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우울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lderly drinker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on the change in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509 - 519  

박규희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  허원구 (이데아고령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음주노인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주관적 건강인식의 변화가 우울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2006), 2차(2008), 3차(2010), 4차(2012) 자료를 모두 통합하여 균형패널를 구축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자는 네 시점 모두에서 응답한 음주노인 총 54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인식의 초기값이 우울수준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이 부적(-)인 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한 주관적 건강인식 초기값이 우울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주관적 건강인식이 높은 음주노인은 우울 수준 변화율도 높다는 것을 의미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주관적 건강인식 변화율이 우울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주관적 건강인식 변화율이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건강인식의 증가속도가 빨라지면 음주노인의 우울은 증가속도가 느려진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을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노인의 음주예방과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울증과 자살을 예방하는 실효성 있는 정책과 시행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of drinkers influences the depression trajectory change by using longitudinal data for elderly drinkers. This study has set up a balanced panel by combining the results from "Aging study panel research" conducted in the year 2006 (1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그동안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노인음주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하여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및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둘째, 음주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건강인식을 제시하여 이에 대한 건강문제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셋째, 음주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건강인식을 검증함으로써 음주노인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1차, 2차, 3차, 4차 년도 네 시점에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 변화정도를 검증하는 종단연구이다. 따라서 각 변수들의 4개년 동안 어떤 변화의 경향성을 가지는지를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 2006년부터 2012년까지 4차 년도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우울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노인의 음주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음주노인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주관적 건강인식의 변화가 우울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종단적 서술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우울의 변화 궤적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독립변수는 주관적 건강 인식이며, 종속변수는 우울이다.
  • 본 연구는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우울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요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변화모형, 선형변화모형을 설정하여 자료의 변화에 가장 적합한 변화모형을 탐색하고자 한다.
  • 그리고 단순히 문제음주와 우울의 관계를 분석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점은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주 노인의 종단자료를 분석하여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의 변화가 우울 변화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노인의 음주와 우울 예방활동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한계점은 주제에 대한 기존의 종단연구의 부족으로,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우울 궤적에 미치는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한계로 남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고령화연구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결과를 제시함이 큰의의가 있다. 또한 음주노인의 우울 감소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설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둘째,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초기값은 우울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셋째,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변화율은 우울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리하여 가설 1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초기값은 우울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리하여 가설 2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초기치는 우울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리하여 가설 3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변화율은 우울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째,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이식 초기값은 우울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음주에 대한 예방과 조기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정신건강 기능에 있어서 우울증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12], 다른 연령층에 비해 노인음주가 심각한 신체적·정신적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음주노인의 우울을 방치하면 신체적ㆍ인지적ㆍ 사회적 장애를 초래할 뿐 아니라, 다른 질병으로부터의 회복이 지연되고, 일상생활의 기능 저하, 자존감 저하 및 사회적 고립으로 우울이 더욱 심각해져 자살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높게 보고되고 있어, 노인의 음주에 대한 예방 대책과 조기치료가 시급하다[13].
주관적 건강인식이란 무엇인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은 개인이 인지하는 건강수준을 나타내는 평가적 건강개념으로[18],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뿐 아니라 성공적인 노화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주관적 건강인식은 본인이 신체적,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내림으로써 의학적인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없는 건강 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보여주는 개인의 건강지표이다[19][20].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낮은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반면에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낮았으며, 우울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없는 경우에 비해 주관적 건강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2]. 또한 주관적 건강 인식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았으며[23], 주관적 건강인식이 자살사고에까지 영향을 미쳐 주관적 건강인식이 낮을수록 자살 생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4]. 엄지혜[24]의 종단연구에서는 초기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ttp://www.kostat.go.kr 

  2. O. M. Baik, "Th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U.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2, pp. 7-31, 2011. 

  3. Y. H. Shin, Y. H. Hong, H. O. Kim, "Prevalence of sarcopenia in association with ADL,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 126-134,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26 

  4. E. J. Lee, E. N. Park, "Effect of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on fatigue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260-168,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5.260 

  5. Y. Chen, T. H. Feeley, "Social support, social strain, loneliness, and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An analysis of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 31, no. 2, pp. 141-161, 2014. DOI: http://dx.doi.org/10.1177/0265407513488728 

  6. M.. Korporaal, M. I. B. van Groenou, T. G. van Tilburg, "Effects of own and spousal disability on lonelines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 32, no. 3, pp. 306-325, 2008. DOI: http://dx.doi.org/10.1177/0898264308315431 

  7. J. Yu, J. Li, P. Cuijpers, S. Wu, Z. Wu,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nese older adults: a population 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7, no. 3, pp. 305-312. 2012. 

  8. M. S. Yoon,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Problem drinking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26, pp. 254-287, 2007. 

  9. S. H. Ju,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of Low lncome Elderly Living at Home",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vol. 24, no. 2, pp. 1-25, 2014. 

  10. H. S. Gweon, "Effects of Problem Drinking of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 A Latent Means Analysis Application between Poor and Non-poor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4, pp. 1521-1538, 2009. 

  11. Y. S. Song, N. K. Bae, Y. C. Cho,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of elderly peo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 pp. 392-399,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4.392 

  12. J. H. Park, J. H. Cheong,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 Medi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47, pp. 309-330, 2010. 

  13. B. E. Rho, Y. S. Oh. "Regional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Seoul: Book Publishing Download Sam. 2005. 

  14. M. S. Yoon, S. H. Kim, W. S. Chae, "The Effects of Alcohol Use, Mental Health Factors on Seniors' Ideation of Suicid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vol. 11, no. 1, pp. 27-44, 2010. 

  15. H. C. Cho, M. S. Yoon, "A Study of Problem Drinking on the Conjugal Violence among the Elderly Coupl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40, no. 1, pp. 31-58, 2012. 

  16. A. R. Sohn, "The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problem drinking",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27, pp. 61-79, 2010. 

  17. H. S. Jeon, S. K. Kahng,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the Elderl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4, pp. 1611-1628, 2009. 

  18. H. S. Kim,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20, no. 2, pp. 151-162, 2006. 

  19. J. E. Ware,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Journal of chronic diseases, vol. 40, no. 6, pp. 473-480, 1987. DOI: http://dx.doi.org/10.1016/0021-9681(87)90003-8 

  20. E. L. Idler, Y. Benyamini,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pp. 21-37, 1997. DOI: http://dx.doi.org/10.2307/2955359 

  21. O. K. Chang, M. J. Kim, I. J. Kim, "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quality life satisfaction of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723-473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723 

  22. E. S. Kim, S. K. Lee, H. J. Yoon, H. M. Nam, K. H. Kim, G. H. "Kw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lative factors of old-old elderly of more than 75-year-ol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279-4289.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279 

  23. C. S. Oh,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6, no. 2, pp. 179-191, 2012. 

  24. J. H. Yeom, "A Comparison Study of Self-Rated Health(SRH) Trajectory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vol. 23, no. 1, pp. 193-239, 2013. 

  25. H. K. Lee, S. H. Lee, E. W. Lee, "Chara- 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7, no. 1, pp. 64-75, 2012. 

  26. J. A. Law, I. Ausin, L. M.. Johnson, A. A. Vashisht, J. K. Zhu, J. A. Wohlschlegel., et al., "A protein complex required for polymerase V transcripts and RNA-directed DNA methylation in Arabidopsis", Current Biology, vol. 20, no. 10, pp. 951-956, 2010. DOI: http://dx.doi.org/10.1016/j.cub.2010.03.062 

  27. S. Y. Ryu, K. S. Kim, M. A. Han, "Factors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in Korean Adults: Results of a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 Journal Korean medical Sciences, vol. 26, no. 9, pp. 1124-1131, 2011. DOI: http://dx.doi.org/10.3346/jkms.2011.26.9.1124 

  28. M. .Bergner, M. L. Rothman, "Health status measures: an overview and guide for selection",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 8, no. 1, pp, 191-210, 1987. 

  29. K. F. Ferraro, M. M. Farmer, "Utility of health data from social surveys: Is there a gold Standard for measuring morbid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 l303-315, 1999. DOI: http://dx.doi.org/10.2307/2657534 

  30. P. S. Kim,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satisfaction of life according to elderly's volunteer participa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64, pp. 187-206, 2014. 

  31. S. Hong, M,. L. Malik, M. L. Lee,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63, no. 4, pp. 636-654, 2003. DOI: http://dx.doi.org/10.1177/0013164403251332 

  32. S. B. Mo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kjisa, 2009. 

  33. J. J. McArdle, D. Epstein, "Latent growth curves within development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Child development, pp. 110-133, 1987. DOI: http://dx.doi.org/10.2307/1130295 

  34. S. S. Yeo. S. H. Park, "Use of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Asian Education, vol. 13, no. 4, pp. 247-273, 2012. 

  35. H. J. Lee, Y. J. Chung, H. J. Kim, H. S. Suh, H. S. Lee, K. W. Shim., et al., "Determinants of Self-assessed Health among Elderly Adults", Journal Korean Acad Fam Med, vol. 23, no. 10, pp. 1210-1218. 2010. 

  36. J. S. Hur, S. H. Yoo.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vol. 13, pp. 7-35, 2002. 

  37. J. M. Kim, J. A. Lee,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4, pp. 1311- 1327.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