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라이크 게임에 나타난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 연구
Mechanism of Permanent Death in Rogue-like Games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6 no.1, 2016년, pp.33 - 42  

안진경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로그라이크 게임에서 파생된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고찰하고 해당 매커니즘이 가져오는 독특한 플레이 양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게임에서의 일반적인 죽음의 과정과 영속적 죽음의 과정을 비교 분석했으며 이후 영속적 죽음의 과정이 게임의 플레이와 리플레이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다. 영속적 죽음은 캐릭터의 부활 가능성이 없다는 점에서 극도의 긴장을 유발하는 플레이 사이클을 구축한다. 이러한 치명적 패널티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죽음을 유예하기 위한 선택적 플레이를 야기하지만 이후 플레이어의 숙련된 스킬을 바탕으로 자신의 선택을 수정하고 대안적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리플레이로 이어진다. 신중한 선택과 대안적 플레이를 요하는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통해 진지한 고민을 담을 수 있는 게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sm of permanent death and playing aspects in Rogue-like games. The death in digital game is not only punishment of failure, but reward for player's growth. However the mechanism of permanent death which does not allow to resurrect is critical pen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 양상을 분석하고, 해당 요소들이 파생시킨 플레이 층위의 변화까지를 고찰해 해당 매커니즘으로 인한 플레이의 변화와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영속적 죽음을 사용하고 있는 로그라이크 게임 중 생존 게임으로 알려져 있는 <돈 스타브(Don’t Starve)>와 <디스 워 오브 마인(This War of Mine)>을 선정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로그라이크 RPG인 <네크로댄서의 지하실(Crypt of the NecroDancer)>을 함께 언급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게임에서의 죽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전적으로 죽음이란 생물에 생명이 없어지는 현상이다. 여기서 생명이 없어진다는 것은 숨을 멈춤, 심장 박동의 정지와 같은 생물학적 지표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디지털 게임에서의 죽음은 캐릭터의 생명력이 0에 이르는 수치적, 그래픽 상의 재현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이러한 재현은 플레 이어 캐릭터의 상태만을 드러낼 뿐이기에 생명력이 0에 이르는 과정이나 죽음이 지니는 기능 전체를 설명하지는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영속적 죽음이란 무엇인가? 퍼머데스(permadeath)로 축약되어 불리는 영속적 죽음(permanent death)은 게임의 아바타가 죽음을 맞이할 시, 게임 세계 내에서 제거되어 처음부터 게임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매커니즘을 일컫는다. 게임의 아바타가 죽을 시에는 체크포인트나 부활지점 등에서 게임을 재개할 수 있도록 세이브 시스템을 갖춰놓는 것이 일반적이나,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차용한 게임에서는 이와 같은 게임 재개가 불가능하다.
디지털 게임에서의 죽음 표현의 한계는 무엇인가? 여기서 생명이 없어진다는 것은 숨을 멈춤, 심장 박동의 정지와 같은 생물학적 지표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디지털 게임에서의 죽음은 캐릭터의 생명력이 0에 이르는 수치적, 그래픽 상의 재현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이러한 재현은 플레 이어 캐릭터의 상태만을 드러낼 뿐이기에 생명력이 0에 이르는 과정이나 죽음이 지니는 기능 전체를 설명하지는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게임이 과정 추론적(procedural)인 매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죽어 있음’의 결과보다는 죽음에 이르는 과정과 규칙을 함께 살펴야만 그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ames Newman, Videogames, trans by Geun-Seo Park et al., Communication books, pp.132-135, 2008. 

  2. Hyeong-Jeon Son, "Semiotic analysis on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Characters in MMORPGs",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19 No.-, pp.107-116, 2009. 

  3. Karen Wenz, "Death", The Routledge Companion to Video Game Studies, Routledge, p.311, 2014. 

  4. Jesper Juul, The Art of Failure: An Essay on the Pain of Playing Video Games, MIT Press, p.9, 2013. 

  5. Richard Bartle, Designing Virtual Worlds, New Riders, p.424, 2003. 

  6. Brendan Keogh, "When game over means game over: using permanent death to craft living stories in Minecraft", Proceedings of The 9th Australasian Conference on Interactive Entertainment: Matters of Life and Death, ACM, 2013. 

  7. Chris Crawford, The Art of Computer Game Design, trans by Dong-Il Oh, Books & People, pp.25-26, 2005. 

  8. Jesper Juul, The Art of Failure: An Essayon the Pain of Playing Video Games, MITPress, p.86, 2013. 

  9. Michelle Nephew, "Playing with Identity: Unconscious Desire and Role-Playing Game", Gaming as Culture : essays on reality, identity and experience in fantasy games, N.C.:McFarland & Company, pp.122-125, 2006. 

  10. Glenn R. Wichman, A Brief History of "Rogue", http://www.wichman.org/roguehistory.html 

  11. Raph Koster,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trans by So-hyun Ahn, Digitalmedia Research, p.112, 2005. 

  12. Mihaly Csikszentmihalyi, Finding Flow, trans by Hee-Jae Lee, Hainaim, p.46, 1999. 

  13. Anna Anthropy, Clark Naomi, Game Design Vocabulary, trans by Jeong-Soon Jeon, Acorn, p.185, 2015. 

  14. Lisbeth Klastrup, "What makes World of Warcraft a world? A note on death and dying." Digital culture, play, and identity: A World of Warcraft reader, MIT Press,p.151. 2008. 

  15. Martin Heidegger, Being and time, trans by Yang-Beom Jeon, Dongsuh Press, p.303, 1992. 

  16. Mark A. Wrathall, How to read Heidegger, trans by Soon-Hong Kwon, Woongjin Thinkbig, pp.126-131, 2008. 

  17. Gonzalo Frasca, Videogames of the Oppressed: Videogames as Means of the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trans by Kyeom-Seob Kim, Communicationbooks, p.19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