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산화방지 및 미백 효과
Effect of Various Pear Cultivar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on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1, 2016년, pp.59 - 65  

임순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조광식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최진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이주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김명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이별하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배의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세포 독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 소재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국내 육성한 4가지 신품종과 신고 품종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나 과일이 성숙할수록 낮아졌으며, 품종간에는 생육시기와 관계없이 추황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보다 적은 함량으로 5품종 모두 생육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알부틴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이 과일이 성숙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한 항산화 활성도 감소의 폭은 달랐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높은 항산화 활성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만개 후 90일까지는 감천배를 제외한 4품종에서 50% 내외의 높은 억제 활성을 보여, 이 시기까지의 배 과일 추출물은 우수한 미백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극히 낮아 피부 안정성이 높은 기능성 천연 원료 및 미백 향장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otal polyphenols, antioxidant activities, and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of several pear cultivars (Pyruspyrifolia). The total polypenolic content of five pear cultivars was high in the unripe developmental stage. Total polyphenolic content of the Ch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배의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세포 독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 소재로써의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국내 육성한 4가지 신품종과 신고 품종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나 과일이 성숙할수록 낮아졌으며, 품종간에는 생육 시기와 관계없이 추황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천연물 소재로써 배의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세포 독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 소재로써의 가치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이드로퀴논의 부작용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페놀화합물 중 가장 탁월한 미백효과를 보이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멜라닌형성(melanogenesis) 에서 티로시네이스(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합성 초기단계에서 티로신(tyrosine)의 산화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색소 형성 및 침착을 개선한다. 그러나 정상 피부의 섬유모세포에 대해 독성을 보이며(4), 장기 사용 시 조직 갈변증이 나타나는 등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어 미백 제품의 원료로써 사용이 금지되고 일부 처방에 의한 의약품으로만 사용되고 있다(5). 근래에는 화장품의 개발 차원에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적으면서 강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항산화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백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높일 수 있는 천연물소재를 발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7).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페놀화합물 중 가장 미백효과가 좋은 물질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페놀화합물 중 가장 탁월한 미백효과를 보이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멜라닌형성(melanogenesis) 에서 티로시네이스(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합성 초기단계에서 티로신(tyrosine)의 산화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색소 형성 및 침착을 개선한다. 그러나 정상 피부의 섬유모세포에 대해 독성을 보이며(4), 장기 사용 시 조직 갈변증이 나타나는 등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어 미백 제품의 원료로써 사용이 금지되고 일부 처방에 의한 의약품으로만 사용되고 있다(5).
피부에서 멜라닌(melanin) 생성의 목적은? 피부는 자외선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조직으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 광노화가 진행되면 세포 손상을 억제할 목적으로 멜라닌(melanin) 생성이 증가된다.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 하는 페놀류에 속하는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 복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EC, Ahn SY, Hong ES, Li GH, Kim EK, Row KH. Extraction of whitening agents from natural plants and whitening effect. Appl.Chem. Eng. 16: 348-353 (2005) 

  2. Svobodova A, Psotova J, Walterova D. Natural phenolics in the prevention of UV-induced skin damage. Biomed. Pap. 147: 137-145 (2003) 

  3. Eberlein-Konig B, Placzek M, Przybilla B. Protective effect against sunburn of combined systemic ascorbic acid (vitamin C) and d- ${\alpha}$ -tocopherol (vitamin E). J. Am. Acad. Dermatol. 38: 45-48 (1998) 

  4. Takebayashi J, Ishii R, Chen J, Matsumoto T, Ishimi Y, Tai A. Re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arbutin: Multifaceted evaluation using five antioxidant assay systems. Free Radical Res. 44: 473-478 (2010) 

  5. Tse TW. Hydroquinone for skin lightening: Safety profile, duration of use and when should we stop? J. Dermatol. Treat. 21: 272-275 (2010) 

  6. Zhu YZ, Huang SH, Tan BKH, Sun J, Whiteman M, Zhu YC. Antioxidants in Chinese herbal medicines: A biochemical perspective. Nat. Prod. Rep. 21: 478-489 (2004) 

  7. Bajpai VK, Yoon JI, Kang SC. Antioxidant and antidermatophytic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extracts of Magnolia liliflora Desr. Food Chem. Toxicol. 47: 2606-2612 (2009) 

  8. Eun JB, Eo JH, Lee BD. Functional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sian pear. Food Sci. Biotechnol. 45: 60-69 (2012) 

  9. Petit L, Pirard GE. Skin-lightening products revisited. Int. J. Cosmetic Sci. 25: 169-181 (2003) 

  10.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1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12. Doh ES., Chang JP, Kil KJ, Choi MS, Yang JK, Yun CW, Jeong SM, Jung YH, Lee GH.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llium victorialis L. extract. Korean J. Plant Res. 24: 30-39 (2011) 

  13. Kim SM, Kim DY, Park HR, Seo JH, Yeom BM, Jin YJ, Pyo YH. Screening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derived from five varieties of edible spring flow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13-18 (2014) 

  14. Zhang X, Lee FZ, Eun JB.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pectin in Asian pear fruit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 39: 7-13 (2007) 

  15. Hong JY, Nam HS, Kim NW, Shin SR.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Elaeagnus multiflora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13: 228-233 (2006) 

  16. Hong JY, Nam HS, Shin SR. Chang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17: 712-719 (2010) 

  17. Kang YJ, Yang MH, Ko WJ, Park SR, Lee BG. Studies on the major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whole fruit powder and juice prepared from premature mandarin oran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3-788 (2005) 

  18. Park YG, Kim SH, Chung HG. Antioxidant potential in the fruits of Pyrus species (pear)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335-338 (2007) 

  19. Park YO, Choi JJ, Choi JH, Kim MS, Yim SH, Lee HC.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and mature fruit in three Asian pear cultivars. Hort. Environ. Biotechnol. 30: 208-213 (2012) 

  20. Yang AY, Boo HO. Phenolic compounds, antimicrobial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cucumber grown greenhouse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th stages. Korean J. Plant Res. 26: 645-651 (2013) 

  21. Maeda K, Fukuda M. Arbutin: Mechanism of its depigmenting action in human melanocyte culture. J. Pharmacol. Exp. Ther. 276: 765-769 (1996) 

  22. Cui T, Nakamura K, Ma L, Li JZ, Kayahara H. Analyses of arbutin and chlorogenic acid, the major phenolic constituents in oriental pear. J. Agr. Food Chem. 53: 3882-3887 (2005) 

  23. Adom KK, Sorrells ME, Liu RH. Phyt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heat varieties. J. Agr. Food Chem. 51: 7825-7834 (2003) 

  24.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5-20 (2009) 

  2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 Med. 20: 933-956 (1996) 

  26. Yamakoshi J, Otsuka F, Sano A, Tokutake S, Saito M, Kikuchi M, Kubota Y.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m. Cell Res. 16: 629-638 (2003) 

  27. Hwang YS, Chun JP, Lee JC, Seo JH. Storage response of 'kamchun' and 'chuhwang' pears by harvest dates. Hort. Environ. Biotechnol. 19: 48-53 (2001) 

  28. Kim DH, Moon YS, Park TS, Hwang JY, Son JH. Potent whitening activity of Aruncus dioicus extract in B16F10 melanoma cell by suppression of melanin biosynthesis. Hort. Environ. Biotechnol. 31: 813-820 (2013) 

  29. Choi EO, Kim HS, Han MH, Choi YH, Park C, Kim BW, Hwang HJ.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fractions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J. Life Sci. 23: 1495-1500 (2013) 

  30. Iwata M, Corn T, Iwata S, Everett MA, Fuller BB.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c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 Dermatol. 95: 9-15 (1990) 

  31. Kim JS, Seo YC, Choi WY, Kim HS, kim BH, Shin DH, Yoon CS, Lim HW, Ahn JH, Lee HY.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Acer mono sap through nano encapsulation processes. Korean J. Med. Crop. Sci. 19: 191-197 (2011) 

  32. Jeon MH, Kim MH, Jang HJ, Lee SW, Kim JH, Kim HS, Lee SH. Whitening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J. Life Sci. 22: 889-89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