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푸셔 증후군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서 시각적 피드백기반 로봇보조 재활치료의 효과
Effect of Robot Assisted Rehabilitation Based on Visual Feedback in Post Stroke Pusher Syndrom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562 - 568  

김민수 (원광대학병원 재활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과 로봇보조재활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에 대한 치료적인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총 10명의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을 보이는 환자가 모집되었다. 환자는 각각 5 명씩 로봇보조재활치료와 대조군으로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로봇보조재활치료와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함께 받았으며, 대조군은 하루 2회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중재 시간은 30분간 진행되었으며, 주 5회, 4주간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 변화는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SCP), Berg balance scale (BBS), falling index (FI), Timed up and go test (TU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주간의 중재 치료 후 로봇보조재활치료 군에서 SCP (p=0.046), BBS (p=0.046), FI (p=0.038), TUG (p=0.038)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SCP와 BBS (p=0.024), FI (p=0.039), TUG (p=0.030)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로봇보조재활치료는 일반적인 재활치료에 비하여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을 회복하는데 더 도움이 되었으며, 푸셔 증후군의 회복은 균형과 보행기능의 향상과 관련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o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effect of robot-assisted rehabilitation (Lokomat) with virtual reality (VR) on Pusher syndrome (PS) after stroke. A total of 10 patients presented with PS after stroke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okomat (n=5) and contr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뇌졸중 후 PS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기가 장착된 Lokomat치료가 PS 회복에 갖는 치료적인 효과를 일반적인 재활치료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Lokomat과 가상 현실을 이용한 로봇보조 재활훈련이 일반적인 재활치료에 비하여 PS에 갖는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현재 PS의 일반적인 재활은 환자에게 잘못된 지남력을 인지시키고, 반복적으로 건측으로의 체중이동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1, 17].

가설 설정

  • 현재까지 PS는 뇌가 체간의 자세 수직감각(verticality)를 잘못 해석해서 발생하는 인식 장애가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5, 15]. 이것은 사람이 지구 중력에 대한 자세 수직감각을 인식할 때에는 시각적 수직감각과 자세수직감각을 모두 이용하는데 이 두 가지에 대한 인식의 부조화로 인하여 PS가 발생한다는 가설이다[19]. Karnath 등은 PS가 있는 환자들은 시각적 자극이 없을 때 자신들이 정확하게 중력에 수직이라고 인식하는 자세가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약 18º 병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푸셔 증후군이란? 푸셔 증후군(Pusher syndrome, PS)이란 뇌의 손상으로 인하여 건측의 상하지를 이용해 마비 쪽 방향으로 스스로 밀면서, 이러한 자세를 바로 잡으려는 외부의 힘에 대해 왜곡된 자세로 저항하는 현상이다[1]. 뇌졸중 후 PS의 유병률은 연구자에 따라 10%-63%까지 보고되었으며, 뇌졸중 후 자세유지와 보행 시 심각한 불안정의 원인이 된다[2-4].
푸셔 증후군으로 인한 보행장애와 균형 장애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가진 단점은? 또한 환자가 주변이나 치료자의 시각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자세 수직감각에 대한 이상을 인지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교정해 나가는 시각적 피드백이 푸셔 증후군으로 인한 보행장애와 균형 장애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었다[1]. 그러나 이러한 시각적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제시하면서 보행과 균형 재활치료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명 이상의 치료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1, 5].
뇌졸중 후 PS의 유병률은 어느 정도로 보고되어있는가? 푸셔 증후군(Pusher syndrome, PS)이란 뇌의 손상으로 인하여 건측의 상하지를 이용해 마비 쪽 방향으로 스스로 밀면서, 이러한 자세를 바로 잡으려는 외부의 힘에 대해 왜곡된 자세로 저항하는 현상이다[1]. 뇌졸중 후 PS의 유병률은 연구자에 따라 10%-63%까지 보고되었으며, 뇌졸중 후 자세유지와 보행 시 심각한 불안정의 원인이 된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 O. Karnath, D. Broetz, "Understanding and Treating Pusher Syndrome", Phys Ther, vol. 83, no. 12, pp. 1119-25, 2003. 

  2. C. J. Danells, S. E. Black, D. J. Gladstone, "Poststroke Pushing: Natural History and Relationship to Motor and Functional Recovery", Stroke, vol. 35, no. 12, pp. 2873-8, 2004.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47724.83468.18 

  3. P. M. Pedersen, A. Wandel, H. S. Jorgensen, "Ipsilateral Pushing in Stroke: Incidence, Relation to Neuropsychological Symptoms, and Impact on Rehabilitation.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 7 7, no. 1, pp. 25-8, 1996. 

  4. J. H. Lee, S. B. Kim, G. C. Le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Pusher Syndrome in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vol. 34, no. 4, pp. 409-16, 2010. 

  5. M. Paci, M. Baccini, L. A. Rinaldi, "Pusher Behaviour: A Critical Review of Controversial Issues", Disabil Rehabil, vol. 31, no. 4, pp. 249-58, 2009. DOI: http://dx.doi.org/10.1080/09638280801928002 

  6. W. H. Chang, Y. H. Kim, "Robot-assisted Therapy in Stroke Rehabilitation", J Stroke, vol. 15, no. 3, pp. 174-81, 2013. DOI: http://dx.doi.org/10.5853/jos.2013.15.3.174 

  7. L. Li, L. Ding, N. Chen, "Improved Walking Ability with Wearable Robot-Assisted Training in Patients Suffering Chronic Stroke", Biomed Mater Eng, vol. 26 Suppl 1, pp. S329-40, 2015. DOI: http://dx.doi.org/10.3233/BME-151320 

  8. C. Chisari, F. Bertolucci, V. Monaco, "Robot-assisted Gait Training Improves Motor Performances and Modifies Motor Unit Firing in Poststroke Patients", Eur J Phys Rehabil Med, vol. 51, no. 1, pp. 59-69, 2015. 

  9. K. H. Jeong, D. H. Seong, Y. H. Kim, "Effects of Robot-assisted Gait Therapy on Loco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vol. 32, no. 3, pp. 258-66, 2008. 

  10. H. O. Karnath, D. Brotz, "Instructions for the Clinical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SCP)",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 21, no. 4, pp. 370-1; author reply 371, 2007. DOI: http://dx.doi.org/10.1177/1545968307300702 

  11. M. Baccini, M. Paci, L. A. Rinaldi, "The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 20, no. 4, pp. 468-72, 2006. DOI: http://dx.doi.org/10.1177/1545968306291849 

  12. L. Blum, N. Korner-Bitensky,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vol. 88, no. 5, pp. 559-66, 2008. DOI: http://dx.doi.org/10.2522/ptj.20070205 

  13. C. L. Kim, J. A. Lee, M. H. Jeon, "Assessments of Balance Control Using Tetra-ataxiametric Posturography", Ann Rehabil Med, vol. 33, no. 4, pp. 429-35, 2009. 

  14. H. O. Karnath, S. Ferber, J. Dichgans,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Postural Control in Humans", Proc Natl Acad Sci USA, vol. 97, no. 25, pp. 13931-6, 2000. DOI: http://dx.doi.org/10.1073/pnas.240279997 

  15. B. Baier, J. Janzen, W. Muller-Forell, "Pusher Syndrome: Its Cortical Correlate," J Neurol, vol. 259, no. 2, pp. 277-83, 2012. DOI: http://dx.doi.org/10.1007/s00415-011-6173-z 

  16. D. Broetz, H. O. Karnath, "New Aspects for the Physiotherapy of Pushing Behaviour", NeuroRehabilitation, vol. 20, no. 2, pp. 133-8, 2005. DOI: http://dx.doi.org/10.1177/0269215514564898 

  17. Y. R. Yang, Y. H. Chen, H. C. Chang, "Effects of Interactive Visual Feedback Training on Post-Stroke Pusher Syndrom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lin Rehabil, vol. 29, no. 10, pp. 987-93, 2015. DOI: http://dx.doi.org/10.1177/0269215514564898 

  18. D. A. Perennou, B. Amblard, M. Laassel, "Understanding the Pusher Behavior of Some Stroke Patients with Spatial Deficits: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 83, no. 4, pp. 570-5, 2002.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2.31198 

  19. C. Pin-Barre, J. Laurin, "Physical Exercise as a Diagnostic, Rehabilitation, and Preventive Tool: Influence on Neuroplasticity and Motor Recovery after Stroke", Neural Plast, vol. 2015. DOI: http://dx.doi.org/10.1155/2015/608581 

  20. N. Wada, M. Sohmiya, T. Shimizu, "Clinic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Falls in Home-Living Stroke Patients Using Functional Evaluation Tools", Arch Phys Med Rehabil, vol. 88, no. 12, pp. 1601-5, 2007.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7.09.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