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보건의료 수준이 고혈압 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Patient Behavior and Medical Care Level on Doctor's Diagnosis of Hypertens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119 - 130  

박창수 (충남대학교 병원 핵의학과) ,  김영란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의사로부터 고혈압으로 진단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 보건의료수준이 고혈압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2010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대상 만 19세 이상 성인 229,229명을 대상으로 개인특성에 따른 고혈압 의사진단의 차이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수준 변수를 고려한 고혈압 의사진단의 관련지표의 지역 간 변이 파악은 다수준 로지스틱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건강행태수준에서 연령수준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이 무일 때,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일회음주량이 많을수록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높았다. 또한 보건의료기관을 이용한 사람이, 한 달 동안 혈압측정횟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 경험이 있을 때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높았다. 반면에 고용형태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고용주 및 자영업자에서, 걷기일수가 많을수록, 현재 흡연여부 경험이 적을수록,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사람에서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낮았다. 건강행태 및 지역의 보건의료수준에 따라, 고혈압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많은 연구에서 지역수준을 고려한 다수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patient behavior regarding health and medical care level on doctor's diagnoses of hypertension. A X2-test was used to compare therapeutic compliance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wo-stage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to ident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불평등에 대해서 그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고혈압 의사진단 여부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서 고혈압 유병률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 보건의료수준이 고혈압 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은 어떠한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인가?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울혈성심부전, 신장병 및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다. 우리나라에서 고혈압이 뇌혈관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35%, 허혈성 심장질환은 21%로 보고되고 있다[1].
고혈압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고혈압이 뇌혈관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35%, 허혈성 심장질환은 21%로 보고되고 있다[1]. 이는 인구집단 전체가 정상혈압을 유지할 경우 뇌혈관질환과 허혈성 심장질환을 각각 35%와 21%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 되므로 고혈압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2012년도 우리나라 전체 사망 중에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10만명당 49.
고혈압 전 단계부터 적극적인 생활개선요법으로 혈압을 관리할 것을 권고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3)[5]에서는 고혈압 전 단계(prehypertension)부터 적극적인 생활개선요법으로 혈압을 관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처럼 초기 고혈압군에서 적극적인 치료를 강조하는 것은 55세 이상의 정상혈압군의 90%는 향후 고혈압의 위험이 있으며, 정상혈압군에서 평소의 혈압보다 수축기혈압이 20mmHg, 이완기혈압이 10mmHg가 상승할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2배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우리나라 연구에서도 나타났는데, JNC-7 보고서에서 제시한 혈압 분류기준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어 8년간 추적조사한 결과, 혈압이 높을수록 전체 사망률이 증가하고, 적정혈압인 사람에 비해 높은 혈압을 가진 사람들의 사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ee SH, Suh I, Kim IS, Appel LJ.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JAMA, 282(22), pp. 2149-2155, 1999. DOI: http://dx.doi.org/10.1001/jama.282.22.2149 

  2. Statistics Korea. Http://sgis.kostat.go.kr/publicsmodel/, 2012. 

  3. World Health Organization. Primary Care. Second Edition, 2001 

  4. Izzo JL. Black HR. Hypertension primer : the essentials of high blood pressure. Baltimore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9. DOI: http://dx.doi.org/10.1161/01.HYP.33.1.167 

  5. The JNC 7 report,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AMA, 289, pp. 2560-2572, 2003. DOI: http://dx.doi.org/10.1001/jama.289.19.2560 

  6. Suh I, Risk of death in men with normal of high-normal blood pressure, Circulation 106(Suppl),pp. 760, 2002. 

  7. Yen IH, Syme SL. The social environment and health: A discussion of the epidemiologic literature. Ann Rev Public Health. 1999;20:287-308.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0.1.287 

  8. Pickett KE, Pearl M. Multilevel analyses of neighbourhood socioeconomic context and health outcomes: a critical review.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5, pp. 111-122, 2001. DOI: http://dx.doi.org/10.1136/jech.55.2.111 

  9. Bae SG, Jeon HJ, Yang HS, Kim BK, Park KS, Medication Adherence and its Predictors in Community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tion, Korean J Health Promot, 15(3), pp. 2234-2141, 2015. 

  10. Le C, Jun D, Yichun L, Zhankun S, Keying Z. Multileve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in rural southwest China. Public Health Rep 126, pp. 420-426, 2011. 

  11. Statistics Korea. Http://sgis.kostat.go.kr/publicsmodel/, 2010. 

  12. Lee K. S., Community-based hypertension and diabetes management model development for improving adherence and compliance, 2007. 

  13.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Korea institude for health and school affairs, 2008 Patient surveys in-depth analysis, 2010. 

  14. Park A.P., Hwang J, I., Pattern and determinants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in Korea adult,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1(1), pp. 59-67, 2007.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5.2278 

  15. Wang S.B., Cho Y.C., Body mass index and subsequent risk of hypertension hyperglyc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in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6), pp. 2677-2684,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6.2677 

  16. Schober SE, Makuc DM, Zhang C, Kennedy-Stephenson J, Burt V. Health insurance affects diagnosis and control of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ension among adults aged 20-64: United States, 2005-2008. NCHS Data Brief, No 57, 2011. 

  17. Seok H.S., Kang S.H., A Study on the regional variation factor of hypertention prevale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3), pp. 210-236, 2013. 

  18. Park W.W., KO S.K., Procedures and Methods of Multilevel Analysis: With a Focus on WABA, Seoul natioal school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business school of institution of management research, 39(1), pp. 59-90, 2005. 

  19. Ezeamama AE, Viali S, Tuitele J, McGarvey ST.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factors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context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amoan archipelago. Soc Sci Med 63, pp. 2533-45, 2006.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6.06.023 

  20. Roohafza HR, Sadeghi M, Kelishadi 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Iranian adult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s: Isfahan healthy heart program. Asia Pac J Public Health 17, pp. 9-14, 2005. DOI: http://dx.doi.org/10.1177/101053950501700103 

  21. Sharma S, Malarcher AM, Giles WH, Myers G. Racial, ethnic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the clustering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Ethn Dis 14, pp. 43-48, 2004. 

  22. Agyemang C, van Hooijdonk C, Wendel-Vos W, Ujcic-Voortman JK, Lindeman E, Stronks K, et al., Ethnic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stressors on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in the Netherlands. BMC Public Health, 7, pp. 118, 2007. DOI: http://dx.doi.org/10.1186/1471-2458-7-118 

  23. McGrath JJ, Matthews KA, Brady SS. Individual versus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and race as predictors of adolescent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Soc Sci Med, 63, pp. 1442-53, 2006.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6.03.019 

  24. Kapuku GL, Treiber FA, Davis HC.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stress induced changes in cortisol, and blood pressure in African American males. Ann Behav Med, 24, pp. 320-5, 2002. DOI: http://dx.doi.org/10.1207/S15324796ABM2404_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