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장유형영향분석을 활용한 항암화학요법의 환자안전간호 효과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Chemotherapy using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on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3, 2015년, pp.254 - 262  

양남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이미향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pply failure mode & effect analysis (FMEA) to chemotherapy in order to reduce prescribing, dispensing and administering errors related to treatment and provide patients with a safe medical environment. Methods: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장유형영향분석을 활용하여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환자안전간호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고장유형영향분석을 활용하여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환자안전간호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전후 연구설계이다.
  • 본 연구는 고장유형영향분석을 활용하여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환자안전간호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연구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행위에 대하여 고장유형영향분석을 활용하여 환자안전간호의 위험요소를 분석 및 제거하여 질적인 의료 환경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 항암화학요법 과정에 사전적으로 안전사고 예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인 고장유형영향분석을 적용하여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오류를 감소시켜 환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고장유형영향분석을 통해서 처방, 조제, 투약, 모니터링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확인하였고, 위험도 우선순위는 BSA 계산오류, 간호사의 처방 주입속도 계산오류, 항암 화학요법 프로토콜 이해부족, 항암화학요법 처방 오류이었으며, BSA와 바이엘약물용량 계산 전산 프로그램개발, 항암화학요법 조제의뢰서 이중 확인, 항암화학요법 투약 스케쥴 및 모니터링 방법 개선 등과 같은 활동으로 항암화학요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암치료에서의 안전사고를 위한 방안으로는 어떤 것이 적절한가? 그러나 개인을 처벌한다고 발생된 안전사고는 해결되지 않으며, 반복적으로 항암화학요법 처방, 조제, 투약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은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안전사고를 개인 중심에서 시스템 접근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안전사고를 은폐하는 것이 아니라 비난에 대한두려움 없이 보고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의료기관은 환자를 안전의 중심에 두고 시스템 기반 접근을 통해서 사전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6].
항암화학요법이란 무엇인가? 항암화학요법은 암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으로 항암치료에 필요한 항암화학요법과 보조약물은 다양하며,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높은 독성 약물이 사용되고, 체표면적, 신장 기능 등에 따라 개인에게 필요한 약물용량이 다양하다. 그리고 항암화학요법은 정주, 경구, 척추강 내 등의 방법으로 투여되고, 항암화학요법의 주입속도가 다르며, 항암화학요법의 치료계획에 따라 투여시간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1],복잡한 절차에 따라 투여된다[2].
약물용량을 조절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항암화학요법은 암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으로 항암치료에 필요한 항암화학요법과 보조약물은 다양하며,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높은 독성 약물이 사용되고, 체표면적, 신장 기능 등에 따라 개인에게 필요한 약물용량이 다양하다. 그리고 항암화학요법은 정주, 경구, 척추강 내 등의 방법으로 투여되고, 항암화학요법의 주입속도가 다르며, 항암화학요법의 치료계획에 따라 투여시간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1],복잡한 절차에 따라 투여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shley L, Dexter R, Marshall F, McKenzie B, Ryan M, Armitage G. Improving the safety of chemotherapy administration: An oncology nurse-led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Oncology Nursing Forum. 2011;38(6):E436-444. http://dx.doi.org/10.1188/11.onf.e436-e444 

  2. Cheng CH, Chou CJ, Wang PC, Lin HY, Kao CL, Su CT. Applying HFMEA to prevent chemotherapy errors. Journal of Medical System. 2012;36:1543-1551. http://dx.doi.org/10.1007/s10916-010-9616-7 

  3. Sheridan-Leos N, Schulmeister L, Hartranft S.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TM}$ : A technique to prevent chemotherapy error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6;10(3):393-398. http://dx.doi.org/10.1188/06.cjon.393-398 

  4. Bonnabry PB, Despont-Gros C, Grauser D, Casez P, Despond M, Pugin D, Rivara-Mangeat C, et al. A risk analysis method to evaluate the impact of a computerized provider order entry system on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ed. 2008;15(4):453-460. http://dx.doi.org/10.1197/jamia.m2677 

  5. Kim EK, Kang MA, Kim HJ.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169-179. 

  6. Collins CM, Elsaid KA. Using an enhanced oral chemotherapy computerized provider order entry system to reduce prescribing errors and improve safet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1;23(1):36-43. http://dx.doi.org/10.1093/intqhc/mzq066 

  7. Park BN, Joo HJ, Lee CH, Lim SS. A study on FMEA for Railway Vehicle. Paper presented at: 2009 Spring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09, May 21;Gyeongju. 

  8. Ko SS. A study on evaluation of influence factors about the construction delay applying FEMA in apartment housing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9. Ford EC, Gaudette R, Myers L, Vanderver B, Engineer L, Zellars R, et al. Evaluation of safety in a radiation Oncology setting using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2009;74(3): 852-858. http://dx.doi.org/10.1016/j.ijrobp.2008.10.038 

  10. Adachi W, Lodolce AE. Use of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in improving the safety of i.v. drug administra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05;62(1):917-920. 

  11. Kim GR, Chen AR, Arceci RJ, Mitchell SH, Kokoszka KM, Daniel D, et al. Error reduction in pediatric chemotherapy.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2006;160: 495-498. http://dx.doi.org/10.1001/archpedi.160.5.495 

  12. Robinson DL, Heigham M, Clark J. Using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or safe administration of chemotherapy to hospitalized children with cancer.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2006;32(3):161-166. 

  13. Voeffray M, Pannatier A, Stupp R, Fucina N, Leyvraz S, Wasserfallen JB. Effect of computerization on the quality and safety of chemotherapy prescription.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6;15:418-421. http://dx.doi.org/10.1136/qshc.2005.016808 

  14. Korean Institutional for Health Accreditation. The second cycle healthcare accrediatation program. Seoul: Korean Institutional for Health Accreditation; 2014. p. 32-33. 

  15. Kim MR.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2011;41(1):1-8.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1 

  16. Lee HK, Sohn KH. Safe medication management in hospitalemphasis on dispensing, and administration. Korean Society for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2009;2:14-25. 

  17. Bonnabry P, Cingria L, Ackmermann M, Sadeghipour F, Bigler L, Mach N. Use of a prospective risk analysis method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cancer chemotherap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6;18(1):9-16. http://dx.doi.org/10.1093/intqhc/mzi082 

  18. van Tiburg CMV, Leistikow IP, Rademaker CMA, Bierings MB, van DiJk ATH. Health care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A useful proactive risk analysis in a pediatric oncology ward.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6;15:58-64. http://dx.doi.org/10.1136/qshc.2005.014902 

  19. Rinke ML, Shore AD, Morlock L, Hicks RW, Miller MR.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chemotherapy medication errors in a national error reporting database. Cancer. 2007;110:186-195. http://dx.doi.org/10.1002/cncr.227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