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이돌을 둘러싼 젠더화된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의 문화정치학 <아이유 사태>를 중심으로
Cultural Politics of Gendered Schadenfreude Surrounding an Idol Focusing on the debate over IU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0, 2016년, pp.115 - 142  

김현경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작년 하반기 아이유 4집 앨범 발매 이후 벌어진 일련의 상황을 사례 삼아 최근 걸 아이돌에 대한 부정적인 대중 감정의 내용과 논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그간 팬덤 연구의 흐름은 스타에 대한 동일시와 그에 기반을 둔 팬덤 커뮤니티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최근 '안티팬덤'이나 연예인에 대한 '악플' 현상은 이들에 대한 적의나 샤덴프로이데(타인의 불행을 기뻐하는 감정)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다루어야 할 필요를 제기한다. 샤덴프로이데는 공적 평등과 사적 소유 간 모순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 자유주의에서 배태되어 '능력주의'를 중심으로 이 모순을 극대화하는 신자유주의에서 심화되는 사회적 감정이다. 오늘날 연예인은 종종 샤덴프로이데의 대상이 되는데, 이는 연예인이 본질적인 자질보다 '유명하다는 이유로 유명해지는' 방식으로 존재하게 된 상황과 관련이 있다. 또한 샤덴프로이데는 남녀 연예인에게 다르게 작동한다. 근대에 이르러 존재 자체가 남성의 사적 소유물로 위치되었던 여성의 '성공'은 섹슈얼리티를 이용한 '불공정한 자원 획득'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한국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 문화의 배경이기도 한데, 이러한 맥락에서 아이유의 '여동생 아이돌 아티스트'로서의 성공은 젠더화된 샤덴프로이데의 적절한 대상이 된다. '페도필리아(소아성애증)'라는 명명은 작금의 여성주의 성폭력 정치가 직면한 교착상태를 반영하는 측면이 있지만, 아동성폭력/학대의 구조적 원인에 관심을 두게 하기보다 개인의 유명세에 흠집을 내는 추문으로서 작동한다. '아이유 사태'에서 '페도필리아' 규정의 작동 방식을 '성 정치의 샤덴프로이데화'로 본 것은 이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 용어는 연예인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장을 넓혀나가는 연예인 경제 지속에 기여하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ntent of and logic behind a recent negative public sentiment toward female idols with the example of a debate over songstress IU's fourth album that was released late last year. While previous studies on fandom have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process towards enter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샤덴프로이데는 무엇을 뜻하는가? 샤덴프로이데는 남의 불행이나 고통을 보면서 느끼는 기쁨을 뜻하며, 상반되는 뜻을 담은 두 독일어 단어 ‘Schaden(손실, 고통)’과 ‘Freude(환희, 기쁨)’의 합성어다(Smith, 2013/ 2016, 6∼7쪽). 이러한 감정과 연예인은 어떤 관련을 맺는 것일까? 미디어에 등장하는 인물을 대상으로 한 하향 비교의 욕망은 이들이 망신당하는 모습을 오락의 요소로 만든 프로그램을 일컫는 ‘휴밀리테인먼트(humilitainment)’라는 개념이 등장할 만큼 광범하게 확산되고 있다(Booker & Waite, 2005: Smith, 2013/2016, 13쪽 재인용).
샤덴프로이데가 남녀 연예인에게 다르게 작동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샤덴프로이데는 남녀 연예인에게 다르게 작동한다. 근대에 이르러 존재 자체가 남성의 사적 소유물로 위치되었던 여성의 '성공'은 섹슈얼리티를 이용한 '불공정한 자원 획득'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한국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 문화의 배경이기도 한데, 이러한 맥락에서 아이유의 '여동생 아이돌 아티스트'로서의 성공은 젠더화된 샤덴프로이데의 적절한 대상이 된다.
아이유 사태가 벌어진 핵심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그 즈음 발매된 에 실린 에서 촉발된 무수한 입방아들은 인기 가도를 달리고 있는 젊은 여가수의 이미지와 실제에 대한 대중의 욕망을 살펴보기에 부족함이 없는 텍스트들이다. <아이유 사태>가 벌어진 핵심적인 이유는 흥미롭게도 ‘아동을 성적 대상으로 이미지화했다’는 것이었다. 아이유 자신이 ‘국민 여동생’이라는 성적 대상의 이미지로 등장했을 때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사실이 왜 이 상황에서는 ‘음원 폐기’까지 요청되는 문제가 되었을까? 성적 대상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주하는 수많은 다른 걸 아이돌들에게는 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이런 질문을 하다 보면 ‘왜 하필 아이유의 4집 앨범이 페도필리아(pedophillia, 소아성애증)로 명명되었을까?’라는 질문에 이르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강명석 (2016, 5, 18). 설현과 지민이 무슨 죄를 지었길래. [전자매체본] . URL: http://www.ize.co.kr/articleView.html?no2016051509097215052 

  2. 강명석 (2016, 8, 24). 티파니를 싫어할 수는 있겠지만. [전자매체본] . URL: http://www.ize.co.kr/articleView.html?no2016082110487276794 

  3. 권명아 (2000). . 서울: 책세상. 

  4. 김성윤 (2011). '삼촌팬'의 탄생: 30대 남성 팬덤의 불/가능성에 관하여. 이동연 (편). (238- 269쪽). 서울: 이매진. 

  5. 김수아 (2010).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소녀 그룹의 삼촌 팬 담론 구성. , 15호, 79-119. 

  6. 김수아 (2015).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 15권 2호, 279-317. 

  7. 김신현경 (2016). 미소지니를 넘어서기 위해 더 물어야 할 질문들. , 11호, 114-124. 

  8. 김예란 (2014). 아이돌 공화국: 소녀 산업의 지구화와 소녀 육체의 상업화. (사)한국여성연구소 (편), (289-411쪽). 서울: 동녘. 

  9. 김예림 (2009). 문화번역 장소로서의 칙릿: 노동과 소비 혹은 현실과 판타지의 역학. , 17권 4호. 48-77. 

  10. 김원겸 (2008, 9, 23). 아이유 "열다섯 '명품 발라드' 들어보실래요". [전자매체본] .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1991052. 

  11. 김은경.이나영 (2015). 성폭력, 누구에 대한 어떤 공포인가: 언론의 성폭력 재현과 젠더질서의 재생산. , 30권 2호, 5-38. 

  12. 김은실 (2008). 조선의 식민지 지식인 나혜석의 근대성을 질문한다. , 24권 2호, 147-186. 

  13. 김작가 (2015, 11, 9). 아이유와 국정교과서. [전자매체본] . URL: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511092119395&code990100. 

  14. 김현경 (2014). 기획사 중심 연예산업의 젠더/섹슈얼리티 정치학. , 30권 2호, 53-88. 

  15. 김홍중 (2009). . 서울: 문학동네. 

  16. 데칼코마니킴 (2015, 11, 6). 아이유 '제제' 음원 폐기를 요청합니다. [전자매체본] 다음 아고라. URL: http://m.bbs3.agora.media.daum.net/gaia/do/mobile/petition/read?articleStatusS&cPageIndex1&bbsIdP001&cSortKeydepth&articleId177680. 

  17. 무민이 (2016, 8, 31). 로리유 이럴 줄 알았다. [전자매체본] 디시인사이드 아이유 갤러리. URL: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iu_new&no2153423&page1&search_pos-2154259&s_typesearch_all&s_keyword%EC%9D%80%ED%98%81. 

  18. 문화/과학 편집위원회 (2010). , 64호(겨울호). 

  19. 민노씨 (2015, 11, 12). 아이유 소동과 마법의 시대. [전자매체본] . URL: http://slownews.kr/47814 

  20. 서동진 외 (2014). . 서울: 글항아리. 

  21. 손희정 (2015). 페미니즘 리부트: 한국 영화를 통해 보는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그 이후. , 83호. 14-47. 

  22. 손희정 (2015, 12, 9). 아이유가 부르고 싶었던 노래. [전자매체본] , 12호. URL: http://cultural.jinbo.net/?p1802. 

  23. 양정혜 (2010). 뉴스미디어가 재현하는 범죄현실: 아동대상 성폭력 범죄의 프레이밍. , 10권 2호, 343-379. 

  24. 엄진 (2016).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 31권 2호, 193-244. 

  25. 위근우 (2015, 11, 13). 아이유의 잘못, 평론가의 불성실, 대중의 선택. [전자매체본] .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1991052 

  26. 윤보라 (2013). 일베와 여성혐오: "일베는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다". , 57호, 33-56. 

  27. 이경훈 (2003). . 서울: 문학과 지성사. 

  28. 이나영 (2014). 한국 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 30권 4호, 1-45. 

  29. 이정연.이기형 (2009). '칙릿' 소설,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초상: 대중소설 와 을 중심으로. , 17권 2호, 87-138. 

  30. 장(윤)필화 (2000). . 서울: 도서출판 또하나의문화. 

  31. 장민지 (2016). 디지털 네이티브 여/성주체(Digital Native Fe/male Subject)의 운동 전략: 메갈리아를 중심으로. , 31권 3호. 

  32. 정눈꽃 (2015, 11, 10). 아이유 논란에 대한 '스물셋' 여작가의 반박. [전자매체본] . URL: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1071603&year2015. 

  33. 정민우 (2011). 박재범과 타블로, 그리고 유승준의 평행 이론: 한국 대중음악의 초국적화와 민족주의적 트러블. 이동연 (편), (170-193쪽). 서울: 이매진. 

  34. 정윤수 (2011), 걸그룹을 둘러싼 모험: 위험사회에서 살아남기. , 8호, 99-125. 

  35. 조은 (2008).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가족 정치의 지형: 계급과 젠더의 경합. , 24권 2호, 5-37. 

  36. 조은 (2010). 젠더 불평등 또는 젠더 패러독스: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모성의 정치경제학. , 26권 1호, 69-95. 

  37. 차우진.최지선 (2011). 한국 아이돌 그룹의 역사와 계보, 1996-2010년. 이동연 (편), (112-158쪽). 서울: 이매진. 

  38. 추지현 (2014). "성폭력을 엄벌하다": 2000년대 성폭력 정책 담론의 구조와 효과. , 30권 3호, 45-84. 

  39. 한지은 (2015, 11, 9). 우리의 발언은 기울어진 저울의 한 편에 필연적으로 무게를 실어주게 된다. [전자매체본] . URL: http://ppss.kr/archives/60602 

  40. 홍성철 (2015).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1. 황효진 (2016, 5, 10). 2016 걸그룹 (1) 다시 소녀들의 시대 [전자매체본] . URL: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6050821217279604. 

  42. 上野千鶴子 (1990). 家父長制と資本制: マルクス主義フェミニズムの地平. 이승희 (역) (1994). . 서울: 녹두. 

  43. 上野千鶴子 (2010). 女ぎらい: ニッポンのミソジニ. 나일등 (역) (2012). . 서울: 은행나무. 

  44. Booker, S., & Waite, B. M. (2005, May). Humilitainment? Lessons from 'The Apprentice'. Presented at the 17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Los Angeles. 

  45. Boorstin, D. J. (1962). The image: A guide to pseudo-events in America. 정태철 (역) (2004). . 서울: 사계절. 

  46. Brooks, A. (1997). Postfeminisms: Feminism, cultural theory and cultural foams. 김명혜 (역). (2003). . 서울: 한나래. 

  47. Clough P. T., & Halley, J. (2007). Affective turn.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48. Clough, P. T. (2008). The affective turn: Political economy, biomedia and bodies. Theory, Culture & Society, 25(1), 1-22. 

  49. Cross, S., & Littler, J. (2010). Celebrity and schadenfreude: The cultural economy of fame in freefall. Cultural Studies, 24(3), 395-417. 

  50. Dickenson, D. (2007). Property in the body: Feminist perspectiv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Galbraith, P. W., & Karlin, J. G. (2012). Introduction: The mirror of idols and celebrity. In P. W. Galbraith & J. G. Karlin (Eds.), Idols and celebrity in Japanese media culture (pp. 1-32).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52. Galbraith, P. W. (2012). Idols: The image of desire in Japanese consumer capitalism. In P. W. Galbraith & J. G. Karlin (Eds.), Idols and celebrity in Japanese media culture (pp. 185-208).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53. Gregg, M., & Seigworth, G. J. (2010). The affect theory reader. 최성희.김지영.박혜정 (역) (2015). . 서울: 갈무리. 

  54. Karlin, J. G. (2012). Through a looking glass darkly: Television advertising, idols, and the making of fan audiences. In P. W. Galbraith & J. G. Karlin (Eds.), Idols and celebrity in Japanese media culture (pp. 72-93).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55. Lukacs, G. (2010). Scripted affects, branded selves: Television, subjectivity, and capitalism in 1990s Japan.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56. Marshall, D. (1997). Celebrity and power: Fame and contemporary culture.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7. Prusa, I. (2012). Megaspectacle and celebrity transgression in Japan: The Sakai Noriko media scandal. In P. W. Galbraith & J. G. Karlin (Eds.), Idols and celebrity in Japanese media culture (pp. 56-71).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58. Scott, J. W. (1996). Only paradoxes to offer: French feminists and the rights of man. 공임순.최영석.이화진 (역) (2006). . 서울: 앨피. 

  59. Sedgwick, E. K. (1985). Between men: English literature and male homosocial desire.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60. Silverman, I., & Wilson, D. C. (2002). Innocence betrayed: Paedophilia, the media and society. London, UK: Polity Press. 

  61. Smith, R. H. (2013). The joy of pain: Schadenfreude and the dark side of human nature. 이영아 (역) (2015). . 서울: 현암사. 

  62. Song, J. (2009). South Koreans in the debt crisis. 추선영 (역) (2016). . 서울: 이후. 

  63. Verhaeghe, P. (2012). Identiteit. 장혜경 (역) (2015). . 서울: 반비.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