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도적 중독으로 응급센터에 내원한 환자에 대한 연령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Intentional Poisoning by Age Groups: Single Center Observation Study 원문보기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v.14 no.2, 2016년, pp.129 - 135  

김진현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조진성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김진주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임용수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양혁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이근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demographic and characteristic differences in self-poisoned patients by age groups using a comprehensive trauma databas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82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following self-poisoning. Three age groups wer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 또한, 대상자들의 음독물질의 종류, 음주여부, 내원 방법, 내원 당시의 혈압, 맥박, 의식상태, 입원률 및 사망률에 대해 연령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음독 환자에 있어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였다.
  • 연령은 13-18세를 청소년, 19-64세 까지를 청장년,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분류 하였으며, 음독 물질은 진통해열제, 진정수면제, 항우울제, 기타 치료약물, 농약, 부식제를 포함 하였으며, 그 외의 음독물질은 기타로 분류 하였다8). 또한, 대상자들의 음독물질의 종류, 음주여부, 내원 방법, 내원 당시의 혈압, 맥박, 의식상태, 입원률 및 사망률에 대해 연령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대상 환자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인천 지역 권역응급센터에 내원한 모든 중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응급실 손상감시 정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지만, 의도성이 확인되지 않았거나, 비의도적 중독으로 내원한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데이터처리

  • , Chicago, USA)을 사용하였으며, 범주형 자료의 경우 Chi-square test를, 연속성 자료의 경우 ANOVA test를 시행하였다. 또한,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의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p-value가 0.
  • 통계학적 검증은 SPSS version 18.0 (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하였으며, 범주형 자료의 경우 Chi-square test를, 연속성 자료의 경우 ANOVA test를 시행하였다. 또한,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의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독 약물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전체 음독 약물 중 진정 수면유도 계열이 가장 많지만 5-7) , 각 세대별로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약물의 종류가 다르므로 자살 시도 시 음독하는 중독 물질이 다를 가능성이 높다. 만일, 세대별로 음독 약물의 종류가 다르다면 음독 후환자의 예후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인 중독 물질은? 복용 약제의 경우, 진정수면제 계열의 약물의 사망률은 0.7% (4/608명), 농약과 부식제는 17.8% (43/242명), 8.
음독으로 내원한 환자의 연령별 비율은? 이중 일산화탄소 중독 과 같은 흡인성 중독으로 내원한 469명이 연구에서 제외하였으며, 의도성이 확인되지 않거나, 의도적이지 않은 음독으로 내원한 576명 역시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의도적인 음독으로 내원한 환자는 1,823명이었으며, 이들을 연령별로 분류하였을 때 청소년은 130명(7.1%), 청장년층은 1,460명(80.1%), 노인층은 233명(12.8%)이였다(Fig.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inistry of Statistical Office (Korea). 2013 National survey on Suicide. Ministry of Statistical Office; 2013.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94N_606&vw_cdMT_ZTITLE&list_id117_11794_002&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cited 10 May 2016]. 

  2. Kim BR, Ahn JH, Cha BS, Chung YC, Ha TH, Jeong SH, et al. Characteristics of methods of suicide attempts in Korea: Korea National Suicide Survey (KNSS). J Affective Disorders 2015;188:218-25. 

  3. OECD-libirary.org. Available from: http://www.oecd-ilibrary.org/sites/health_glance-2015-en/03/06/g3-12.html?contentType&itemId%2fcontent%2fchapter%2fhealth_glance-2015-11-en&mimeType text%2fhtml&containerItemId%2fcontent%2fserial%2f19991312&accessItemIds&_csp_1a72a8077332d88169079e7cc4ffa517, [cited 10 May 2016]. 

  4. Kim DM, Park WB, Lim YS, Kim JJ, Jang JH, Yang HJ, et al. Comparison of prescription patterns and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clinical departments in sedative-hypnotic intoxication.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4;12(2):54-62. 

  5. Sorge M, Weidhase L, Bernhard M, Gries A, Petros S. Self-poisoning in the acute care medicine 2005-2012. J Anaesthesist 2015;64:456-62. 

  6. Mauri MC, Cerveri G, Volonteri LS, Fiorentini A, Colasanti A, Manfre S, et al. Parasuicide and drug selfpoisoning: analysis of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variables of the patients admitted to the Poisoning Treatment Centre (CAV), Niguarda General Hospital, Milan. J Clin Pract Epidemiol Ment Health 2005;1(1):5. 

  7. Spiller HA, Appana S, Brock GN. Epidemiological trends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by poisoning in the US: 2000-2008. J Legal Med 2010;12:177-83. 

  8. Kim BK, Jung SY, Jung KY.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0;8:61-8. 

  9. Kim YJ, SO BH, Kim HM, Jeong WJ, Chan KM, Kim SW.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y gen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ntional poisoning at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4:12(2):63-9. 

  10. Kweon YK, Hwang SY, Yeon B, Choi KH, Oh YM, Lee HK, et al. Characteristics of drug overdose in young suicide attempts. J Clin Psychopharmacol and Neuroscience 2012;10(3):180-4. 

  11. Miranda Arto P, Ferrer Dufol A, Ruiz Ruiz FJ, Menao Guillen S, Civeira Murillo E. Acute poisoning in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An Sist Sanit Navar 2014;37(1):99-108. 

  12. Kim YR, Choi KH, Oh YM, Lee HK, Kweon YS, Lee CT, et al. Elderly suicide attempters by self-poisoning in Korea. Int Psychogeriatrics 2011;23(6):979-85. 

  13. Zakharov S, Navratil T, Pelclova D. Suicide attempts by deliberate self-poison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iatry Res. 2013;210(1):302-7. 

  14. Kaplan MS, Huguet N, McFarland BH, Caetano R, Conner KR, Giesbrecht N, et al. Use of alcohol before suicide in the United States. J Ann Epidemiol 2014;24:588-92. 

  15. Yi SW, Jung MJ, Kimm H, Sull JW, Lee ES, Lee KO, et al. Usual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e mortality among the Korean elderly in rural communities: Kangwah Cohort Stud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6;0:1-6. 

  16. Lee WJ, Youn CH, Kyong YY, Woo SH, Jeong SK, Choi SM, et al. Effect of alcohol ingestion on clinical features of acute drug intoxicated patients. J Clin Toxicol 2009;20(1):115-21. 

  17. Kim H, Won HK, Kim HJ, Lee SY, Lee KH, Hwang SO. Effects of alcohol in intoxicated patients. J Clin Toxocol 2004;2(2):96-100. 

  18. Chan CH, Caine ED, You SE, Yip PSF. Changes in South Korean urbanicity and suicide rates, 1992 to 2012. BMJ open 2015 5:e009451. 

  19. Sung AJ, Lee KW, So BH, Lee MJ, Kim H, Park KH, et al. Multicenter survey of intoxication cases in Korean emergency departments: 2nd annual report, 2009. J Korean Soc Clinl Toxicol 2012;10(1): 2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