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학생들의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가치 인식: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What Korean Students Valued with regards to Mathematics and Mathematics Learning: A Study with Sixth and Ninth Grad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5 no.4, 2016년, pp.467 - 484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조수윤 (한국교원대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at an individual values and regards as importa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is or her learning. Classroom instruction would be even more effective if what the teacher regards as important in his or her pedagogical practice are aligned with what students regard as important too. Given this backg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치란 어떤 요인인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은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강조에 이어서 가치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가치란, 정의적 측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참가자들의 담화, 관행, 규범, 상호작용으로부터 파생되는 사회문화적인 특성을 가진 요인이다(Seah et al., 2008).
수학 교육에서 인지적 측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는 무엇인가?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수학을 의미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수학 내용 지식과 논리적 사고 능력 등과 같은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러나 수학 교육에서 인지적 측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학생들은 수학을 실생활과는 동떨어진 형이상학적 학문이나, 재미없고 힘든 과목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Seah, 1999).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수학교육에서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 등과 같은 정의적 측면을 강조하였나? 이에 수학교육에서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 등과 같은 정의적 측면도 같이 강조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후반 학교 수학의 목표 중의 하나로 정의적 측면을 부각하기 시작했다. 구체적으로 제5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명시하였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 학습의 즐거움’, ‘수학의 유용성 인식’,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태도와 실천 능력’에 이르기까지 정의적 측면을 상당히 구체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교육부,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Commentary of elementary curriculum (IV): Mathematics, science, and practical course. Seoul: Daehan Textbooks. 

  3.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Korean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5. 김리나 (2015).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 신념 체계 분석. 학교수학 17(4), 593-611. 

  6. Kim, R. (2015). A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mathematics. School Mahematics 17(4), 593-611. 

  7.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 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 

  8. Kim, S. H., Kim, B. M., & Lee, J. H. (2014). Mathematics education and affective domains. Seoul: Kyungmoon. 

  9. 김수선, 고상숙 (2015). 과목변경수학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9(3), 373-389. 

  10. Kim, S., & Koh, S. (2015). A study about the practices of teachers who changed the subject to mathematics based on their belief.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3), 373-389. 

  11. 김수진, 김경희, 박지현 (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12. Kim, S. J., Kim, K, H., & Park, J. H. (2014). The effect of mathematics achievement on changes in mathematics interest and valu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3), 683-701. 

  13. 권미연, 전평국(1999). 초.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형성의 요인 분석: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8, 189-207. 

  14. Gwon, M., & Jeon, P. (1999). Analysing factor of mathematical belief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8, 189-207. 

  15.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6. Song, M., Rim, H., Choi, H., Park, H., & Son, S. (2013). The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Analyzing PISA 2012 Resul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E 2013-6-1 

  17. 임해경, 추신해, 김정은(2010). 초등 교사의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103-121. 

  18. Rim, H., Choo, S., & J, Kim. (2010). The Conside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n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4(1), 103-121. 

  19. 주영주, 이종희, 김선희(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19-1041. 

  20. Ju. Y. J., Lee, J. H., & Kim, S. H. (2011). A Comparison stud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4), 1019-1041. 

  21. Askew, M., Hodgen, J., Hossain, S., & Bretscher, N. (2010). Values and variables: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performing countries. London: Nuffield Foundation. 

  22. Broadfoot, P. (2000). Comparative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Retrospect and prospect. Comparative Education 36(3), 357-371. 

  23. Bishop, A. J. (1988). Mathematical enculturation: A cultural perspective on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Halstead, M. (1996). Values and values education in schools. In J. M. Halstead & M. J. Taylor (Eds.), Values in education and education in values (pp. 3-14). London: Falmer Press. 

  25. Hofstede, G. (1997).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Rev. ed.). New York: McGraw-Hill. 

  26. Lovat, T., & Clement, N. (2008). Quality teaching and values education: Coalescing for effective learning. Journal of Moral Education 37(1), 1-16. 

  27. Seah, W. T. (1999). Values in Singapore and Victoria lower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A preliminary study. In Y. P. Leong & M. A. K. Clements (Eds.), Proceedings of the Fourth Annual Conference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Cultural and language aspects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ical education (pp. 389-398). Brunei: Universiti Brunei Darussalam. 

  28. Seah, W. T. (2005). The negotiation of perceived value differences by immigrant teachers of mathematics in Australia.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Monash University, Victoria, Australia. 

  29. Seah, W. T., Atweh, B., Clarkson, P., & Ellerton, N. (2008).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H. Forgasz, A. Barkatsas, A. Bishop, B. Clarke, S. Keast, W. T. Seah & P. Sulliv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in Australasia 2004-2007 (pp. 223-253).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30. Seah, W. T. (2011). Study 3 what I find important (in maths learning): Discussion paper. Unpublished manuscript. Melbourne, Australi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