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자기 돌봄이 실무 적응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sychosocial Health and Self-nurturance on Graduate Nurse Experienc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5, 2015년, pp.459 - 468  

이지윤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이미자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박소영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sychosocial health and Self-nurturance on the experience of new graduate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9 nurses who had less than 12 months of nursing experience an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자기 돌봄을 파악하고 실무 적응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간호사들이 실무 적응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재나 도움에 대한 방향설정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건강수준과 자기돌 봄의 정도를 파악하고 실무적응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연구대상자인 신규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을 살펴보면 본 연구결과는 동일 도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건강상태를 측정한 덴마크의 연구결과나[17] 국내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20]보다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 자기 돌봄을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건강과 자기돌봄이 실무 적응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근무 경력 12개월 이하의 신규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건강, 자기돌봄, 실무 적응 어려움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건강과 자기돌봄이 실무 적응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시행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사회심리적 건강과 자기돌봄은 각각 신규간호사의 적응어려움 에 유의한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사회 심리적인 건강과 자기돌봄이 실무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자기 돌봄이 실무 적응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고 신규간호사의 중재 프로그램 내용의 주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가 급격한 사회심리적 건강의 위협을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대근무로 인해 신체적 리듬이 불규칙하고 업무상황의 불예측성, 시간에 쫓기는 업무특성 등으로 인해 높은 강도의 스트레스를 겪고 이로 인해 수면의 어려움, 우울, 소진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인 증상을 경험한다[5]. 특히 신규간호사들은 학생에서 간호사로의 역할적응, 학교에서 배운 것과 임상 실무현장의 차이,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업무량, 간호역량에 대한 자신감부족 등을 경험하면서[6] 급격한 사회심리적 건강의 위협을 받게 된다. 신규간호사들은 첫 6개월간 매우 높은 스트레스를 겪고[6] 12개월까지 스트레스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므로[7] 이 시기의 사회심리적 건강을 잘 관리하는 것은 전문직 자기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신규간호사들의 자기 돌봄이 실무에 적응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 신규간호사들의 자기 돌봄은 실무에 적응하는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왜냐하면 자기 돌봄은 스트레스와 소진을 경감하고 안녕을 증진시키는 전략이며 특히, 다른 사람들로부터 존중받지 못할 때의 치유와 소진, 공감 피로(compassion fatigue)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13]. 신규간호 사는 적응과정에서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고 자신 또는 타인에 의해 위축되고 존중받지 못한 상태에서 자신의 능력에 버거운 일을 하며 전문직으로서의 감정적 피로를 경험한다.
사회심리적으로 건강한 간호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간호사에게 사회심리적 건강은 자신의 직무인 다른 사람을 잘 돌보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자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Hensel은 사회심리적으로 건강한 간호사가 돌봄, 의사소통, 지식, 리더십 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전문직 자아개념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더 높은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간호사는 직무를 더 잘 수행한다고 하였다[2]. 그러므로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은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전문직으로서의 직업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중요시해야 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JH, Hyun MY, Kim YS, Kin JS, Nam SO, Song MS, et al. Psycho-soci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26-36.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1.26 

  2. Hensel D. Relationships among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health, and lifestyl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1;33(1):45-62. http://dx.doi.org/10.1177/0193945910373754 

  3. Nahm ES, Warren J , Zhu S, An M, Brown J . Nurses' self-care behaviors related to weight and stress. Nursing Outlook. 2012;60(5):E23-E3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12.04.005 

  4.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ague of Nurs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ague of Nursing. 2008 [cited 2015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aacn.nche.edu/education-resources/BaccEssent ials08.pdf 

  5. Yoon SH.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1):55-72. 

  6. Fink R, Krugman M, Casey K, Goode C. The graduate nurse experience: Qualitative residency program out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7-8):341-348. http://dx.doi.org/10.1097/01.nna.0000323943.82016.48 

  7. Yoon SH, Kim BS. New graduate nurses' stress, stress coping, adaptation to work, and job satisfaction: Change comparison by person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491-500. 

  8. Nemcek MA. Registered nurses' self-nurturance and life and career satisfaction. AAOHN Journal. 2007;55(8):305-310. http://dx.doi.org/10.1177/216507990705500802 

  9.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2005;131(6):803-855. http://dx.doi.org/10.1037/0033-2909.131.6.803 

  10. Schmitz MJ. Alexithymia, self-care,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Columbia, MO: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1999. 

  11. Seal TLT. Correlates and predictors of high self-nurturance [dissertation]. Kansas City, MO: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1995. 

  12. Stark MA, Hoekstra T, Hazeland DL, Barton B. Caring for self and others: Increasing health care students' healthy behaviors. Work. 2012;42(3):393-401. http://dx.doi.org/10.3233/WOR-2012-1428 

  13. Henry JD, Henry LS. The self-caring nurse. Strategies for avoiding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The Oklahoma Nurse. 2004;49(1):9. 

  14. Kim YS, Park KY.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ompetence and field adaptation in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536-543.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536 

  15. Shin YW, Lee HJ, Lim YJ.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37-47.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1.37 

  16. Ji EO. A study on field adaptation of new nurs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7. Pejtersen JH, Kristensen TS, Borg V, Bjorner JB. The second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0;38(3) suppl 8-24. http://dx.doi.org/10.1177/1403494809349858 

  18. Lehman A, Rodin J . Styles of self-nurturance and disordered eat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9; 57:117-122. 

  19. Casey K, Fink R, Krugman M, Probst J . The graduate nurse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34(6):303-311 

  20. June KJ, Choi 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a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l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1-12.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1 

  21. Nemcek MA, J ames GD. Relationships among the nurse work environment, self-nurturance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9(3):240-247.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309.x 

  22. Duffy VJ. The conflict of nurturance for women: implications for self-esteem and depression [dissertation].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1992. 

  23. Turkel MC, Ray MA. Creating a caring practice through selfrenewal.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4;28(4):249-254. 

  24. Peterson J , Hall LM, O'Brien-Pallas L, Cockerill R.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leave of new nurses. Journal of Research in Nursing. 2011;16(6):536-548. http://dx.doi.org/10.1177/1744987111422423 

  25. Goode CJ, Lynn MR, McElroy D, Bednash GD, Murray B. Lessons learned from 10 years of research on a post-baccalaureate nurse residency program.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43(2):73-79.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7f205c 

  26. Rush KL, Adanack M, Gordon J , J anke R, Ghement IR. Orientation and transition programme component predictors of new graduate workplace integra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3(2):143-155. http://dx.doi.org/10.1111/jonm.12106 

  27. Carlson GD, Warne T. Do healthier nurses make better health promoto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2007;27(5):506-513. http://dx.doi.org/10.1016/j.nedt.2006.08.012 

  28. Glembocki MM, Dunn KS. Build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caring: Caring perceptions enhanced with education.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10;41(12):565-570. http://dx.doi.org/10.3928/00220124-20100701-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