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분위기와 피로 수준이 안전이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afety Climate and Fatigue on Safety Performance of Operating Room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5, 2016년, pp.471 - 479  

최유은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김현영 (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vel of safety climate, fatigue, and safety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safety climate and fatigue on the safety performance of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Participants were 174 opera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조직의 안전문화로서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분위기와 개인의 신체 상태를 반영한 피로가 안전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사의 안전이행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이란 무엇인가? 환자안전은 환자 중심의 의료와 간호를 강조하는 개념으로 의료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이다[1]. 환자안전을 위한 관리활동은 의료가 제공되는 전 과정 중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안전사고를 찾아내고 예방하는 것으로서, 오류가 발생한 후 대응하는 사후적인 방식보다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2].
환자안전을 위한 관리활동이란 무엇인가? 환자안전은 환자 중심의 의료와 간호를 강조하는 개념으로 의료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이다[1]. 환자안전을 위한 관리활동은 의료가 제공되는 전 과정 중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안전사고를 찾아내고 예방하는 것으로서, 오류가 발생한 후 대응하는 사후적인 방식보다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2].
환자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환자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 관리에 필요한 강력하고 잘 조직화된 시스템과 함께 의료제공자 개개인의 노력이 통합되어야 한다[3]. 이를 위해서는 환자안전 문제에 대한 조 직의 인식 즉, 오류의 경험으로부터 원인이나 대책을 찾고 학습하는 상호 책임의 문화, 부서 내의 의사소통을 통해 의료오류에 대한 보고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직 문화의 형성이 중요하다[9]. 안전 분위기는 안전과 관련된 조직 문화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구성원들의 태도와 인식을 의미하며 안전과 관련된 지식 획득을 위한 동기부여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안전 활동을 실천하는 것의 토대가 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MR.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1-8. https://doi.org/10.4040/jkan.2011.41.1.1 

  2.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Great Britain). Seven steps to patient safety: An overview guide for NHS staff. London: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2004. 

  3. Karanfil L, Bahner J, Most R. Creating a patient-safe environment in a perioperative setting. AORN Journal. 2005;81(1):168-176, 179-180; quiz 183-186. 

  4. Kim JS, Kim JS. Importance awareness and compliance on patient safety for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2):5748-5758. https://doi.org/10.5762/KAIS.2011.12.12.5748 

  5. Glancy GD, Chaimowitz G. The clinical use of risk assessment.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2005;50(1):12-17. 

  6. Son MJ.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hospital nurses toward safety climate on safety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7. Cha BK, Choi J.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4):405-416.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05 

  8. Kaafarani HMA, Itani KMF, Rosen AK, Zhao S, Hartmann CW, Gaba DM. How does patient safety culture in the operating room and post-anesthesia care unit compare to the rest of the hos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2009;198(1):70-75. https://doi.org/10.1016/j.amjsurg.2008.09.017 

  9. Kim EK, Kang MA, Kim HJ.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21-334. 

  10. Neal A, Griffin MA, Hart PM.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2000;34(1-3):99-109. https://doi.org/10.1016/S0925-7535(00)00008-4 

  11. Hwang MS.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l institution workers's safety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Kyoung Hee University; 2014. 

  12. Singer SJ, Hartmann CW, Hanchate A, Zhao S, Meterko M, Shokeen P, et al. Comparing safety climate between two populations of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Health Services Research 2009;44(5 Pt 1):1563-1583. https://doi.org/10.1111/j.1475-6773.2009.00994.x 

  13. Kim IS, Park MJ, Park MY, Yoo HN, Choi JH.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hospital employees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2013;7(1):26-32. https://doi.org/10.1016/j.anr.2013.01.001 

  14. Williamson A, Lombardi DA, Folkard S, Stutts J, Courtney TK, Connor JL. The link between fatigue and safety.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011;43(2):498-515. https://doi.org/10.1016/j.aap.2009.11.011 

  15. Park AS, Cho YC.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09;10(8):2164-2172. 

  16. Chung CH, Kang HY.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2):291-29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1 

  17. Flin R, Mearns K, O'Connor P, Bryden R. Measuring safety climate: Identifying the common features. Safety Science. 2000;34(1-3):177-192. https://doi.org/10.1016/S0925-7535(00)00012-6 

  18. Winwood PC, Winefield AH, Lushington K. Work-related fatigue and recovery: The contribution of age, domestic responsibilities and shift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6(4):438-44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4011.x 

  19. Kim SJ, Sung MS. Subjective symptoms on fatigue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4):908-919. 

  20. Kim YL, Lee MH.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15;11(1):83-99. 

  21. Lee EH.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security among employees. KRIVET Issue Brief, vol 2014-54. Seoul: KRI VET; 2014. 

  22. Park KO, Kim JK, Kim MS.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s of securing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5):761-772. https://doi.org/10.4040/jkan.2015.45.5.761 

  23. Choi JH, Lee KM, Lee MA.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1):64-72. 

  24. Kim JH, Kim IK.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3):1653-1667. 

  25. Kim JK, Kim MJ, Kim SY, Yu M, Lee KA.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69-81.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69 

  26. Lee JM, Hong SJ, Park M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ICU nurses.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13;9(11):273-290. 

  27. Kim HY, Kim HS.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13-422. 

  28. Chiaburu DS, Harrison DA. Do peers make the place? Conceptual synthesis and meta-analysis of coworker effects on perceptions, attitudes, OCBs, and performance.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8;93(5):1082-1103. https://doi.org/10.1037/0021-9010.93.5.1082 

  29. Kapp EA. The influence of supervisor leadership practices and perceived group safety climate on employee safety performance. Safety Science. 2012;50(4):1119-1124. https://doi.org/10.1016/j.ssci.2011.11.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