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여군 고란초의 생육지 환경조건과 분포
Distribution and Habitat Condition of Crypsinus hastatus in Buyeogun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4 no.1, 2016년, pp.27 - 30  

송홍선 (공주대학교 자원과학연구소) ,  김성민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This tex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shape characteristics and habitat condition of Crypsinus hastatus in Buyeo Korea. Methods and Results : In Buyeo, Crypsinus hastatus was distributed at an altitude of 31.2 m, a slope of 82.5% and a distance from river water of 27.2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여군 고란초 자생지의 분포특성과 더불어 토양성분 등 생육조건의 분석을 통하여 약용 등의 자원가치가 있는 고란초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란초의 세계적 자생지는 어느곳인가? ) Copel.]는 고란초과 (Polypodiaceae)에 속하는 상록성의 다년초이며, 세계적 자생지는 한반도를 비롯한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등이다 (Li et al., 1975; Lee, 1996).
고란초는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 고란초는 생약명이 아장금성초(鵝掌金星草)이며, 잎에 coumarin 성분이 들어 있고, 전초를 가을에 채취하여 경풍, 이뇨, 해독, 종기, 종창, 청열, 간염 등에 이용하고 있다 (Bae, 2000; Ahn, 2003). 민간에서는 예로부터 임질 등에 널리 사용 하였다.
고란초 자생지의 습도가 매우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고란초가 공통적으로 강물과 인접한 곳에서 관찰된 점은 습도가 생육조건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Lee 등 (1997)은 고란초 자생지의 습도가 매우 높다고 하였다. 습도가 높은 곳에 자라는 이유는 자생지 바위의 토양층이 아주 얇아 보수력이 약한 생육조건을 보충하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DK. (2003).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Seoul, Korea. p.111. 

  2. Allen SE, Grimshaw HM and Rowland AP. (1986). Chemical-methods in plant ecology(2n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sher. Oxford, England. p.285-344. 

  3.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Korea. p.26. 

  4. Jang HW, Song JS, Lee JS and Lee CH. (2000). Masspropagation of Korean native polypodiaceae species by tissue cultu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8:248-248. 

  5. Kang HK, Kim SM, Han JH and Song HS. (2015). Vegetation and habitat conditions of Peucedanum japonicum in uninhabited islands of Incheo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3:214-222. 

  6. Kim CH and Jeong JG. (2008). A herbo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polypodiaceae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3:45-51. 

  7. Kim SM, Shin DI, Yoon ST and Song HS. (2007). Distribution and habitat chracteristics of Lonicera japonica Thunb. in inland and seashore areas of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362-366. 

  8. Lee MH, Chae SC, Park BK and Park HY. (1997). Studies on the distribution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rypsinus hastatus Copel. in the western sea area of Chungnam, Korea. Journal of Resource Science. 5:189-200. 

  9.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Korea. p.122. 

  10.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s. Seoul, Korea. p.30. 

  11. Li HI, Liu TS, Huang TC, Koyama T and Devol CE. (1975). Flora of Taiwan. Epoch Publishing. Taipei, Taiwan. p.1-174. 

  12. Lim JA, Kim CH, Kwak MJ and Sun BY. (2006). Spore morphology of Korean Polypodi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6:1-19. 

  13.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USA. p.104. 

  14. Schollenberger CJ. (1927). A rapid approximate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Soil Science. 24:65-68. 

  15. Song CY, Shin DG, Woo IS, Rho TH and Lee YB. (1991). Sporeling leaf formation of Crypsinus hastatus by spore culture in vitro.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18:179-183. 

  16. Song HS and Oh HK. (2010). Flora of Korea Moaksan. Pulggotnamu. Seoul, Korea. p.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