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록활엽수 7수종의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to Drought Stress of Seven Evergreen Hardwood Specie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4, 2017년, pp.397 - 407  

진언주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조민기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배은지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박준형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최명석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조경수 및 가로수로 이용되고 있는 상록활엽수들 중 Cinnamomum camphora Sieb., Camellia japonica L., Quercus glauca Thunb., Machilus thunbergii., Dendropanax morbifera LEV.,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등 7 수종에 대해서 내건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수종별 내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6년 9월 5일~10월 5일까지 30일간 무관수 처리하였고 5일 간격으로 수종별 건중량, 잎의 상대함수량, 상대수분손실량, 전해질 용출 등을 측정하여 내건성을 비교하였다. 4가지 측정방법으로 비교한 결과 C. japonica > R. indica > Q. glauca > M. thunbergii, D. morbifera > D. macropodum > C. camphora 순으로 내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선형 회귀분석의 로지스틱 모델을 사용하여 수종별 건조처리에 따른 치사기간을 분석한 결과 22.7~37.6일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C. japonica 37.6일, R. indica 36.8일, Q. glauca 35.3일, M. thunbergi 31.0일 등으로 30일 이상으로 높은 내건성을 보인 반면, C. camphora 22.7일, D. morbifera 27.5일, D. macropodum 22.8일로 수분결핍에 따른 건조저항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상록활엽수 7수종 중 C. japonica, R. indica, Q. glauca는 수분스트레스에 저항하는 적응력을 보였기에 시기를 조정하여 식재하면 안정적인 가로수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drought resistance of 7 species of landscape trees commonly grown in Korea. The 7 species are: Camellia japonica, Rhaphiolepis indica, Quercus glauca, Machilus thunbergii, Daphniphyllum macropodum, Dendropanax morbifera and Cinnamomum camphora. In ord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조저항일은 인공적으로 건조처리 된 식물체의 실제 생존율을 분석함으로써 건조치사기간을 구명하고, 생리적 평가간의 비교를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충분히 활착기간을 거친 균일한 묘목 5본씩 5일 간격으로 6번을 측정하여 30일간 일괄적으로 관수를 차단하여 생존율에 따른 건조저항일(Resistant dry days, RDS, day)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지구온난화가 심화되면서 건조에 의한 환경스트레스에 적합한 기초 실험으로 식물 7종에 대한 내건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건조처리기간에 따른 건조저항일, 건물생산량, 상대수분함량, Proline 함량, 전해질 용출, 수종별 치사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조경수 및 가로수로 이용되고 있는 상록활엽수들 중 7 수종에 대해 내건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수종별 내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6년 9월 5일~10월 5일까지 30일간 무관수 처리하였고 5일 간격으로 수종별 건중량, 잎의 상대함수량, 상대수분손실량, 전해질 용출 등을 측정하여 내건성을 비교하였다. 4가지 측정방법으로 비교한 결과 C. japonica > R. indica > Q. glauca > M. thunbergii, D. morbifera > D. macropodum > C. camphora 순으로 내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선형 회귀분석의 로지스틱 모델을 사용하여 수종별 건조처리에 따른 치사기간을 분석한 결과 22.
프롤린은 무엇으로부터 합성되는 가? , 1998). 프롤린은 식물에서 글루탐산(glutamic acid)과 오르니틴(ornithine)으로부터 합성되고, 스트레스 환경(고염, 고온, 건조)에서는 주로 글루탐산으로부터 합성된다(Delaunet, 1993). 20세기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가뭄발생 빈도 증가로 식물은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식물이 받는 스트레스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식물은 여러 가지 환경 스트레스를 받으며 생장한다. 이러한 식물이 받는 스트레스는 생물적인 요인과 무생물적인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건조는 무생물적인 스트레스 요인으로 체내의 수분함량이 줄고, 생장량이 감소하여 모든 대사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식물은 건조에 대해 생리 및 형태적으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능력은 식물의 양적 형질로써 여러반응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수분 부족에 대한 내건성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adle, C.L. 1993. Grotth analysis. Photosynthesis and production in a changing environment, a filed and laboratiry manual. D.O. Hall, J.M.O. Scurlock. H.R. Bolhar-Nordenkampf, R. C. Leegood, and S. P. Long(Eds.), Chapman Hall, London, 36-46. 

  2. Binzel, M.L., Hasegawa, P.M., Handa, A.K. and Bressan, R.A. 1985. Adaptation of tobacco cells to NaC1, Plant Physiol 79: 118-125. 

  3. Chen, S.G. and Ding, Y. F. 2011. Measurement of drought tolerance based on rec and the logistic equation in 5 spiece of sedum. Jiangsu Agricultural Sciences 3: 227-230. 

  4. Chen, J., Chen, Q., Pan, Y. and Huang, X. 2007. A study of he drought resistance of six wild bushes. Journal of Sichuan Forestry Science and Technology 28(5): 50-54. 

  5. Choi, S.M. 2013. The study o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tolerance and propagation for broad-leaved evergreen species. 

  6. Delauney, A.J. and Verma, D.P.S. 1993. Proline biosynthesis and osmoregulation in plants. The Plant Journal 4(2): 215-223. 

  7. Guo, Y.Q., Tang, S.M., Zhang, Y.H., Wang, K.M. and Xu, J.C. 2008. Study on drought resistance of some greenning plants grown on roofs. Chinese Journal of Tropical Acriculture. 28(3) : 29-31. 

  8. Hare, P.D., Cress, W.A. and Staden, J.V. 1998. Dissecting the roles of osmolyte accumulation during stres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1: 535-553. 

  9. Hong, Y.N. 2009. Introduction of Plant Physiology (4th) (eds. Hopkins, W. G., Huner, N. P. A.), pp. 230, 244, 246-248. World Science Publishing, Seoul, Korea. 

  10. Hsiao, T.C. 1973. Plant responses to water stres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24: 519-570. 

  11. Ihm, B.S. 1993. Water Status and Photosynthetic Activiti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Korean Journal Ecology and Environment. 16(3): 353-364. 

  12. Kozlowski, T.T. and Pallardy, S.G. 2002. Acclimation and adaptive responses of woody plants to environmental stresses. The Botanical Review 68(2): 270-334. 

  13. Kramer, P.J. and Boyer, J.S. 1995. Water Relations of Plants and Soils. Academic Press. 

  14. Lee, E.H. 2004.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garding rooftop greening in korea. Journal Korean Environment Restoration & Revegetation Technology 7(4): 44-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iva, M.J. and Fernandez-Ales, R. 1998. Variability in seedling water status during drought within a Quercus ilex subsp. ballota population, and its relation to seedling morpholog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1(2-3): 147-156. 

  16. Liu, J. and Zhu, J.K. 1997. Proline accumulation and salt-stress-induced gene expression in a salt hypersensitive mutant of Arabidopsis. Plant Physiol 114: 591-596. 

  17. Oh, C.Y., Han, S.H., Kim, Y.Y. and Lee, J.C. 2005. Changes of drought tolerance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oplulus davidiana dode according to REG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4): 296-302. 

  18. Ritchie, G.A. 1984. Assessing seedling quality, in: Duryea, M.L., Landis, T.D. (Eds), Forest Nursery MANUAL 1 : Production of Bareroot Seedlings, Martinus Nijhoff Publishsrs, Netherlands, pp. 243-259. 

  19. Rustad, L.E., Campbell, J.L., Marion, G.M. Norby, R.J., Mitchell, M.J., Hartley, A.E., Cornelissen, J.H.C. and Gurevitch, J. 2001. A meta-analysis of the response of soil respiration, net nitrogen mineralization, and aboveground plant growth to experimental ecosystem warming. Oecologia 126: 543-562. 

  20. Ryu. J.H., Lee, H.B., Kim, C.M., Jung, H.H. and Kim, K.S. 2014. Cold tolerance of ground cover plants for use as green roofs and wall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2(5): 590-599. 

  21. Seki, M., Umezawa, T., Urano, K. and Shinozaki, K. 2007. Regulatory metabolic networks in drought stress responses.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10: 296-302. 

  22. Shin, C.S. 2011.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Lagerstromia indica and Pyracantha angustifolia with dormant branch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6): 118-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uh, J.T., Yoo, D.L., Lee, H.S., Lee, H.K., Nam, C.W., Ryn, S.Y. and Song, J.S. 2006. Selection of Drought Tolerance Wild-flowers Using of Flowerpot and Rooftop Plant.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3): 1-5. 

  24. Switzer, G.L., and Nelson, L.E. 1963. Effects ofnursery fertility and density on seedling characteristics yield, and field performance odlobloly pine(Pinus teada 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roceedings. 27: 461-464. 

  25. Turner, N.C. 1980. Measurement of plant water status by the pressure chamber technique. Irrigation. Science. 9: 289-308. 

  26. Xial, X., Xu, X. and Yang, F. 2008. Adaptive responses to progrressive drought stress in two Poplulus cathayana populations. Silva Fennica 42(5): 705-179. 

  27. Xu, Z., Liu, J., Xu, J., Zhi, T. and Yin, X. 2012. The study on drought resistance of roof greening woody plants. Chinese Agricultural Science Bulletin 28(1): 311-316. 

  28. Yin, H.J., Liu, Q. and Lai, T. 2008. Warming effects on growth and physiology in the seedlings of the two conifers Picea asperata and Abies faxoniana under two contrasting light conditions. Ecological Research 23: 459-469. 

  29. Zhao, H.S.H. 2013. Drought resistance assessment of ground cover plants for low management and light weight green root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1): 83-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