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491 - 506  

정혜림 (진영병원) ,  임경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 종합병원, 준종합병원 응급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 수간호사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2월 12일부터 2015년 12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평균 7점 만점에 4.50점, 공감만족은 평균 50점 만점에 31.62점, 공감피로는 평균 50점 만점에 29.48점, 소진은 평균 50점 만점에 29.27점, 감정부조화는 평균 7점 만점에 5.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공감피로와 소진의 유의한 영향요인이었고, 설명력은 각각 12%와 29%였다. 감정부조화는 감정노동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nd to elucidate any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 total of 227 nurs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감정부조화가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감정부조화가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응급 환자의 내원의 증가가 초래하는 결과는? 특히, 생명을 위협하는 긴박한 상황에 처한 환자를 간호하는 응급실 본래의 취지와 달리 비응급 환자의 내원의 증가는 실제적으로 신속한 간호와 처치를 필요로 하는 응급 환자의 간호를 지연시키고, 대기 환자의 정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정체로 인한 긴 대기시간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의료서비스 이용의 불만족을 초래하고 있다 [3]. 일부 환자와 보호자들의 경우 긴 대기시간에 대한 불만을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간호사에게 고함을 지르거나 욕설을 하는 등으로 표현하고 있으며[4], 이러한 부당한 대우에도 응급실 간호사들은 병원조직의 감정표현규 범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고 있으며, 지속 적이고 반복되는 감정노동에 힘들어 하고 있다[4].
감정부조화는 무엇인가? 그 중, 감정부조화는 감정노동의 역기능으로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과 조직의 표현규범 간의 내용이 상충될 때 개인이 경험하는 불편한 느낌과 갈등이라고 보고되고 있다[11]. 이러한 감정부조화는 장기적인 관점 에서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을 저하시키고, 직무스트레스, 우울, 소진을 증가시키는 등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7,12-14], 최근에는 감정부조화가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14],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관계[15],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16]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감정부조화의 조절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조사에 따른 응급실 간호사의 1인당 간호 환자수도 연간 1,543명으로 전년도 연간 1,490 명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가 보여주는 결과는?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2014년 한해 응급실 이용자 수는 10,419,983명으로 전년도 10,186,341 명보다 약 23만 명이 증가하였고, 응급실 간호사의 1인당 간호 환자수도 연간 1,543명으로 전년도 연간 1,490 명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1]. 이러한 조사 결과는 응급실 간호사의 경우 환자 및 보호자들과 접촉하는 횟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응급실 간호사들의 업무가 더욱 가중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4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annual report," Annual Report,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5, Report No. 2015-National Emergency-009. 

  2. H. O. Kim,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emergency room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013. 

  3. H. N. Cho, S. J. Kim, "Relationship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3, no. 1, pp. 11-19, 2014.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4.23.1.11 

  4. M. J. Kim, "Kinds of workplace violence for hospital nurses and their reaction after being dam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08. 

  5. S. M. Wi, Y. J. Yi,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3, pp. 310-319,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10 

  6. Y. M. Oh,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0. 

  7. S. N. Lee, "Relation of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and job involvemen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0. 

  8. W. S. Park, "Emotional labor of the emergency room nurs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ang University, Asan, 2015. 

  9. M. Y. Han,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2014. 

  10. J. Y. Kim, I. H. Kang, W. S. Cho, "Effects of tour conductors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vol. 28,nNo. 2, pp. 305-324, 2013. 

  11. C. M. Brotheridge, A.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0, no. 1, pp. 17-39, 2002. DOI: http://dx.doi.org/10.1006/jvbe.2001.1815 

  12. J. H. Choi,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tress of emotional laborer -with emphasis on financial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2015. 

  13. J. W. Chang, J. S. Lee, "The work satisfaction mediated effect analysis that emotional labor of elderly care providers affect depress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9, pp. 31-54, 2013. 

  14. C. M. Ko, A. Y. Le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5, pp. 647-657, 2013.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47 

  15. J. S. Kim, "A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the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emotive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61, pp. 163-187, 2013. 

  16. C. Y. Hur, T. S. Kim, "Effects of railroad tour conductors'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and moderating effect of commitment to emotional display ru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21, no. 3, pp. 81-102, 2014. DOI: http://dx.doi.org/10.14396/jhrmr.2014.21.3.81 

  17. C. R. Figley,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pp. 1-268, New York: Brunner/ Mazel Publishers, 1995. 

  18. B. H. Stamm,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 In: C. R. Figley, editor, "Treating compassion fatigue," pp. 107-119, New York: Brunner-Routledge, 2002. 

  19. Y. J. Jun, M. H. Sung, "Effects of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self-esteem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3, no. 2, pp. 80-88, 2014.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4.23.2.80 

  20. J. M. Lee, Y. H. Yom,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5, pp. 689-697, 2013.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89 

  21. C. Maslach, "A multidimensional theory of burnout," In: C. L. Cooper, editor, "Theories of organizational stress," pp. 6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2. E. J. Kim, "A study relation between burnout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002. 

  23. E. J. Rhu, E. N. Lee, "Relationship among task interruption and task performance and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 6, no. 1, pp. 34-43, 2013. 

  24. E. J. Yun, "An experiential analysis of burnout in counselor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0, no. 4, pp. 1855-1871, 2009. DOI: https://doi.org/10.15703/kjc.10.4.200912.1855 

  25. Y. H. Bae, T. H. Lee, "Relationship of experience of viol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5, pp. 489-500,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5.489 

  26. A. R. Park,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2014. 

  27. K. S. Yoon, "A study on the job stress and coping of emergenc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3. 

  28. C. M. Brotheridge, R. 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6, no. 3, pp. 365-379, 2003. DOI: http://dx.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29. S. M. Kruml, D. Geddes,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 14, no. 1, pp. 8-49, 2000. DOI: http://dx.doi.org/10.1177/0893318900141002 

  30. J. K. Jang, "A study on the dynamism of emotional labor," Unpublishe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11. 

  31. B. H. Stamm,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version 5 (ProQOL)," Pocatello: ProQOL.org, 2009, Available from: http://www.proqol.org/uploads/ProQOL_5_English.pdf (cited 2015 October) 

  32. H. J. Kim, H. J. Choi,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3, pp. 320-328,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20 

  33. S. E. Park,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perceived display rule demands, emotional dissonance and their psychological responses,"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vol. 32, no. 1, pp. 25-53, 2008. 

  34. E. Y. Le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n burnout in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2015. 

  35. A. A. Grandey,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6, no. 1, pp. 86-96, 2003. DOI: http://dx.doi.org/10.2307/30040678 

  36. S. Y. Jeon, J. Y. Ha, "Traumatic event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among emergenc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4, no. 1, pp. 64-73, 2012. DOI: https://doi.org/10.7475/kjan.2012.24.1.64 

  37. M. S. Jeon, "Oncology nurses' resilienc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car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5. 

  38. H. S. Lee, "Effects of spiritual well-bing, compa- 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nurses working in oncology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015. 

  39. M. Y. Han, M. S. Lee, J. Y. Bae, Y. S. Kim,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2, pp. 193-202,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2.193 

  40. H. J. Shin, K. H. Kim,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Korea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5, no. 4, pp. 190-216, 2015. 

  41. E. J. Kim, "Emergency nurse-patient interac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6, pp. 1004-101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