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사건보고와 안전분위기 인지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Nurses' Incident Reporting and Perceived Safety Climat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4, 2018년, pp.443 - 452  

고유미 (휴병원) ,  김주성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 사건보고지식 및 안전분위기 인지수준을 파악하고 간호사가 인지하는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상관계수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5점 척도에서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는 3.34, 사건보고지식 3.05, 안전분위기 인지는 3.25로 나타났다. 사건보고태도는 사건보고지식, 안전분위기와 양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r=.33, p<.001; r=.38, p<.001) 사건보고지식도 안전분위기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32, p<.001).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건보고지식과 사건보고태도 하위영역 중 개선효과에 대한 신념과 보고의도였으며 이들 요인은 안전분위기 인지수준의 24.7%를 설명하였다(F=12.22, p<.001). 그러므로 사건보고에 대한 교육과 긍정적 태도를 증진시켜 안전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안전사고 예방중재로 적용가능하며 환자안전을 위한 강화된 실무전략개발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afety climate and the level of incident reporting attitude, incident reporting knowledge and safety climat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40 nurses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 사건보고지식 및 안전 분위기 인지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사 중 50.
  • 본 연구는 종합병원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 사건보고지식 및 안전 분위기 인지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융합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사건보고태도, 사건보고지식 및 안전 분위기 인지수준을 파악한다.
  • 환자안전에서 사건보고의 가치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간호사의 사고보고실태는 투약오류를 중심으로 일부 진행되고 있을 뿐이다[28-30].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와 사건보고 지식 및 그들이 인지하는 조직의 안전 분위기 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무 융합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한 의료 환경의 조성을 방해하는 원인은? 환자안전사고는 개인적 차원과 조직내 시스템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4,8]. 그러나 의료현장은 발생한 실수나 오류의 공개를 꺼리는 경향이 있으며[7] 병원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해 조직적 차원의 원인규명보다는 개인의 과오로 규정하고 그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함에 따라 적극적인 사건보고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1,6,9]. 이는 사건보고의 중요성과 가치를 훼손하고 안전한 의료 환경의 조성을 방해하게 된다.
안전 분위기란 무엇인가? 안전 분위기는 업무환경에서 안전과 관련한 정책, 절차, 실무에 대한 개인적인 인지정도를 말하며[10] 조직과 그 구성원 간 안전관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상호 공유 가능할 때 안전을 위한 노력도 강화될 수 있다[11,12].특히 간호업무는 다양한 직종과 협조하여 업무진행이 이루어질 때가 많아 업무상 발생한 오류나 실수에 대한 후속조치가 다학제적 팀의 융합대응이 요구될 때가 많다.
의료기술발전과 의료서비스 지원확대 정책의 단점은? 의료현장에서의 환자안전은 최우선 관리사항으로 의료기관평가에서도 핵심 영역으로 다루어지고 있다[1]. 의료기술발전과 의료서비스 지원확대 정책은 국민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한 반면에 의료현장의 대형화, 전문화, 의료정보의 과잉은 적정 의료서비스의 선택과 활용에 어려움을 유발하기도 한다. 급변하는 의료기술과 제도도입은 의료기관과 서비스제공자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복합, 만성질환의 증가는 의료서비스 수요자의 요구를 다양화하고 기대치를 높임에 따라 의료현장의 공급수요 불일치가의료서비스제공의 유형이나 단계, 비용 적정성 등 여러 측면에서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 J. Kim & E. G. Oh. (2009). Nurses' konwledge and attitude about incidence reporting according to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4), 581-592. 

  2. J. W. Choi, K. M. Lee & M. A.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7(1), 64-72. 

  3. M. R. Kim. (2011). Ca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1-8. DOI:10.4040/jkan.2011.41.1.1. 

  4. M. Y. Park & E. A. Kim. (2018).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performance in hospital managerial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1), 40-50. DOI: 10.11111/jkana.2018.24.1.40. 

  5. H. S. Kim. (2011). Related factors of physicianns' and nurses' attitudes toward and intentions behind incident reporting,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T. K. Lee, E. Y. Kim, & N. H. Kim. (2014).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 35-47. DOI:10.11111/jkana.2014.20.1.35. 

  7. K. K. Kim, M. S. Song, K. S. Lee, & H. K. Hur. (2006). Study of factors affecting nurses's experience of non-reporting inc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3), 454-463. 

  8. B. J. Na. (2010). Nurses' perception of safety climate and barriers to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 reporting in a university hospital,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9. S. J. Lee & J. S. Kim. (2017). Convergence study on relationship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impact and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85-96. DOI:10.15207/JKCS.2017.8.6.085. 

  10. A. Neal, & M. A. Griffin. (2006). A study of the lagged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4), 946-953. DOI: 10.1037/0021-9010.91.4.946. 

  11. K. J. Kim. (2016). Nurses' safety control according to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ived team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2), 199-208. DOI:10.11111/jkana.2016.22.2.199. 

  12. M. H. Lim. (2017).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in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75-84. DOI:10.15207/JKCS.2017.8.6.075 

  13. K. O. Park, J. K. Kim & M. S. Kim. (2015).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s of securing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5), 761-772. DOI:10.4040/jkan.2015.45.5.761. 

  14. E. K. Kim, M. A. Kang, & H. J. Kim. (2007).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321-334. 

  15. M. A. Kang, J. E. Kim, K. E. An, Y. Kim, & S. W. Kim. (2005). Physician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culture and medical error report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5(4), 110-135. 

  16. H. S. Jeong, J. H. Kong, & M. Y. Jeon. (2017).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121-130. DOI:10.15207/JKCS.2017.8.6.121. 

  17. N. J. Lee & J. H. Kim. (201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62-473. 

  18. M. Y. Han, & M. S. Jung. (2017). Effects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2), 127-138. DOI:10.11111/jkana.2017.23.2.127. 

  19. H. Y. Kim & H. S. Kim. (2011).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13-422. 

  20. H. W. Cho & J. H. Yang. (201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health personn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9(1), 35-45. 

  21. H. M. Jang, J. Y. Park, Y. J. Choi, S. W. Park & H. N. Lim. (2016).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burnout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3), 239-250. DOI: 10.11111/jkana.2016.22.3.239. 

  22. J. H. Yoo & K. A. Kang. (2014). Survey of oncology nurse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Asian Oncology Nursing, 14(2), 119-126. 

  23. B. K. Cha & J. Choi. (2015).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4), 405-416. DOI:10.11111/jkana.2015.21.4.405. 

  24. M. K. Park, & H. Y. Kim. (2014). Effects of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 176-186. DOI:10.11111/jkana.2014.20.2.176. 

  25. S. H. Yoon, S. Y. Kim & X, Wu. (2014). Perception of worker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247-256. DOI: 10.11111/jkana.2014.20.3.247. 

  26. S. H. Yoon, B. S. Kim, & S. Y. Kim.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3), 379-388. DOI: 10.4040/jkan.2013.43.3.379. 

  27. U. E. Choi & H. K. Kim. (2016). The impact of safety climate and fatigue on safety performance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5), 471-479. DOI:10.11111/jkana.2016.22.5.471 

  28. M. S. Kim. (2012).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perception for system use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medication error preven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568-578. DOI:10.4040/jkan.2012.42.4.568. 

  29. M. S. Kim. (2010).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strategy on nurse's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172-181, DOI:10.4040/jkan.2010.40.2.172. 

  30. E. Y. Lim, et al. (2014). Impact of 12-hour shifts on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hospital incident reporting, and overtime hour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4), 353-361. DOI:10.11111/jkana.2014.20.4.353. 

  31. H, Kang, K. Yeon, & S. T. Han. (2015). A review on the use of effects size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5), 641-649. DOI:10.4040/jkan.2015.45.5.641. 

  32. M. A. Blegen, G. A. Pepper, & R. Joseph. (2005). Safety climate on hospital units: a new measure, Advances in patient safety, Research to Implementation, 4, 429-443. 

  33. K. K. Kim et al. (2012).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prevention of malpractice using precedent case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safety perception, safety control,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1), 67-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