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업무 부담에 따른 정서적 소진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Burnout on Hospital Nursing Workloa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93 - 102  

김유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철웅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  임효빈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상이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강정희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과 정서적 소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에서 실시한 교육에 참여하고 설문에 응답한 간호사 중 65개병원의 3,083명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간호사의 71.6%가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였으며 정서적 소진의 평균점수는 33.54점이었다. 둘째, 비간호 업무 경험은 정서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분한 간호인력'변수는 정서적 소진을 높였다. 넷째, '간호등급'은 간호사당 4병상 이상에 비해 3.5-3.9 병상만이 정서적 소진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다섯째, 내과병동에서 근무하는 경우(OR=2.05)와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 업무 부담을 나타내는 '비간호 업무 경험', '충분한 간호인력', '간호등급'의 3가지 변수 모두 정서적 소진을 간호사 수준과 병원 수준에서 설명력 있는 유의한 변수였다. 또한 '근무부서', '임상경력'도 정서적 소진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나타났다. 즉, 비간호 업무 경험이 많을수록, 간호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간호사당 침상수가 많을수록, 내과부서에 근무하는 경우,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nurse's emotional exhaustion and influencing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urnout and hospital nursing workload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ubjects were 3,083 nurses of 65 hospital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nducted b...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단일수준의 모형에서 분석하거나 합산하여 변수를 변환하여 분석하게 되면 생태학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수준 분석을 통해 병원수준 변수와 간호사수준 변수를 하나의 모형에 포함시켜 분석하여 전국 65개 병원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의 정도와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과 정서적 소진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간호사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병원이라는 확장된 카테고리에서 분석함으로서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이 간호사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병원수준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관심은 병원수준에서의 정서적 소진의 관련성을 간호사의 업무 부담 병원수준과 간호사수준의 업무 부담과의 정서적 소진의 관련성에 있다. 간호사가 병원에 속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수준, 즉 내포구조를 가진 자료로 독립적이지 않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65개 병원 간호사 3,083명을 대상으로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정도를 측정하고 간호사 업무 부담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호사수준의 특성과 병원수준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간호사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병원이라는 확장된 카테고리에서 분석함으로서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이 간호사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병원수준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관심은 병원수준에서의 정서적 소진의 관련성을 간호사의 업무 부담 병원수준과 간호사수준의 업무 부담과의 정서적 소진의 관련성에 있다.

가설 설정

  • 다수준분석모형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절편의 변량이 0이라는 귀무가설(H0: τ00=0)을 평가하였는데, 3개의 모형에서 모두 기각되었다.
  • 둘째, 연구대상 병원의 소유 형태가 현 상황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현 공공의료의 비중은 병상수 기준으로 약 10%를 차지하는 반면, 본 연구 자료의 공공 비중은 4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Burnout)은 무엇인가? 소진(Burnout)이라는 개념은 Freudenberger에 의해 도입된 이후[11],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연구자 Maslach에 의하면 소진은 인간의 가치, 존엄성, 의지가 침식된 상태를 말하며 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그리고 성취도가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12]. 또한 개인과 업무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설명되고 있고[13], 보건의료 서비스 환경에서 일하는 의사나 간호사 같이 전문 직업인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8].
정서적 소진의 정도와 영향요인 분석 시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 간호 업무 부담을 나타내는 ‘비간호 업무 경험’, ‘충분한 간호인력’, ‘간호등급’의 3가지 변수 모두 정서적 소진을 간호사수준과 병원수준에서 설명력 있는 유의한 변수였다. 또한 ‘근무부서’, ‘임상경력’도 정서적 소진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나타났다. 즉, 비간호 업무 경험이 많을수록, 간호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간호사당 침상수가 많을수록, 내과부서에 근무 하는 경우,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불충분한 간호 인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61)를 나타내었다. 또한 불충분한 간호 인력은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과 간호사 개인의 수행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로써 환자의 치료결과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 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Hospital Staffing, Organization, and Quality of Care: Cross-National Findings", Int J Qual Health Care, 50(5), pp.187-194, 2002. 

  2.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Sochalski J, Silber JH,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 Am Med Assoc, 288(16), pp.1987-1993, 2002. DOI: http://dx.doi.org/10.1001/jama.288.16.1987 

  3. Natasha Khamisa, Karl Peltzer, Dragan Ilic, Brian Oldenburg, "Effect of personal and work stress on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general health of hospital nurses in South Africa", Health SA Gesondheid, 22, a1011, 2017 DOI: http://dx.doi.org/10.4102/hsag.v22i0.1011 

  4. Julie Jean Lanz, Valentina Bruk-Lee, "Resilience as a moderator of the indirect effects of conflict and workload on job outcomes among nurses", J Advanced Nursing, 73(12), pp.2973-2986, 2017. DOI: http://dx.doi.org/10.1111/jan.13383 

  5. Moore S, Kuhrik M, Kuhrik N, Katz B, "Coping with downsizing: stress, self-esteem, and social intimacy" Nurs Manag, 27, pp.28-30, 1996. 

  6. Schaefer JA, Moos RH, "Relationship, task and system stressors in the health care workplace", J Community Appl Socl Psychol, 3, pp.285-298, 1993. DOI: http://dx.doi.org/10.1002/casp.2450030406 

  7. Armstrong M, Cameron SJ, Horsburgh M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Can J Nurs Leadersh, 9, pp.8-32, 1996. 

  8. Aust B, Rugulies R, Skakon J, Scherzer T, Jensen C,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of hospital workers: Validation of a comprehensive assessment scale", Int J Nurs Stud, 44, pp.814-825, 2007.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01.008 

  9. Ko Yu Kyung, Park bo hyun, "The Relationship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Outcome among it's Nurses and Content Analysis of Nurses' Workload",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9(1), pp. 54-67, 2014. 

  10. Kim, Kyung Sook, Han, Yung Hee, "A Study on Intention to Quit and Job Overload, Role Ambiguity, Burn ou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Korean J Occup Health Nurs 22(2), pp.121-129, 2013.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2.121 

  11. Freudenberger HJ, "Staff burn-out", J Soc Issues, 30(1), pp.159-165, 1974. DOI: http://dx.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12. Maslach C, Schaufeli WB, Leiter MP. Job bournout. Annu Rev Psychol, 52, pp.397-422, 2001. 

  13. Kim youngock, "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Staff Nurse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14($), pp.591-601, 2002 

  14. Descamp KD, Thomas CC, "Buffering Nursing Stress Through Play at Work", West J Nurs Res, 5(5), pp.619-627, 1993. 

  15. A. Nantsupawat, W. Kunaviktikul, R. Nantsupawat, "Effects of nurse work environment on job dissatisfaction, burnout, intention to leav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42(1), pp.91-98. DOI: http://dx.doi.org/10.1111/inr.12342 

  16. Schaufeli WB, Buunk BP, "Progessional burnout", Handbook of Work and Healthy Psychology, 1996. 

  17. Yoon, Geum-Suk, Kim, Souk Young,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6(4), pp,507-516, 2010. 

  18.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 Occup Behav, 2, pp.99-113, 1981. DOI: http://dx.doi.org/10.1002/job.4030020205 

  19. Firth H, McIntee J, McKeown P, Britton P, "Maslach burnout inventory: Factor structure and norms for British nursing staff", Psychol Rep, 57(1), pp.147-150, 1985. DOI: http://dx.doi.org/10.2466/pr0.1985.57.1.147 

  20. Poghosyan L, Aiken LH, Sloane DM, "Factor structure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n analysis of data from large scale cross-sectional surveys of nurses from eight countries", Int J Nurs Stud, 46, pp.894-902, 2009.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3.004 

  21. Duffield, C., Diers, D., O'Brien-Pallas, L., Aisbett, C., Roche, M., King, M., Aisbett, K, "Nursing staffing, nursing workload,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Appl Nurs Res, 24(4), pp.244-255,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pnr.2009.12.004 

  22. Masako Kanai-Pak, Linda H Aiken, Douglas M Sloane and Lusine Poghosyan, "Poor work environments and nurse inexperience are associated with burnout, job dissatisfaction and quality deficits in Japanese hospitals", J Clin Nurs, 17, pp.3324-3329,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639.x 

  23. Al-Kandari, Fatimah, Thomas, Deeps, "Perceived adverse patient outcomes correlated to nurses' workload in medical and surgical wards of selected hospitals in Kuwait", J Clin Nurs, 18, pp.581-590, 2008. 

  24. Cho SH, June KJ, Kim YM, Cho YA, Yoo CS et al, "Nurse staffing, quality of nursing care and nurse job outcomes in intensive care units", J Clin nurs, 18, pp.1729-1737,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721.x 

  25. Kim CW, Lee SY, Kang JH, Park BH, Park SC et al, "Application of revised nursing work index to hospital nurses of South Korea", Asian Nurs Res, 7(3), pp.128-135, 2013. DOI: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3 

  26. Lake ET, "Multilevel models in health outcomes research: Part II: Statistical and analytic issues", Appl Nurs Res, 19(2), pp.113-115, 2006. DOI: http://dx.doi.org/10.1016/j.apnr.2006.01.001 

  27. Nurses' reports on hospital care in five countries. Health Aff, 20(3), pp.43-53, 2001. 

  28. Choi HJ, Jeong NU,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Korean J Health Psychol, 8(2), pp.279-300, 2003. 

  29. Park Eun-joo,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Burnout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Leave among Hospital Empolyee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30, 2017. 

  30. Lynn, "Licensed Nurse Staffing and Adverse Events in Hospitals", Med Care, 41(1), pp.142-152, 2003. 

  31. Louisa Sheward, Jennifer Hunt, "The relationship between UK hospital nurse staff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dissatisfaction", J Nurs Manag, 13, pp.51-60, 2005. 

  32. LU Minmin, RUAN H, "Nurse burnout in China: a questionnarie survery on staffing,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care", J Nurs Manag, 23, pp.440-447, 2015. 

  33. Wolf GA, "Nursing turnover: Some cases of solution.", Nurs Outlook, 14, pp.233-246, 1981. 

  34. Esther M. et al, "Role stress in nurses: review of related factors and strategies for moving forward", Nursing and Health Sciences, 7, pp.57-65, 2005. 

  35. Lee, Se Young,, Oh, Eun Jin1, Sung, Kyung Mi,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 East-West Nurs. Res, 19(2), pp.168-176, 2013. DOI: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168 

  36. Heather K, Michael P, "The Impa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s on Patient Safety Outcomes", J Nurs Adm, 36(5), pp.259-267, 2006. 

  37. Byun DaeSik, YoungHeeYom,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 Focused on Emotional Labor", J Korean Acad Nurs Adm, 15(3), pp.444-454, 2009. 

  38. Suk Young Kim, Relationofamong Emotionallabor,Burnoutand coping typeofclinicalnurse,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pp.27, 2014. 

  39. Jenong-Sook Kang, Jiyoung Lim,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Jour. of KoCon.a, 15(11), pp.263-273, 2015.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5.15.11.263 

  40. Chae Youngran, Yu SuJeong, Lee Eun Ja, Eun Ha, "The Relation Among Moral Distress, Physical Symptoms Burnout of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3(4), pp.430-440, 2017.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7.23.4.4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