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Compared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685 - 695  

은선경 (KC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여 차이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실천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5차 한국아동 청소년 패녈 데이터를 통해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 4,092명의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수용성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중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과 중학생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은 어머니의 학력, 삶의 만족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관적 학업성적, 지역사회인식, 문화적 활동경험, 해외방문경험이 발견되었으나, 중학생의 경우에는 가족 및 단체여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중학생들에게는 공동체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또래관계 증진 등의 그룹프로그램에 다문화이해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에게는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중심의 비교과 프로그램, 다문화 강사 등을 통한 다문화이해교육 및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을 교과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different improvement practices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o compare the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me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tudy(KCYPS) of the N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 4,092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수준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2 초등학교 5학년학생들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 학생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요구되는 것은? 7%가 증가하였고, 계속해서 그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지속적인 증가는 우리사회로 하여금 다문화 배경의 구성원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아닌 공존과 조화를 위한 관심과 인식, 태도의 변화를 요구한다[2]. 다문화 배경의 구성원들에 대한 관심과 인식, 태도변화는 지구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상호공존을 위한 필요이고[3], 편견과 차별이 배제 되지 않을 때 집단간 분열과 갈등, 긴장의 심화로 인한 사회문화적 발전의 잠재력을 훼손시킬 수 있음을 최근의 유럽의 국제적 이슈들을 통해 배울 수 있었다.
2016 청소년통계에 따른 다문화가정 학생수의 추이는? 2016 청소년통계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학생수는 2006년 9,389명, 2008년 20,180명, 2010년 31,788명, 2012년 46,954명, 2014년 67, 806명, 2015년에 82,536명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1]. 다문화가정 학생은 2014년에 비해 21.7%가 증가하였고, 계속해서 그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지속적인 증가는 우리사회로 하여금 다문화 배경의 구성원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아닌 공존과 조화를 위한 관심과 인식, 태도의 변화를 요구한다[2].
다문화정책을 위해 교육부는 어떤 노력을 했는가? 이와 같은 다문화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관심은 2000년 후반부터 다문화정책을 통해 각 부처별로 서비스를제공해왔다. 특히 교육부는 2009년 이후 일반학생과 다문화학생 모두를 위한 다문화 교육을 강화하였는데, 2010년에 타문화 이해와 존중의 내용을 교과서에 개발 하여 보급하고, 2011년에 다문화 교육내용이 범 교과 학습 요소로 반영되도록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2년 교육부의 학교폭력실태조사에서 다문화 아동들의 학교폭력비율, 사회적 차별, 학업중단정도 등이 높게 나타났고[4],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적 태도가 국제적 비교에서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5, 6], 동남아 및 북한이탈주민에게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tatistics Korea Homepage,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ki/1/1/index.action?bmoderead&cdS004002 

  2. M. S. Choi, An Analysis of Differences and Effect Factors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tween Teachers and Adolescents. Doctoral Thesis of Dong 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3. 

  3. S. H. Park, A Longitudinal Analysis on Multicultural Perception of Young People Using Latent Growth Model. Multicultural studies, vol. 3, no. 2, pp. 99-131, 2014. 

  4. H. J. Kim, A Study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Childre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4, no. 12, pp. 449-468, 2014. 

  5. Y. S. Han, B. K. Kim, and S. A. Jeon, Moderating Role of Highly-Concentrated Multicultural Neighborhoo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mily Factor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1, no. 12, pp. 97-125, 2014. 

  6. J. H. Kim, Improving Multicultural Attitudes of Korean Adolescents in Response to the Crisis of Multiculturalism;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Receptivity, Crisisonomy, vol. 8, no. 6, pp. 183-208, 2012. 

  7. B. S. Hong, and Y. A. Ah, The Study of Adolescent's Social Distance to Foreigners.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7, no. 3, pp. 165-187, 2011. 

  8. K. M. Yang, and J. H. Park,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1.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3. 

  9. I. J. Yoon, and Y. H. Song, South Koreans'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vol. 23, no. 1, pp. 143-192, 2011. 

  10. L. Hunter, and M. J. Elias, Interracial Friendship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Social Competence: How Are They Related?.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0, no. 4, pp. 551-573,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193-3973(99)00028-3 

  11. J. H. Koo, The Grade Difference in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vol. 47, no. 1, pp. 1-24, 2015. 

  12. M. H. Garcia,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Multicultural Diversity Training.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 31, no. 4, pp. 490-504, 1995. DOI: http://dx.doi.org/10.1177/0021886395314013 

  13. M. J.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Inventory for Korean Children. Doctoral Thesis of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0. 

  14. J. M. Bennett, and M. J. Bennett, Develop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An Integrative Approach to Global and Domestic Diversity. In D. Landis, J. M. Bennett, M. J. Bennett (Eds.), Handbook of Intercultural Warning(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4. DOI: http://dx.doi.org/10.4135/9781452231129.n6 

  15. J. Y. Lee, A Study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3. 

  16. T. H. Lee, S. K. Lee, and Y. S. H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Adolescents in Korea: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Korean Jourm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22, no. 1, pp. 65-85, 2016. DOI: http://dx.doi.org/10.20406/kjcs.2016.02.22.1.65 

  17. E. H. Jang, and J. K. Eo,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Self-Concept, Cross-Cultural Experience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 21, no. 3, pp. 289-305, 2013. 

  18. S. H. Park, and S. A. Kim, 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in Early Adolescent: Relationship among Openness, Acceptance, and Respect- Focused on G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9, no. 7, pp. 27-50, 2012. 

  19. J. A. Lee, and Y. J. Lee, Relationship of Self-esteem and Empathic abi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6, no. 6, pp. 73-91, 2016. 

  20. K. K. Kim, and Y. J. Hwang,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39, no. 1, pp. 87-117, 2012. 

  21. J. W. Berry, Fundamental Psychological Processes in Intercultural Relations.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Thousand Oaks. CA: Sage, 2004. 

  22. K. S. Jang,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hild Rear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3, pp. 1355-1366,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355 

  23. I. S. Jang, and H. J. Lee, Factors to Influence Multicultural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 3, no. 1, pp. 55-87, 2010. 

  24. G, N. Lee, Y. E. Kim, and K. Y. Lee,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6, no. 3, pp. 1-14, 2013. 

  25. J. H. Lee, and K. K. Kim,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2, no. 4, pp. 55-81, 2014. 

  26. S. K. Lee, and S. M. Jeon, Factors that have impacts on the Multiculture Accept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Self-Esteem, Community Closeness, Peer Attachment.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6, no. 4, pp. 103-121, 2014. 

  27. J. H. Lee, and K. K. Kim,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 23, no. 1, pp. 53-77, 2013. 

  28. J. Y. Park, and E. M. Park,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of Parent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 no. 3, pp. 233-251, 2015. 

  29. J. H. Park,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Youth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Perception. Master'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4 

  30. M. H. Lee, J. H. Kim, J. S. Song, and H. K. Moon,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Life Cultur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4, no. 2, pp. 17-28. 2012. 

  31. S. W. Chung, and J. C. Jung,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d Social Distance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 5, no. 1, pp. 51-68, 2012. 

  32. S. Y. Yoon, H. K. Yu, and Y. S. Cho,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22, no. 4, pp. 171-185, 2013. 

  33. F. E. Aboud, Children and Prejudice. New York: Blackwell, 1988. 

  34. J. H. Lee, H. J. Park, and K. K. Kim,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Adolescen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41, no. 3, pp. 5-34, 2014. 

  35. Y. J. Park, and J. E. Lee, Factors that have Impacts on the Multiculture Acceptance of Juvenile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no. 24, pp. 285-310, 2013. 

  36. B. E. Seo, and H. M. Jo, and M. Y. Kim,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no. 19, pp. 179-207, 2015. 

  37. K. H. Yi, and K. K. Kim, Determinants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 23, no. 3, pp. 139-168, 2013. 

  38. J. H. An, Y. D. Yun, and H. S. Lim, The Life Satisfactio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2, pp. 197-08, 2016.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6.14.2.197 

  39. J. H. Oh, and H. Y. Seon, The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4, no. 3, pp. 1981-1994, 2013. DOI: http://dx.doi.org/10.15703/kjc.14.3.201306.1981 

  40. J. Dixon, K. Durrheim, and C. G. Tredoux, Beyond the Optimal Contact Strategy: A Reality Check for the Contact Hypothesis. American Psychologist, no. 60, pp. 697-711, 2005.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60.7.697 

  41. C. Edmonds, and M. Killen, Do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Racial Attitudes Relate to Their Intergroup Contact and Cross-race Relationship? Group Processes & Intergroup Relation, vol. 12, no. 1, pp. 5-21, 2009. DOI: http://dx.doi.org/10.1177/13684302080987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