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key vocation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595 - 603  

황영희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선정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을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 항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 강원 및 중북권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1일부터 6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11명의 응답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의 현재수준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고, '의사소통'과 '조직이해능력'의 현재수준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 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수리능력'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직업기초능력 10개 항목 모두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선순위 분석결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원관리', '자기개발'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를 고려한 직업기초능력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key vocation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411 nurse students at five universiti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June 31, 2016.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3.0 using descrip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교육요구를 확인하고, 직업기초능력 교수학습체제개발 및 교육방안 도출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 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항목에 대한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 각 항목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을 파악하고,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추후 간호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개발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 그리고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직업기초능력 교수학습체제개발 및 교육방안 도출의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현재 수준과 중요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할 것이다. 즉, 간호 대학생이 인지하는 직업기초능력의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편성과 효과적인 직업기초능력 교수학습체제개발 및 교육방안 도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현재 수준과 중요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할 것이다. 즉, 간호 대학생이 인지하는 직업기초능력의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편성과 효과적인 직업기초능력 교수학습체제개발 및 교육방안 도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특정 전공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졸업생들이 지식기술의 변화 및 고용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고,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과 괴리되어 직무수행능력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현상들 이 자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2]. 이에 맞추 어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 모든 전공에서 공통적으로 고려되는 핵심역량이자 노동시장에 참여하기 위한 필수적인 직업기초능력의 역량강화가 점차 강조되고 있다[1]. 직업기초능력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능력으로 직무내용 및 직위 변화 같은 직무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이다[3].
현대 산업사회에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 등의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한 폭넓은 교양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는 이유는? 현대 산업사회는 지식, 정보, 기술이 급격히 변화하고 직업․직종의 분화, 신규 직종의 생성 및 소멸 등의 노동 시장 변화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은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 등의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한 폭넓은 교양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1]. 특정 전공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졸업생들이 지식기술의 변화 및 고용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고,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과 괴리되어 직무수행능력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현상들 이 자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2]. 이에 맞추 어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 모든 전공에서 공통적으로 고려되는 핵심역량이자 노동시장에 참여하기 위한 필수적인 직업기초능력의 역량강화가 점차 강조되고 있다[1].
현대 산업사회는 어떤 인재를 요구하는가? 현대 산업사회는 지식, 정보, 기술이 급격히 변화하고 직업․직종의 분화, 신규 직종의 생성 및 소멸 등의 노동 시장 변화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은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 등의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한 폭넓은 교양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1]. 특정 전공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졸업생들이 지식기술의 변화 및 고용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고,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과 괴리되어 직무수행능력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현상들 이 자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Internet]. Ulsa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c2016[cited 2016 March 4], Available: http://www.ncs.go.kr (accessed Mar. 4, 2016) 

  2. Washer, P, "Revisiting Key Skills: A Practical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 13, no. 1, pp. 57-67, 2007. DOI: https://doi.org/10.1080/13538320701272755 

  3. I, J, Ju, J. Y. Jo, G. B. Im,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usiness Issues and Policy," the HRD review, Autumn. 2010. 

  4. H. J. Jeong,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Vocational Course on the Basis of NCS,"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vol. 53, pp. 191-201, 2015. 

  5. H. E. Lee, "The Needs Analy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Key Competencies : Centering on Comparison of Perception Between HR Practitioners and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Cheonan, 2015. 

  6. C. Y. Jeong,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National Core Curriculum," Korea Vocational Education Society, vol. 18, no. 1, pp. 21-37, 1998. 

  7. M. S. Han, J. Y. Lee, "The Relation between Dental Technician's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Competency," Journal of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449-4456,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449 

  8. W. S. An, Y. M. Lee, W, S, Cho, "Study on Degree of the Educational Need for the Key Competencie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by Teacher," Korea Studies of the Technology Education, vol. 7, no. 3, pp. 31-47, 2007. 

  9. S. H. Woo, K, H, Lim, S, G, OH, J, S, Kim. Key Competencies Level of Students Recognized by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in Industri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4, no. 3, pp. 69-98, 2005. 

  10. S, Y, Gwon, M. S. Kim. Y. S. Ha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Basic Occupational Competenci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Korea Psychological Society symposium, pp. 140-141, 2009. 

  11. M. R. Lee, I. G. Yun, "Content Analysis of Secondary Technology, Home Economics(Home Economics Field) Textbooks: Focusing on Education for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The Journal OF Vocational Edecation Research., vol. 27, no. 4, pp. 65-88, 2008. 

  12. M. B. Kim, Y. B. Kim, Y. S. Kim,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 Effects of Project Learning on Information Skills among Key-Competencies in "Homepage Development" Lesson,"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Computer Learning Paper, vol. 10, no. 1, pp. 31-40, 2007. 

  13. I. S. Kim,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Test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vol. 32, no. 1, pp. 1-32, 2007. 

  14. S. Y. Kim, H. J. Yo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ssential Competency Assessment of Vocation for Local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vol. 15, no. 4, pp. 71-100, 2013. 

  15.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41, no. 4, pp. 1149-1160, 2009. DOI: https://doi.org/10.3758/BRM.41.4.1149 

  16. J. M. Baik, Y. K. Park, "An Exploring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University Education,"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 2, no. 2, pp. 1-19, 2012. 

  17. A. N. Kim, B. S. Rhee, "An Analytic Study of Identifying Personal and Institutional Influences on the Perceived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30, no. 1, pp. 367-392, 2003. 

  18. P, G. Baek,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nd Undergraduates' Individual Variant Factor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6, no. 7, pp. 349-387, 2013. 

  19. J. I. Lee, J. H.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ssenti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1, no. 2, pp. 227-246, 2012. 

  20. J. P. Lee, "A Comparative Analysis on Good Practices for Developing Basic Workplace Skills for University Students in Selected Countri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15, no. 2, pp. 171-195, 2005. 

  21. M. S. Jin, Y. M. Sohn, H. J. Chu,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9, No4, pp. 461-468, 2011. 

  22. S. N. Kim, Y. S. Kwon, J. S. Shin, "A Study for Promoting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 42, pp. 57-77, 2012. 

  23. S. H. Kim,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for Workplace Key Competence in Tourism and Culinary System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Gyeonggi.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