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병원간호사의 업무강도와 신체적 불편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 Intensity and Physical Discomfort on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4, 2016년, pp.362 - 372  

김효진 (을지대학교병원) ,  박순주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was dependent on work intensity and whether physical discomfor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with a sample of 253 clinical nurses from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형 검증 결과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절대적 업무강도, 상대적 업무강도, 신체적 불편감으로 나타났으며, 직접효과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따라서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절대적 업무강도와 상대적 업무강도, 신체적 불편감 순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업무강도, 신체적 불편감 및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공분산 구조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동안 단편적으로 제시되었던 업무강도를 절대적 업무강도, 상대적 업무강도, 유연화의 관점으로 세분화하여 신체적 불편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업무강도 가운데 상대적 업무강도가 직무만족에 부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절대적 업무강도 및 상대적 업무강도와 직무만족 사이에 신체적 불편감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업무강도, 신체적 불편감, 직무만족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이에 대한 검증을 통해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들이 인식하는 업무강도를 절대적 업무강도, 상대적 업무강도, 유연화로 세분하고 이들 업무강도가 신체적 불편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강도의 세 가지 유형 가운데 상대적 업무강도만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불편감은 절대적 업무강도와 상대적 업무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반면 유연화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밝혔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절대적 업무강도, 상대적 업무강도, 유연화와 같은 업무강도와 신체적 불편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변수들의 관계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절대적 업무강도, 상대적 업무강도, 신체적 불편감으로 나타났으며, 직접효과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 그리고 연구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간호사들에게 설명문을 배포하고 연구목적과 내용, 익명성 보장, 연구참여자의 권리, 설문과정 중 원할 경우 중단할 수 있음과 설문 거부에 따른 불이익이 없음, 자료의 무기명처리 및 비밀보장, 연구목적이외로는 사용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대상자에게 서면동의를 받은 후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8월 6일부터 8월 27일까지 진행하였으며, D시와 K시에 소재하는 종합병원 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6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업무강도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업무강도는 업무의 양이나 응축 정도를 나타내 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절대적 업무강도, 상대적 업무강도, 유 연화로 나눌 수 있다. 절대적 업무강도는 업무의 양적 측면을 다루며, 업무 시간의 길이를 연장시킬 경우 절대적 업무강도가 높아진다.
간호사의 직무만족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간호사의 직무만족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선행연구 들에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연령, 교육 등과 같은 인적 특성부터 업무량, 직무 의미, 직무 참여, 업무 스트레 스, 소진, 신체적 불편감, 자기효능감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 이 언급되고 있으며[1-4], 이 가운데 업무량은 직무만족의 중요 한 결정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4]. 실제로 업무량은 간호사 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병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근무환경을 조사한 연구[5,6]를 보면 간호사들의 절반 이상이 매일 두 시간 이상의 초과 근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유지, 관리,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근로자의 직무만족은 근로자 본인은 물론 근로자가 제공하 는 서비스의 수요자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환 자를 가까이서 도와야 하는 간호사의 경우 직무에 대한 만족도 가 낮으면 효과적인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게 되고 이는 환자 간 호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1]. 더욱이 간호 분야는 타 직 종과 달리 근로자의 서비스 결과가 환자의 생명에까지 영향을미칠 수 있어 직무만족의 영향력이 다른 분야보다 크고 더 중요 하다. 이 때문에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유지, 관 리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 JW, Yom YH.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Taehan Kanho Hakhoe Chi. 2003;33(2):265-274. 

  2. Yom YH. Analysi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14-122.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114 

  3. Bong YS, So HS, You H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25-433. 

  4. Yom YH, Kwon SB, Lee YY, Kwon EK, Ko JW.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Focused on work re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3):329-337.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329 

  5. Lee JY, Nam HR.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rganizational culture and demands at work on emotional labor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2):119-128.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2.119 

  6. Ko YK, Park BH. The relationship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outcome among it's nurses and content analysis of nurses' workload.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4;19(1):54-67. 

  7. Lee SY, Oh EJ, Sung KM.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2):168-176.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168 

  8. Lee YS, Park JH. Measurement of the Nursing Staff Needed for Two Specialized Nursing unit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2;22(4):589-603. 

  9. Kim EH, Park JH.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of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nursing intens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1):5-16. 

  10. Kim IA.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labor intensity, job stress and psychosocial well-being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p. 1-143. 

  11. Shin WS, Kim HK. The impact of fatigue on the hotel cuisine, labor intensity and perceived job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012;26(6):221-239. 

  12. Song YH, GongYoo JO, Kim I, Choi W.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job stress and intensity of labor among security firm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8;20(4);283-294. 

  13. Kim I, Koh SB, Kim JS, Kang DM, Son M, Kim 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 intensity of labor among shipbuilding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4;16(4):401-412. 

  14.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Sochalski J, Silber JH.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AMA. 2002;288(16):1987-1993. http://dx.doi.org/10.1001/jama.288.16.1987. 

  15. Ryu T, Yun MH, Lim JH. Relationship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and perceived workload among hospital work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2;31(5):687-694. http://dx.doi.org/10.5143/JESK.2012.31.5.687 

  16. Kim YH, Kim YS, Ahn YH. Low Back Pai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2007;14(1):5-12. 

  17. Park JY, Kwon IS, Cho YC.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lated Factor 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5):2163-2171. http://dx.doi.org/10.5762/KAIS.2011.12.5.2163 

  18. Demerouti E, Bakker AB, Nachreiner F, Schaufeli WB.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1;86(3):499-512. http://dx.doi.org/10.10371/0021.9010.86.3.499 

  19. Lee YS, Tae YS. The lived experience of the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oncology ward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100-109. http://dx.doi.org/10.5388/aon.2012.12.1.100 

  20. Chen J, DAVIS LS, Davis KG, Pan W, Daraiseh NM. Physiological and behavioural response patterns at work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1):57-68.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210.x 

  21. Lu JL. Organizational role stress indices affecting burnout among nurses. Journal of International Women's studies. 2008;9(3):63-78. http://vc.bridgew.edu/jiws/vol9/iss3/5 

  22. Oh MO, Sung MH, Kim YW. Job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2):215-227. 

  23. Lee AK, Yeo JY, Jung S, Byun SS.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2013;13(12):299-308.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2.299 

  24. Schermelleh-Engel K, Moosbrugger H. Evaluation the fi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Tests and significance and descriptive goodness-of-fit measures. Method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line. 2003;8(2):22-74. 

  25. Kang DM, Shin YC, Son MA. The relationship between enhancing labor intensity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Daewoo Shipbuilding Co., Ltd. Geoje. Daewoo Shipbuilding Labor Union. 2002. 

  26. Borg G. Perceived exertion as an indicator of somatic stress.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70;2(2):92-98. 

  27. Slavitt DB, Stamps PL, Piedmont EB, B-Hasse AM.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1978;27(2):114-120. 

  28. Park KO. A study of variables related to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4;24(4):584-596. 

  29. Kim KJ.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nurses: Challenges and research directio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1):247-258. 

  30. Josten EJ, Thierry H. The effects of extended workdays on fatigue, heal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4(6):643-652. http://dx.doi.org/10.1046/j.0309-2402.2003.02854.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