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 개발과 분석
An Analysis of Recognition in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3, 2016년, pp.667 - 689  

강미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 국제비교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높은 인지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을 가치의 측면에서 탐색하기 위하여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인식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의 하위 요인을 밝히고 학부모와 자녀의 수학학습가치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24개 문항의 검사지를 경기지역 초등학교 3,4,5학년 학생과 학부모 198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의 수학학습가치는 내재가치, 사회적가치, 타인가치, 개인미래가치, 자신감가치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고, 초등학교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가치가 사회적도구가치와 사회적의무가치로 분리되어 총 6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인식 사이에 정적 상관이 있는 요인이 내재가치, 사회적도구가치, 개인미래가치, 타인가치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긍정적인 수학학습가치 인식 향상을 위하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lue is an intellectual and an affective concept that influences behavior. It does not exist individually but is conveyed through generation with some system. Korean students showed high achievement scores in spite of low emotion in mathematics learning. The objects of value recognition ought to b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수학학습가치는 무엇이 있었나?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수학학습가치에는 우리 사회의 집단적 가치인 ‘타인가치’와 ‘사회적의무가치’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검사 도구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우리나라 학생들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국제적인 비교 평가에서는 그 원인을 알 수 없었던 한국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불균형 현상에 대하여 향후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학문별 가치의 정의는? 인간의 동기를 이끌고 행동을 예측한다는 특성에 따라 ‘가치(value)’는 인간 행동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 변인으로 다루어져 왔다(DeGroot &Steg, 2008; Kluckhohn, 1951; Rokeach, 1973; Schwartz, 1992). 심리학에서는 가치를 개인적․ 문화적 기준과 관련 있는 동기의 측면으로, 행동 과학에서는 가치를 순간적인 행위의 충동을 초월하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세워지는 추상적이며 영속적인 기준으로 본다. 가치에는 높은 가치와 낮은 가치가 있고 강한 가치와 약한 가치가 있는데, 사람들은 강하고 높은 가치에 이끌려 자신의 행위를 선택하며, 갈등 상황에서는 ‘우선 가치(value priority)’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한다.
모든 학문은 몰가치 하다는 관점은? 가치 절대주의는 Socrates로부터 Plato에게 전승된 가치론으로서 언제 누가 어디서 어떤 것과 비교해 보더라도 美임에 틀림없는 것이 이데아(Idea)로서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가치 절대주의자들에게 가치의 서열은 이미 정해져 있으며, 가치 있는 어떤 것을 마땅히 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가치 상대주의는 사물이 본래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원하거나 또는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작용에 의해 생겨난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런 관점에서 모든 학문은 몰가치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구진명(2014). 수학교육 목적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인식 비교.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미연?전평국(1999). 초?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8, 189-207. 

  4. 김경신(1987). 부모와 대학생 자녀의 가치관과 가치전달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5(3), 95-106. 

  5. 김경희?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정 송(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1. 

  6. 김명숙(2007).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초등학생용 수학학습동기검사의 동기유형및 양호도 검증. 교육학연구, 45(4), 29-58. 

  7. 김미영?조지민(2013).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46-62. 

  8. 김부미(1996). 교사변인과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부미(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10. 김선희(2011). 수학에서의 정의적 성취 판단을 위한 기준 점수 설정 및 중2학생들의 성취특성. 한국수학사학회지, 24(3), 145-163. 

  11. 김선희(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12. 김수진?김현경?박지현?김선희?진의남?이명진?안윤경(2012). TIMSS 결과를 통한 교육환경 변화 추이 국제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1. 

  13. 김수진?김경희?박지현(2014).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14. 김연신?최한나(2009). Schwartz의 보편적 가치이론의 적용 타당성 연구: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16. 

  15. 김재만(1972). 敎育學의 價値論的基礎小考. 논문집(대구교육대학교), 7, 17-30. 

  16. 김주환?신인영?김민규(2011). 소통지능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HCI 2011, 1102-1109. 

  17. 김태길(1964). 價値의 本質과 그 實踐的含意. 세대, 2(12), 36-45. 

  18. 남윤정?송영무(2008).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본질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연구. 학교수학, 10(4), 649-669. 

  19. 박경미?이환철?김선희(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를 위한 공개 토론회. (2014.7.13). 

  20. 박두찬?송진웅(2009). 학생들은 어떤 과학 수업에 호응하는가? :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593-610. 

  21. 박선화?김명화?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9. 

  22. 박선화?상경아(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 

  23. 박 정(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24. 박철영(2012). 수학 인식론적 신념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방정숙?정유경?김상화(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육 목적 인식 실태 조사. 초등수학교육, 14(3), 277-291. 

  26. 배민정(2013). 중등 과학교사의 학습동기 증진전략 사용 인식 및 교과 가치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0(2), 383-411. 

  27. 서지영?정영숙(2012). 연령에 따른 가치구조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2), 21-44. 

  28. 양윤진(2014). 서울 지역 중학생의 수학의 문화성과 가치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미경?곽영순?민경석?채선희?최성연?최미숙?나귀수(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30. 이연승(1986). 아동의 가치명료화에 관한 기초 연구. 부산산업대학교 논문집, 7, 403-420. 

  31. 임은미(1998). 부모의 자율성증진행동과 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6, 133-150. 

  32. 정범모(1977). ?値?育方法의 問題. 한국교육학회 학술세미나, 1-8. 

  33. 정용재?송진웅(2002). 계통도 분석법을 통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과학 학습의 필요성' 에 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학회지, 22(4), 806-819. 

  34. 정인석(1985). John Dewey 교육적 가치론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 39-92. 

  35. 정정인(2004).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종진(2008). 한국사회와 교육적 성취: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 한국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s), 167-186. 

  37. 조용진(1989). 행동과학 및 사회과학의 가치론. 교육발전논총, 10(1), 1-19. 

  38. 조현철(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39. 최성연?김성연?김성원(2007).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학회지, 27(3), 272-284. 

  40. 최승현?구자옥?김주훈?박상옥?오은순?김재우?백현아(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8. 

  41. 최혜진?이혜은(2005). 학습자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발달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5(2), 27-46. 

  42. 최효정?정정희(2007). 유아교사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이 유아의 수 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7(4), 377-399. 

  43. 한종화(2008). 가정수학활동의 현황과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2(3), 5-24. 

  44. 홍세희(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5. Allport, G. W.(1956).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ocial Psychology: In Lindzey (ed.)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6. Becker, H.(1950). Through Values to Social Interpretation: Essays on Social Contexts. Actions, Types, and Prospects.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47. DeGroot, J. I. M. & Steg, L.(2008). Value orientations to explain beliefs related to environmental significant behavior: How to measure egoistic, altruistic, and biosphere value orientations. Environment and Behavior, 40(3), 330-354. 

  48. Eccles, J., Adler, T. F., Futterman R., Goff, S. B., Kaczala, C. M., Meece, J. L., & Midgley, C. (1983). Expectancies, values, and academic behaviors. In J. T. Spence (Ed.), Achieve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es (pp. 75-146). San Francisco: Freeman. 

  49. Eccles, J., Wigfield, A., Harold, R. D., & Blumbenfeld, P.(1993).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perceptions during the elema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64(3), 830-847. 

  50. Furstenberg, F.(1971). The transmission of mobility orientation in the family. Social Forces, 49, 595-603. 

  51. Hessen, J.(2010). 철학에세이 제 2편 가치론. (이강조 역). 서울: 서광사. (원저출판:1959). 

  52. Hoge, D. R., Petrillo, G. H., & Smith. E. I.(1982). Transmission of religious and social values from Parents to Teenage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3). 569-580. 

  53. Hurst, J., Kinnet, M., & Weiss, S.(1983).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11(3). 

  54. Jang, H.(2008). Supporting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during an uninteresting less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798-811. 

  55. Kluckhohn, C.(1951). Values and value orientation in the theory of action: An exploration in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T. Parsons & E. Shils(Eds.),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pp.388-433).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56. Kluckhohn, C., & Murry. A.(1949). Personality: In Nature, Society and Culture. Knopf. 

  57.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 

  58. Malka, A., & Covington, M. V.(2005). Perceiving school performance as instrumental to future goal attainment: Effects on graded performanc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0(1), 60-80. 

  59. McNelis, S., & Dunn, J. A.(1977). Why teach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al in Science and Technology, 8(2), 175-184. 

  60. Muller, H. J.(1958). Human Values in Relation to Evolution. Science, 127, 625-629. 

  61. Musun-Miller, L. & Blevins-Knabe, B.(1998). Adults's Beliefs about Children and Mathematics: How Important is it and How do Children Learn about it?. Early Development and Parenting, 7, 191-202. 

  62. Oishi, S., & Diener, E.(2001). Goals,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12), 1674-1682. 

  63. Parsons, J. E., Adler, T. F., & Kaczala, C. M.(1982). Socialization of achievement attitudes and beliefs: Parental influences. Child Development, 53, 310-321. 

  64. Perry, R.(1926). General theory of value. Harvard University Press. 

  65. Rokeach, M.(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e Press. 

  66. Schwartz, S. H.(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s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In M.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5, (pp.1-65). New York: Academic Press. 

  67. Schwartz, S. H.(1994). Are there universal aspects i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human value?. Journal of Social Issues, 50(4), 19-45. 

  68. Schwartz, S. H.(2002). Human Values. http://essedunet.nsd.uib.no/cms/topics/1 

  69. Stern, A.(1962). Philosophy of History and The Problem of Values. Mouton & Co. 

  70. Wigfield, A., & Eccles, J. S.(1992).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2, 265-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