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Nurses'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n Patient Caring Ability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5, 2016년, pp.461 - 470  

이지윤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박소영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nurses'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n patient caring ability.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2 nurses from 3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돌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 동료의 지지, 돌봄 능력의 수준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를 돌보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인 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건강, 동료의 지지, 환자 돌봄 능력은 동일 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보다 낮은 수준이었고 환자 돌봄 능력은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돌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 동료의 지지, 돌봄 능력의 수준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돌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인적인 차원 중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을 포함하고 환경적인 차원에서 동료의 지지를 포함하여 이 요인들이 환자를 돌보는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주로 국외에서 수행된 연구결과들을 국내의 실무환경에서 확인하고 간호사들의 돌봄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제한점은 돌봄 능력을 간호사의 자기보고 형식으로 측정하고 돌봄을 받는 대상자의 측면에서는 측정하지 못한점, 연구대상을 편의 추출한 의료기관의 간호사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 돌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모두 포괄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술과 생산성 중심의 현대 의료 시스템 내에서 자치 소홀히 여겨질 수 있는 간호사의 돌봄 능력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여 돌봄 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대상자 중 신규간호사 69명은 선행연구인 신규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 자기 돌봄, 실무적응 어려움의 관계에 관한 연구[18]의 대상자 173명에도 포함된 간호사들이다. 선행연구에서 신규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간호사까지 확대하여 사회심리적 건강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간호사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돌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인적인 차원 중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을 포함하고 환경적인 차원에서 동료의 지지를 포함하여 이 요인들이 환자를 돌보는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주로 국외에서 수행된 연구결과들을 국내의 실무환경에서 확인하고 간호사들의 돌봄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 실무 관점에서의 돌봄이란 무엇인가? 돌봄이란 단순히 간호사가 가져야 할 정서나 관심 뿐 아니라 인간의 상호관계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보호하고 향상시키고 유지시키는 구체적 행위이며, 간호사의 정서적인 특성을 활용 하여 환자 중심의 관점으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것, 환자와 연결되고 함께 있어주는 것과 같이 돌봄 관계 속에서 개발되고 실현된다. 즉, 돌봄은 간호 실무를 바라보는 관점이자 이론적 틀이기도 하지만 실제 간호 실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접근 방법이자 수단이며 환자에 대한 친밀하고 따뜻한 감정에서 시작하지만 감정의 영역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총체적 판단과 개별적 환자 인식에 의한 전문적이고 실재적인 행위로 실천되는 것이다[3].
2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이 가장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국내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Lee 등의 연구[18] 결과와 동일한 맥락이다. 그 이유는 더 많은 경력을 가진 간호사에 비해 간호 역량이 미숙하고 상황대처능력이 낮아 스트레스와 건강위험에 대한 적응정도가 떨어지고 직업에 대한 안정도와 순응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사회심리적 건강이 좋지 않게 나타났을 수 있다[25]. 미혼의 경우는 배우자나 자녀들의 정서적 지지나 신뢰감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없으므로 기혼자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 반응을 보였을 것이다[25].
간호사의 돌봄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간호사의 돌봄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크게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건강상태, 돌봄과 관련된 경험 등과 같은 개인적인 차원의 요인들과 병동이나 조직의 분위기, 동료와의 관계와 같은 환경적인 차원의 요인들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ininger MM. Care, the essence of nursing and health. Thorofare, NJ: SLACK; 1984. p. 3-18. 

  2. Nelson J, Watson J. Measuring caring: International research on caritas as healing. New York: Springer; 2012. 

  3. Bevis EO. Caring a life force. In: Leininger M, editor. Caring an essential human need: Proceeding of three national caring conference. Detroit: Wayne University Press; 1988. p. 45-59. 

  4. Vandenhouten C, Kubsch S, Peterson M, Murdock J, Lehrer L. Watson's theory of transpersonal caring: Factors impacting nurses professional caring.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2;26(6):326-334. https://doi.org/10.1097/HNP.0b013e31826ed0e8 

  5. Chana N, Kennedy P, Chessell ZJ. Nursing staffs' emotional well-being and caring behaviou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5;16. http://dx.doi.org/ 10.1111/jocn.12891 

  6. Hojat M, Vergare MJ, Maxwell K, Brainard G, Herrine SK, Isenberg GA, et al. The devil is in the third year: A longitudinal study of erosion of empathy in medical school. Academic Medicine. 2009;84(9):1182-1191.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b17e55 

  7. Purnell MJ. Gleaning wisdom in the research on caring. Nursing Science Quarterly. 2009;22(2):109-115. https://doi.org/10.1177/0894318409332777 

  8. Sadler J. A pilot study to measure the caring efficacy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3;24(6):295-299. 

  9. Zhou QF, Zhang YL. Research progress of medical students' empathy. Medicine & Philosophy (Humanistic& Social Medicine Edition). 2011;20115:46-48. 

  10. Lee-Hsieh J, Kuo CL, Turton MA, Hsu CL, Chu HC.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aring curriculum in Taiwan: Part II.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7; 46(12):553-561. 

  11. Bent KN, Burke JA, Eckman A, Hottmann T, McCabe J, Williams RN. Being and creating caring change in a healthcare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05;9(3):20-25. 

  12. Beck CT. Caring within nursing education: A metasynthesi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1;40(3):101-109. 

  13. Margaret M, Glembocki MM, Dunn KS. Build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caring: Caring perceptions enhanced with education.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10;41(12):565-570. http://dx.doi.org/10.3928/00220124-20100701-05 

  14. Longo J. Acts of caring: Nurses caring for nurses.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1;25(1):8-16. https://doi.org/10.1097/HNP.0b013e3181fe2627 

  15. Pak SY.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improving caring abilities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application[ dissertation].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2015. p. 1-93. 

  16. Kim JH, Hyun MY, Kim YS, Kim JS, Nam SO, Song MS, et al. Psycho-social well being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26-36.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1.26 

  17. Kim JH. Hyun M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5;14(2):108-117. 

  18. Lee JY, Lee MJ, Pak SY. The impact of psychosocial health and self-nurturance on graduate nurse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5):459-468.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5.459 

  19. Carter L, Nelson J, Sievers B, Dukek S, Pipe T, Holland D. Exploring a culture of caring.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8;32(1):57-63. https://doi.org/10.1097/01.naq.0000305948.69311.44 

  20. Kim MJ, Kim HY.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nurse's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5):558-566.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5.558 

  21. Pejtersen JH, Kristensen TS, Borg V, Bjorner JB. The second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0;38(suppl 3):8-24. http://dx.doi.org/10.1177/1403494809349858 

  22. June KJ, Choi 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l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1-12.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1 

  23. Coates CJ. The Caring Efficacy Scale: Nurses' self-reports of caring in practice settings. 3Advanced Practice Nursing Quarterly. 1997;3(1):53-59. 

  24. Cho JJ, Kim JY, Chang SJ, Fiedler N, Koh SB, Crabtree BF, et al.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08;82(1):47-57. http://dx.doi.org/10.1007/s00420-008-0306-4 

  25. Yoon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7;40(5):351-362. 

  26. Lee JY, Pak SY.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2):145-153.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2.145 

  27. Dalton GW, Thomson PH, Price RL. The four stages of professional careers: A new look at performance by professionals. Organizational Dynamics. 1977;6(1):19-42. 

  28. Cohen S, Willis TA.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985;98:310-357. 

  29. Kim IS.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515-5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