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류유형 영향분석(FMEA)을 적용한 수술준비 위험예방활동의 효과
A Study on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for Preoperative Risk Prevention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5, 2016년, pp.415 - 423  

김창희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향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patients with safe preoperative preparatory procedures by removing any risk factors from the preparatory procedures by using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which is a prospective risk-managing tool. Methods: This was a research design in whi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 전 과정에 적용된 오류유형 영향분석이 수술 준비 누락률과 수술 취소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의료기관 내외적으로 다학제 팀을 구성하고, 시스템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향적 위험관리 도구인 오류 유형 영향분석을 활용하여 수술준비 과정에서 팀 기반으로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제거하여 환자에게 안전한 수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중재방안을 검증해 보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FMEA 적용을 통해 수술 전 위험요인을 확인하였고, 위험도 우선순위가 가장 높았던 수술 부위 표식오류, 항혈전제 복용확인 누락, 수술에 필요한 혈액검사 누락, 장신구 확인 누락 위험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개선활동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향적 위험관리방법으로 알려진 오류유형 영향 분석(FMEA)을 이용하여 수술 전 준비절차에서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환자에게 안전한 수술 전 준비절차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수술 전 준비 과정에서 오류유형 영향분석을 통하여 환자안전에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위험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위험요인 제거 전략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오류란 ‘수술 전 준비절차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말하며, 영향이란 ‘수술준비누락과 수술취소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환자에게 안전한 수술 전 환경 제공과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과정에서 오류유형 영향분석 (FMEA) 적용을 통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수술과 관련된 환자안전사고 예방활동에 대한 연구 중 수술실 입실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예방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수술 환자의 수술 전 준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환자에게 수술전 준비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제거한 연구로써 임상에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의료 질 관리 활동에서 FMEA 적용은 지속적으로 보다 많은 사례연구와 운영방법의 다변화가 필요하지만, 조직구성원들이 전향적으로 팀 기반, 시스템적 접근 방식으로 안전사고에 위험이 되는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환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험을 통해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2차 회의에서는 각 부서에서 취합한 자료를 서로를 비난하지 않고 브레인스토밍을 하였다. 수술 전 환자에게 발생가능성이 높은 사고, 빈번하게 자주 발생되는 사고, 드물게 발생되지만 발생하면 환자에게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사고 등의 근본원인이 무엇인지 심층토론을 하여 밝혀내는 확인 작업을 하였다.
  • 향후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계기로 FMEA의 현장 적용이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연구자들은 수술 영역에서의 적용 효과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오류란 ‘수술 전 준비절차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말하며, 영향이란 ‘수술준비누락과 수술취소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은 무엇인가? 수술은 외부인의 출입이 제한된 폐쇄공간에서 고위험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장기 일부를 절제, 제거, 변경함으로써 질병 및 장애를 치료하는 것이다[1]. 수술은 고위험 장비와 높은 수준의 의료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치료팀이 참여하고[2], 환자가 입원에서 수술할 때까지 다양한 직종의 치료팀이 환자 정보를 공유하면서 검사, 치료, 간호를 제공한다.
치료팀 간 의사소통 장애 발생 시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특히 복잡한 의료환경에서 치료팀 간의 상호작용은 환자안전에 다양한 영향을 준다[3,4]. 환자가 수술실로 이동하는 과정동안 수술 전에 필요한 혈액검사, 영상검사, 진단검사, 과거력, 복용약, 알러지 등 많은 양의 환자정보가 축적되고, 치료팀은 이를 서로 공유하게 되는데, 이 때 치료팀 간 의사소통 장애가 발생하면 환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주는 안전사고들[2] 예를 들면, 수술 부위 표식 오류, 항혈전제 복용 보고 누락으로 인한 출혈 등이 발생할수 있다.
안전관리 측면에서 수술전 환자 준비가 중요한 이유는? 폐쇄공간에서 최첨단 기구나 장비를 이용하여 침습적 수술 기법을 적용하는 수술과정의 특성상 안전관리 측면에서 수술전 환자 준비는 매우 중요하다[1]. 특히 수술실에서 환자의 의식은 마취상태이기 때문에 환자정보를 환자에게 직접 확인할수 없고, 소아나 의식이 없는 노인 환자에게 수술과 관련된 사항을 직접 확인할 수 없으므로 수술실 입실 전 철저한 준비는 수술과 관련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반대로 수술 전 준비 부족은 환자에게 수술연기로 인한 치료시점 지연, 재원기간 연장, 환자와 가족에게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킨다[5]. 따라서 수술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수술과 관련된 환자안전계획을 수립하여 환자에게 질적이고 안전한 수술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JS, Kim JS. Importance awareness and compliance on patient safety for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2):5748-5758. http://dx.doi.org/10.7662/KAIS.2011.12.12.5748 

  2. Einav Y, Gopher D, Kara I, Ben-Yosef O, Lawn M, Laufer N, et al. Preoperative briefing in the operating room: Shared cognition, teamwork, and patient safety. Chest. 2010;137(2):443-449. http://dx.doi.org/10.1378/chest.08-1732 

  3. Christian CK, Gustafson ML, Roth EM, Sheridan TB, Gandhi TK, Dwyer K,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patien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Surgery. 2006;139:159-173. http://dx.doi.org/10.1016/j.surg.2005.07.037 

  4. Khuri SF, Henderson WG, Daley J, Jonasson O, Jones RS, Campbell DA, et al. The patient safety in surgery study: Background, study, design, and patient popul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007;204:1089-1102. http://dx.doi.org/10.1016/j.jamcollsurg.2007.03.028 

  5. Mehtsun WT, Ibrahim AM, Diener-West M, Pronovost PJ, Makary MA. Surgical never events in the United States. Surgery, 2013;153:465-472. http://dx.doi.org/10.1016/j.surg.2012.10.1005 

  6. Lee KH, Lee YS, Park HK, Rhu JO, Byun IS.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2):204-214 

  7. Chiozza ML, Ponzetti C. FMEA: A model for reducing medical errors. Clinica Chimica Acta. 2009;404:75-78. http://dx.doi.org/10.1016/j.cca.2009.03.015 

  8. Lu Y, Teng F, Zhou J, Wen A, Bi Y.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in blood transfusion: A proactive tool to reduce risks. Transfusion. 2013;53:3080-3087. http://dx.doi.org/10.1111/trf.12174 

  9. Ho CC, Liao CJ. The use of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to construct an effective disposal and prevention mechanism for infectious hospital waste. Waste management. 2011;31(12):2631-2637. http://dx.doi.org/10.1016/j.wasman.2011.07.011 

  10. Bonfant G, Belfanti P, Paternoster G, Gabrielli D, Gaiter AM, Manes M, et al. Clinical risk analysis with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model in a dialysis unit. Journal of Nephrology. 2010;23(01):111-118. 

  11. Yang NY, Lee MH. Analysis of effects of chemotherapy using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on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3):254-262. http://dx.doi.org/10.1111/jkana.2015.21.3.254 

  12. Reason J. Understanding adverse events: Human factors. Quality Health Care. 1995;4:80-89. 

  13. Douketis JD. Perioperative anticoaulation management in patients who are receiving oral anticoagulant therapy: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Thrombosis Research. 2002;108(1):3-13. http://dx.doi.org/10.1016/S0049-3848(02)00387-0 

  14. Dunn AS, Turpie AGG.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atients receiving oral anticoagulants: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3;163(8):901-908. http://dx.doi.org/10.1001/archinte.163.8.901 

  15. Chan DTM, Ng SSM, Chong YH, Wong J, Tam YH, Lam YH, et al. Using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to design a surgical safety checklist for safer surgery. Surgical Practice. 2010;14:53-60. http://dx.doi.org/10.1111/j.1744-1633.2010.00494.x 

  16. Chun NM. Effective FMEA application for safety improvement in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Management Engineers Society. 2015;20(4):43-53. 

  17. Cutter J, Jordan S. The systems approach to error reduction: Factors influencing inoculation injury reporting in the operation theatr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989-1000.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435.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