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The acupuncture = 대한침구의학회지, v.33 no.4, 2016년, pp.101 - 108
한지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진단.생기능의학과학교실) , 권민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침구의학교실) , 김정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침구의학교실) , 조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침구의학교실) , 조희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침구의학교실) , 최지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침구의학교실) , 김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침구의학교실) , 김현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진단.생기능의학과학교실) , 이상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침구의학교실) , 박영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진단.생기능의학과학교실) , 박영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진단.생기능의학과학교실)
Objectives : Among the assessment tools for evaluating facial function, the House-Brackmann scale is used as a standard tool, but it has some shortcomings. The Sunnybrook Facial Grading System can assess the after effects of facial palsy and facial movement by each part of the face. By understanding...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안면마비란 무엇인가 | 안면마비는 안면부의 편측에 발생하는 급성 안면신경마 비로 일생 동안 60명 중 1명 정도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1). 안면신경은 다른 뇌신경에 비하여 주행 길이가 길고 측두골 내에서 좁은 골관을 지나기 때문에 중이 및 측두골 수술 외상 또는 감염 등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 안면신경의 종양 또는 기타 질환에 이차적으로 안면 신경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2). | |
House-Brackmann scale이 가지는 문제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House-Brackmann scale(이하 HB scale)은 평가자가 수행하는 안면신경기능 평가법으로 1983년 처음 소개된 이후 안면신경기능을 평가하는 표준방법으로 선정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안면신경의 기능을 평가하는 표준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4). HB scale은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침구과 안면마비센터에서도 안면마비 환자의 중증도 평가를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평가도구이나, 다양한 정도의 안면마비 증상을 평가하기 어렵고5), 안면마비 grade의 차이에 따른 안면신경의 손상 정도를 구분할 수 없으며4), 안면의 부위별 기능 상태가 다르게 나타났을 때 등급 판정을 하는 데에 기준을 정확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 |
안면신경의 특징은 무엇인가 | 안면마비는 안면부의 편측에 발생하는 급성 안면신경마 비로 일생 동안 60명 중 1명 정도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1). 안면신경은 다른 뇌신경에 비하여 주행 길이가 길고 측두골 내에서 좁은 골관을 지나기 때문에 중이 및 측두골 수술 외상 또는 감염 등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 안면신경의 종양 또는 기타 질환에 이차적으로 안면 신경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2). 하지만 거의 70 %는 관련 원인은 알려지지 않고 상태로만 파악할 뿐으로 안면마비 환자의 자연적 경과와 치료결과의 원활한 평가를 위해서는 안면마비 기능장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기술할 필요가 있다 3). |
Jang JY. Neurology. Seoul : Koonja Publisher. 2007 : 709-10.
Park CW, Ahn KS, Choi SJ et al. A Clinical Study of Facial Nerve Paralysis. Korean J Otolararyngol. 1998 ; 41(4) : 430-5.
Goh EK. Grading System in Facial Nerve Paralysis-Gross System Versus Regional System. Korean J Otolararyngol. 1996 ; 39(10) : 1665-8.
Kang TS, Vrabec JT, Giddings N et al. Facial nerve grading systems(1985-2002) : beyond the House-Brackmann scale. Otol Neurotol. 2002 ; 23(5) : 767-71.
Kim MB, Kim JH, Shin SH et al. A study of facial nerve grading system.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7 ; 20(3) : 147-60.
Ross BG, Fradet G, Nedzelskic JM. Development of a sensitive clinical facial grading system.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l. 1996 ; 114(3) : 380-6.
Neely JG, Cherian NG, Dickerson CB et al. Sunnybrook facial grading system : reliability and criteria for grading. Laryngoscope. 2010 ; 120(5) : 1038-45.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 grading systems. Otolaryngol Head Neck Sug. 1985 ; 93(2) : 146-7.
Kim JU, Lee HG, Jung DJ et al.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Assessment Scale for Facial Palsy. The Acupunct. 2013 ; 30(5) : 107-16.
Suk KH, Ryu HK, Goo BH et al. A Review Study and Proposal of Facial Palsy Sequelae Evaluating Scale. The Acupunct. 2014 ; 31(4) : 99-108.
Finsterer J. Management of peripheral facial nerve pals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8 ; 265(7) : 743-52.
Mitre EI, Lazarini PR, Dolci JE. Objective method for facial motricity grading in healthy individuals and in patients with unilateral peripheral facial palsy. Am J Otolaryngol. 2008 ; 29(1) : 51-7.
Daniel D, Nicolas EW, Leslie DP. Electrophysiologic evaluation of the facial nerve in Bell's palsy. A review. Am J Phys Med Rehabil. 1988 ; 14(1) : 137-44.
Sung BG, Park MC, Lim KS. Clinical study on the improement degree of Bell's palsy with DITI.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2000 ; 13(2) : 190-9.
Ryu SH, Lee SY, Kim HK et al.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n Objective Method for Evaluating Facial Palsy Sequelae Using Facial Scanning System. The Acupunct. 2016 ; 33(3) : 89-99.
Kim JI, Koh HK, Kim CH. A study of facial nerve grading system. The Acupunct. 2001 ; 18(2) : 1-1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