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석교사의 수업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습 가치의 인식 및 변화 양상
Perception and Change of the Values on Mathematics Learning by Fifth Graders Through the Teaching of a Master Teacher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3 no.4, 2019년, pp.405 - 435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임민재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최근 수학교육에서 가치(values)에 대한 재조명과 함께 교사와 학생의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가치 연구가 부각되는 반면에,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논문은 초등수학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한 수석교사가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실행하였을 때 학생들이 수석교사의 가치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수업 전후에 수학 학습 가치의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수석교사가 수학 수업에서 이해, 예습·복습, 그림, 문제, 이유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이해를 수석교사의 핵심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일반적 수학 학습 가치 및 개인적 수학 학습 가치를 분석하였을 때, 수업 전후에 동일하게 예습·복습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변화의 측면에서 보면 이해의 가치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학생들은 자신이 인식한 수석교사의 가치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 보다는 능동적으로 가치를 재구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수학 학습에서 학생들의 가치를 고려하는 것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recent emphasis on value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along with the significance of values from a new perspective,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value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This paper analyzes how fifth-grade students would perceive the values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교육에서 가치 연구와 관련하여 가장 도전적인 이슈는 무엇인가? 수학교육에서 가치 연구와 관련하여 가장 도전적인 이슈 중의 하나는 “수학교육을 통 해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가치가 개발될 수 있는지, 그리고 수학교육에서 어떻게 가치를 개발해야 하는지”이다(Bishop, 2014, p. 633).
학교 수학 교육에서 가치는 어떻게 취급되어 왔는가? 학교 수학 교육은 대개 학생들이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것을 중시하기 마련이다. 학 생들이 수학 학습에서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지와 관련이 있는 가치(values)는 그동안 거 의 주목받지 못했거나 기껏해야 부수적인 요소로 취급되어 왔다(Bishop, 2014; Seah, Andersson, Bishop, & Clarkson, 2016). 영국의 너필드 재단(Nuffield Foundation)의 연구 결 과에 따르면 학생이 수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는 학생의 수학적 성취와 깊은 관련이 있다(Askew, Hodgen, Hossain, & Bretscher, 2010).
Bishop(2014)은 가치를 어떻게 설명하였나? 수학교육에서 가치는 대개 정의적 영역의 범주에서 신념(beliefs)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 되어 왔다. Bishop(2014)은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신념을 가질 수 있으나 여러 가지 대안 중 에서 무엇인가를 선택하는 순간에 작동하는 것이 가치라고 설명하였다. 즉, 가치는 신념으 로부터 비롯될 수는 있으나 선택이 필요한 결정적인 순간에 더 중요한 것을 찾아내는 판단 기제로 행동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미선, 이종희 (2016).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 개발과 분석. 학교수학, 18(3), 667-689.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서울: 교육부. 

  3. 김수진, 김경희, 박지현 (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4. 방정숙, 조수윤, Seah, W. T. (2016). 한국 학생들의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가치 인식: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5(4), 467-484. 

  5. 이환철, 김형원, 이지혜, 이현숙, 고호경 (2017).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연구. 학교수학, 19(2), 267-287. 

  6. 조수윤 (2018).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가치 변화 양상. 초등수학교육, 21(3), 273-287. 

  7. 최승현, 박상욱, 황혜정 (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8. Askew, M., Hodgen, J., Hossain, S., & Bretscher, N. (2010). Values and variables: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performing countries. London: Nuffield Foundation. 

  9. Bishop, A. J. (1988). Mathematical enculturation: A cultural perspective on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10. Bishop, A. J. (1996). How should mathematics teaching in modern societies relate to cultural values: some preliminary questions. Paper presented at the Seventh Southeast Asian Conference on Mathematics Education, Hanoi, Vietnam. 

  11. Bishop, A. J. (2014). Valu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 Lerman (Ed.),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pp. 633-636). Dordrecht: Springer. 

  12. Bishop, A. J., Seah, W. T., & Chin, C. (2003). Values in mathematics teaching-The hidden persuaders? In A. J. Bishop, M. A. Clements, C. Keitel, J. Kilpatrick, & F. K. S. Leung (Eds.),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pp. 717-765). Dordrecht: Kluwer. 

  13. Clarkson, P., Bishop, A. J., FitzSimons, G. E., & Seah, W. T. (2000). Challenges and constraints in researching values. In J. Bana, & A. Chapman (Eds.), Mathematics education beyond 2000. Proceedings of the 23rd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pp. 188-195). Perth: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14. Clarkson, P., Seah, W. T., & Pang, J. (Eds.), (2019). Values and valuing in mathematics education: Scanning and scoping the territory. ICME-13 Monographs. Cham: Springer. 

  15. Davis E. K., Carr M. E., & Ampadu E. (2019). Valuing in mathematics learning amongst ghanaian students: What does it look like across grade levels? In P. Clarkson, W. Seah, & J. Pang (Eds.), Values and valuing in mathematics education: Scanning and scoping the territory (pp. 89-102). ICME-13 Monographs. Cham: Springer. 

  16.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31-147. 

  17. Hannula, M. S. (2012). Looking at the Third Wave from the West: Framing values within a broader scope of affective traits. ZDM, 44(1), 83-90. 

  18. Kalogeropoulos P., & Clarkson P. (2019). The role of value alignment in levels of engagement of mathematics learning. In P. Clarkson, W. T. Seah, & J. Pang (Eds.), Values and valuing in mathematics education: Scanning and scoping the territory (pp. 115-127). ICME-13 Monographs. Cham: Springer. 

  19. Krathwohl, D. R., Bloom, B. S., & Masia, B. B. (1964).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2: affective domain. New York: Longmans. 

  20. Leder, G., & Grootenboer, P. (2005). Affect and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7(2), 1-8. 

  21. Liljedahl P., & Hannula M. S. (2016) Research on mathematics: related affect. In A. Gutierrez, G. Leder, & P. Boero (Eds.), The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417-446). Rotterdam: Sense Publishers. 

  22. Praetorius, A. K., & Charalambous, C. Y. (2018). Classroom observation frameworks for studying instructional quality: Looking back and looking forward. ZDM, 50(3), 535-553. 

  23. Raths, L. E., Harmin, M., & Simon, S. B. (1987). Selections from values and teaching. In J. Carbone (Ed.), Value theory and education (pp. 198-214). Malabar: FL. 

  24. Seah, W. T. (2004). The negotiation of perceived value differences by immigrant teachers of mathematics in Austral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nash University, Victoria, Australia. 

  25. Seah, W. T. (2018). Improving mathematics pedagogy through student/teacher valuing: Lessons from five continents. In G. Kaiser, H. Forgasz, M. Graven, A. Kuzniak, E. Simmt, & B. Xu (Eds.), Invited lectures from the 13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pp. 561-580). ICME-13 Monographs. Cham: Springer. 

  26. Seah, W. T. (2019). Values in mathematics education: Its conative nature, and how it can be developed.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22(2), 99-121. 

  27. Seah, W. T., & Andersson, A. (2015). Valuing diversity in mathematics pedagogy through the volitional nature and alignment of values. In A. Bishop, H. Tan, & T. Barkatsas (Eds.), Diversity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67-183). Cham: Springer. 

  28. Seah, W. T., Andersson, A., Bishop, A., & Clarkson, P. (2016). What would the mathematics curriculum look like if values were the focu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6(1), 14-20. 

  29. Seah W. T., Baba T., & Zhang Q. (2017). The WIFI study: Students' valuing of mathematics learning in Hong Kong and Japan. In J. W. Son, T. Watanabe, & J. J. Lo (Eds.), What matters? Research trends i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pp. 333-354). Cham: Springer. 

  30. Seah, W. T., & Bishop, A. J. (2000). Values in mathematics textbooks: A view through two Australasian regions. Paper presented at the 81st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31. Seah, W. T., & Peng, A. (2012). What students outside Asia value in effective mathematics lessons: A scoping study. ZDM, 44(1), 71-82. 

  32. Seah, W. T., & Wong, N. Y. (2012). Thematic issue on 'values in East Asian mathematics education: The third wave'. ZDM, 44(1), 1-2. 

  33. White, L. A. (1959). The evolution of culture. New York: McGraw-Hill 

  34. Zhang, Q., Barkatsas, T., Law, H. Y., Leu, Y. C., Seah, W. T., & Wong, N. Y. (2015). What primary students in the Chinese Mainland, Hong Kong and Taiwan value in mathematics learning: A comparativ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5), 907-9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