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수면장애가 피로, 졸음과 근접오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eep Disturbance on Fatigue, Sleepiness, and Near-Miss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3, 2020년, pp.1 - 10  

문경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최수정 (삼성서울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atigue, sleepiness, and near-miss according to sleep disturbance among shift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Methods : A cross-sectional study in a tertiary hospital was performed. A total of 122 shift nurses working in the six IC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수면장애 여부가 피로와 졸음 및 의료오류의 시작인 근접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환자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과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장애 여부에 따라 피로, 졸음, 근접오류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3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수면장애 빈도를 파악하고, 수면장애 여부에 따라 간호사의 피로, 졸음 및 근접오류 발생에 차이에 대한 비교 조사 연구이다.
  • , 2018)와 일치하는 것으로, 수면장애가 있으면 각성 시간대에 졸음과 피로에 더 취약하며 이로 인해 근접오류가 증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면장애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피로, 졸음 및 근접오류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수면장애 여부가 피로와 졸음 및 의료오류의 시작인 근접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환자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과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3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가 피로, 졸음, 근접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자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aoka, S., Aritake, S., Komada, Y., Ozaki, A., Odagiri, Y., Inoue, S., . . . Inoue, Y.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shift work disorder in nurses working with rapid-rotation schedules in Japan: The nurses' sleep health project. Chronobiology International 30(4), 628-636. 

  2. Bastien, C. H., Vallieres, A., & Morin, C. M. (2001).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icine, 2(4), 297-307. 

  3. Bjorvatn, B., Dale, S., Hogstad-Erikstein, R., Fiske, E., Pallesen, S., & Waage, S. (2012). Self-reported sleep and health among Norwegian hospital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Nursing in Critical Care, 17(4), 180-188. 

  4. Booker, L. A., Magee, M., Rajaratnam, S. M. W., Sletten, T. L., & Howard, M. E. (2018). Individual vulnerability to insomnia, excessive sleepiness and shift work disorder amongst healthcare shift workers. A systematic review. Sleep Medicine Review, 41, 220-233. 

  5. Camire, E., Moyen, E., & Stelfox, H. T. (2009). Medication errors in critical care: Risk factors, prevention and disclosur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0(9), 936-943. 

  6. Chae, M. J., & Choi, S. J. (2020). Comparison of shift satisfaction, sleep, fatigue, quality of life and patient safety incidents between two-shift and three-shift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3(2), 1-11. 

  7. Chaiard, J., Deeluea, J., Suksatit, B., Songkham, W., & Inta, N. (2018). Short sleep duration among Thai nurses: Influences on fatigue, daytime sleepiness, and occupational error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60(5), 348-355. 

  8. Cho, Y. W., Lee, J. H., Son, H. K., Lee, S. H., Shin, C., & Johns, M. W. (2011).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and Breathing, 15(3), 377-384. 

  9. Cho, Y. W., Shin, W. C., Yun, C. H., Hong, S. B., Kim, J., & Earley, C. J. (2009). Epidemiology of insomnia in Korean adult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5(1), 20-23. 

  10. Cho, Y. W., Song, M. L., & Morin, C. M. (2014).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10(3), 210-215. 

  11. Edell-Gustafsson, U. M., Kritz, E. I., & Bogren, I. K. (2002).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16(2), 179-187. 

  12. Jang, E. H. (2013). Development of fatigue scale for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Johns, M. W. (1991).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4(6), 540-545. 

  14. Jung, Y. J., & Kang, S. W. (2017). Differences in sleep, fatigu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2), 190-199. 

  15. Kim, M. S., Kim, J. R., Park, K. S., Kang, Y. S., & Choe, S. P. M. (2013).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Community Health, 38(4), 229-242. 

  16. Knupp, A. M., Patterson, E. S., Ford, J. L., Zurmehly, J., & Patrick, T. (2018). Associations among nurse fatigue, individual nurse factors, and aspects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8(12), 642-648. 

  17. Lee, J. H., & Lee, S. I. (2009).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Quality Assurance Health, 15(1), 9-18. 

  18. Lee, K. A., Landis, C., Chasens, E. R., Dowling, G., Merritt, S., Parker, K. P., . . . Weaver, T. E. (2004). Sleep and chronobiology: Recommendations for nursing education. Nursing Outlook, 52(3), 126-133. 

  19. Lee, S. S., Heo, J. H., Gu, M. S., Woo, N. H., Nam, S. M., Park, M. J., . . . Lee, D. Y. (2020). 2019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ing. Seoul: Korea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 Montgomery, V. L. (2007). Effect of fatigue, workload, and environment on patient safety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8(2 Suppl), S11-16. 

  21. Morin, C. M. (1993). Insomnia: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New York: Guilford Press. 

  22. Park, E., Lee, H. Y., & Park, C. S. Y. (2018).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nurse productivity among Korean clinical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6(8), 1051-1058. 

  23. Park, M. H., Kim, H. J., Lee, B. W., Bae, S. H., & Lee, J. Y. (2016). Near misses experienc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2(1), 41-57. 

  24. Ruggiero, J. S. (2003). Correlates of fatigue in critical care nur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6(6), 434-444. 

  25. Schwendimann, R., Blatter, C., Dhaini, S., Simon, M., & Ausserhofer, D. (2018). The occurrence, types, consequences and preventability of in-hospital adverse events - a scoping review. BMC Health Service Researchs, 18(1), 521. 

  26. Scott, L. D., Arslanian-Engoren, C., & Engoren, M. C. (2014). Association of sleep and fatigue with decision regret among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3(1), 13-23. 

  27. Scott, L. D., Hofmeister, N., Rogness, N., & Rogers, A. E. (2010). An interventional approach for patient and nurse safety: A fatigue countermeasures feasibility study. Nursing Research, 59(4), 250-258. 

  28. Scott, L. D., Rogers, A. E., Hwang, W. T., & Zhang, Y. (2006). Effects of critical care nurses' work hours on vigilance and patients' safet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5(1), 30-37. 

  29. Yi, Y. H., & Choi, S. J. (2014). Association of sleep characteristics with medication errors for shift work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4), 403-4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