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초기성인(20-39세)의 동반식사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상태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
Convergence Study of Eating Together And Mental Health within 20-30's : Using 6th(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287 - 298  

정명숙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과학과) ,  송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과학과) ,  김원정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초기성인의 동반식사 유무를 통한 정신건강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0-30대 3,71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식습관에 따른 정신건강을 파악하고자 교차분석을 하였고 초기성인층의 정신건강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들을 보정하였을 때, 남자는 아침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우울감 여부, 저녁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자살생각 여부가 낮게 나타났고, 여성은 아침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스트레스 여부가, 점심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자살생각 여부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성인의 건강한 식습관과 긍정적 정신건강을 위해 함께 식사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 및 기관의 공간 개선과 동반식사에 대한 필요성의 홍보가 부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초기성인의 식습관관리 활동에 필요한 다각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식습관 문화 교육을 통해 동반식사 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 second analysis research using raw data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3-015), places its purpose on examining risk factors for the mental health of the youth. With its target on 3,712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t has used complex sa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6기 국민 건강영양조사(2013-2015)에 참여한 20-30대 성인을 남녀로 구분하여 식습관에 해당하는 동반 식사 유무를 조사하고, 정신건강 문제인 스트레스, 우울, 자살 생각 유무에 따른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초기 성인의 올바른 식습관 확립과 정신건강증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 건강영양조사(2013-2015)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의 식습관을 통한 정신건강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들을 보정하였을 때, 남자는 아침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우울 군이, 저녁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자살 생각 군이 낮게 나타났고, 여성은 아침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스트레스 군이, 점심 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자살 생각 군이 낮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 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자료 중 초기 성인(20–30대) 3,712명을 대상으로 2차 분석한 연구로, 초기 성인의 동반 식사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자료 수집한, 제6기 국민 건강영양조사(2013-2015)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초기 성인의 식습관을 통한 정신건강 위험 요 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 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자료 중 초기 성인(20–30대) 3,712명을 대상으로 2차 분석한 연구로, 초기 성인의 동반 식사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연구이다. 일반적 특성과 동반 식사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위험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성인은 어떤 시기인가? 초기성인은 아동, 청소년기 등 이전 생애단계에서의발달을 기반으로 중년, 노년기로의 가교역할을 하는 주요한 생애 전환시기이다[1]. 이 시기는 대학생이거나, 사회초년생으로 대학 입학, 학업부담, 등록금 마련, 자기발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함께 본격으로 사회활동의 시작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는다[2,3].
초기성인에게 사회적 지지가 없는 경우 발상하는 문제점은? 초기성인에게 사회적 지지가 없는 경우 고립감을 경험하여 정서적 장애, 죽음, 우울, 자살 등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8,9]. 특히나 초기성인은 스스로에 대한 책임이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에 적응하는 과정에서많은 혼란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게되는데, 통계청자료에 따르면, 20-30대 연령에서 사망원인 1위는 자살이며,연령별로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20대 7.
남녀 모두 20대에서 동반식사를 하는 경우 장점은? 우리나라 초기성인의 동반식사와 관련된 식습관을 살펴보면, 과거에 비해 동반 식사 비율이 줄어들고 있고, 저녁식사의 경우 남녀 모두 20대에서 동반식사를 하는 경우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4]. 최근에는 초기성인을 중심으로 1인가구가 소비의 주도계층으로 떠오르며혼자 먹는 밥인 “혼밥”이라는 나홀로 문화가 간편함을앞세워 새로운 트렌드로 형성되고 있으나[28,29], 타인과동반식사를 할 경우에는 더 많은 양의 식사를 하게 되며,음식을 더 맛있게 느낀다는 선행 연구[30]에 비추어볼때, 초기성인의 동반식사 여부가 음식섭취와 관련하여직접적인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고, 나홀로 문화는 초기성인의 새로운 관계형성에 문제를 일으켜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동반식사 여부가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 초기성인을 위한 식습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데 중요한바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I. J. Lee & H. K. Choi. (2007).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Seoul : Nanam publishing Co 

  2. H. S. Hawe & P. J. Koo. (2009). The Stress-Buffering Effect of Natural Environment on the Job-Seeking of the Students - Focused on Savanna Theory.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4(3), 85-101. 

  3. J. E. Son. (2013). Metropolitan workers cohabiting family members, according to age, gender, breakfast eating habits related behaviors and undernourished. master'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4. http://kosis.kr/index/index.do 

  5. J. M. Son, H. S. Kim & E. H. Lee. (2015). The trajectory of psychosocial function and predictors for the echo-boom generation: focusing on the social stress factors, Jounal of Youth Welfare, 17(3), 27-53. 

  6. I. K. Seo & Y. S. Lee. (2014). To Verify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Considering Suicide: Comparing Between a Female Group and Male Group.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3), 25-53. 

  7. E. H. Ericson. (1968). Identity and crisis. London; Faber & Faber. 

  8. E. C. Chang, M. Muyan & J. K. Hirsch. (2015). Loneliness, positive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hen good tings happen, even lonely people feel bett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6, 150-155. 

  9. R. J. Hazler & S. A. Denham. (2002). Social isolation of youth at risk: Conceptrualiz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0(4), 403-409. 

  10. https;//www.nhis.or.kr/retrieveHomeMain.xx 

  11. M. K. Shin, H. Y. Yi & J. S. Won. (2013).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 Fundam Nurs, 20(4), 419-428. 

  12. J. A. Jeon & J. H. Choi. (2017). Mental health through the lifespa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3(8), 75-85. 

  13. Y. H. Kwak & S. J. Kwon. (2015). Suicidal idea of married man refer to economic activity statu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0(4), 105-113. 

  14. C. U. Oh & Y. J. Park. (2017). Influenes of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Middle-Aged Long-term Car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363-372. 

  15. M. J. Kwon & Y. J. Kim. (2016).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atients with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309-316. 

  16. Y. J. Oh & H. D. Kim. (2018).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9. 

  17. E. K. Han. (2018).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otrs on DepressiveSymptoms Women in the postmenopausal :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59-67. 

  18. H. E. Park & Y. H. Bae. (2016). Eating habits in accordance with the Mental Health status :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17(10), 168-181. 

  19. K. B. Kim, M. J. Choi, Y. D. Kwon & J. W. Noh. (2014). Affecting Changes of Meal Habit into Stress and Depression among North Korea Juvenile,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 Korean Studies, 18(2), 311-333. 

  20. J. E. Chu, J. M. Lee, H. I. Cho & Y. J. Park. (2013).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and depressed mood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Jo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6(3), 261-275. 

  21. K. R. An, E. J. Lee & K. H. Lee. (2016). The Convergence Study of Predictors of Food Addi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69-77. 

  22. Park, M. J. (2015). Suicidal Ideation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Sex in Elderly by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87-1099. 

  23. N. R. Oh. (2017). The effects of family meals on nutrients & food intakes and health status in adults. - Findings from the fifth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Master's di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H. Y. Lee. (2014). A study on health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by dining with family of office workers : using dat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Y. Tani, Y. Sasaki, M. Haseda, K. Kondo & N. Kondo. (2015). Eating alone and depression in older men and women by cohabitation status; The JAGES longitudinal survey. Age and Ageing, 44(6), 1019-1026. 

  26. J. H. Hong. (2017). An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eating together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using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6-2). Master's dissertation, Hanynag University, Seoul. 

  27. Y. Kimura, T. Wanda, K. Okumiya, Y. Ishimoto, E. Fukutomi, Y. Kashara, et al. (2012). Eating alone among community dwelling Japanese elderly;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food diversity.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ging, 16, 728-731. 

  28. H. J. Lee. (2017). A Study on Eating-Alone Consumer's Choice Attributes of Convenience Food. Master's disser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9. http://chinafocus.co.kr/view.php?no6213 

  30. C. P. Herman. (2015). The social facilitation of eating. A review. Appetite; Social Influences on Eating, 86, 61-73. 

  31. J. N. Park & H. J. Cheon. (2012). Leisure-Alone Folks. : Their Experiences and Meaning. Journal of Leisure Studies, 10(2), 87-105.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orld Health Organization. 

  33. J. E. Kwon, H. J. Park, H. S. Lim & J. H. Chyun. (2013).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Food culture, 28(3), 272-281. 

  34. S. Offer. (2013).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altime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emotional well-being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Journal of Adolescence, 36(3), 577-585. 

  35. V. Yiengprugsawan, C. Banwell, W. Takeda, J. Dixon, S. A Seubsman & A. C. Sleigh. (2015). Health, happiness and eating together: What can a large thai cohort study tell us?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7(4), 270-277. 

  36. N. Larson, R. MacLehose, J. A. Fulkerson, J. M. Berge, M. Story & D. Neumark-Sztainer. (2013). Eating breakfast and dinner together as a family: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diet quality and weight status.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113(12), 1601-1609. 

  37. J. Y. Kim. (2006). Dietary Assessment of the people eating alone. Master's disser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38. S. S. Choi. (2017). Food culture and emotion in TV program. KISTI 2017, 102-105. 

  39. J. A. Fulkerson, A. Mellin, N. Leffert, D. Neumark-Sztainer & S. A. French. (2006). Family dinner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assets and high-risk behavio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9, 337-345. 

  40. H. R. Lee & K. S. Choi. (2017). The Effects of Semi-Coercive Social Gathering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7(3), 47-56. 

  41. W. S. Shim. (2017). Change of Paradigm for the Get-together Culture and Modeling for the New Practices: With emphasis on Qualitative Approach Structural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7(4), 25-32. 

  42. J. N. Kim, H. J. Min & J. M. Chae. (2013). The Effect of Family Meal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Journal of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2), 140-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