MBS measurement tool for swallow impairment - MBSImp: Establishing a standard. Dysphagia, 23, pp. 392-405, 2008. DOI: http://dx.doi.org/10.1007/s00455-008-9185-9 

  20. Landis, J. R. & Koch G. 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ics, 33, pp. 159-174, 1977. DOI: http://dx.doi.org/10.2307/2529310 

  21. Dziewas R, Warnecke T, Olenberg S, Teismann I, Zimmermann J, Kramer C et al, Towards a basic endoscopic assessment of swallowing in acute stroke-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ple dysphagia score, Cerebrovasc Dis, 26, pp. 41-47, 2008. DOI: http://dx.doi.org/10.1159/000135652 

  22. Song W.W., Comparison between gugging swallowing screen and other dysphagia screening tests using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test, Yon sei universi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