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앙상블을 통한 오미자의 재배적지 변화 예측
Predicting change of suitable plantation of Schisandra chinensis with ensemble of climate change scenario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1, 2016년, pp.77 - 87  

이솔애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이상혁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지승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최재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기소득임산물 중 재배기간이 비교적 긴 오미자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재배적지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RCP 4.5RCP 8.5 두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IPCC 5차보고서에 사용된 기후모델 중 5가지를 앙상블하여 2050년대와 2070년대의 오미자 분포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RCP 4.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현재 재배적지의 43%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2070년대에는 57%정도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RCP 8.5시나리오에서는 2050년대에 55%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2070년대에 현재의 86%까지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취약지역 분석결과 강원도와 경상북도 일부를 제외한 지역들이 모두 기후변화 취약지역으로 분류되어 기후변화 영향 최소화를 위해서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북부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dicting possible distributed area of Schisandra chinensis which has long term cultivation period among non-timber forest products is needed to be studied to deal with climate change. Hence, distribution of Schisandra chinensis in the 2050s and 2070s was predicted under two scenario, RCP 4.5 and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사용된 기후자료는 down-scaling 된 GCM자료로 남한의 기후를 상세하게 모사하였다고 보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러나 IPCC 5차 보고서에 사용된 다양한 기후모델들을 앙상블하여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하였으며, 모델에 따른 분포지 예측 양상을 비교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는 regional scale의 기후자료 사용으로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2010). 그러나 오미자의 재배는 경작지에서의 재배보다 임야의 자생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바, 본 연구에서는 자생지를 바탕으로 한 재배적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종 분포 모델링을 통해 산출된 출현지역을 재배적지로 구분하였다.오미자의 분포 예측에는 출현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Maxent모형을 이용하였다.
  • 이러한 생산기간이 긴 작물들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소득임산물 중 재배기간이 비교적 긴 약용수실에 속하는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를 대상으로 하여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IPCC 5차 보고서에 사용된 5가지 기후모델을 앙상블하여 오미자의 분포 가능 면적을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오미자는 RCP 4.
  • 본 연구에서는 단기소득임산물 중 약용수실에 속하는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를 대상으로 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특용작물생산현황조사(2010~2013)에 따르면 2013년 오미자의 재배면적은 경작지(52ha)에서보다 임야(2,337ha)에서 45배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자생지를 바탕으로 한 재배적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Ministry of Agriculture 2013).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오미자 자생가능기역의 변화 추정으로 기후변화 취약지역을 판별하고, 이를 향후 오미자 재배지선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물의 재배적지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작물의 재배적지를 구분하는 방법은 FAO에서 사용하는 최대저해인자법, 재배인자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합계를 이용하는 방식,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수를 합산하는 방식, 다변량통계분석을 이용하는 방식등 다양하다(Hyun et al. 2010).
약용식물의 생산기간이 다른 작물들에 비해 상당히 긴 이유는 무엇인가? 단기소득 임산물은 수실류, 버섯류, 산채류, 약초류, 약용류 등으로 나뉘며 그 중 약용식물은 수실류 다음으로 가장 많은 생산액을 차지하고 있다. 약용식물의 경우 뿌리 순, 줄기, 열매, 진액 등을 약재로 사용하거나 식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기간이 다
오미자는 어떤 환경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가? 주로 고온에 의한 피해가 적은 중부이북의 고랭지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rean Forest Service 2012; Korean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3b). 또한 고온의 피해가 적은 고도 500~700m 의 준산간지 서북향이나 북향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Korean Forest Service 2008; Lim et al. 2010; Korean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3b), 경사도는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yun YH, Park JK, Jung HS. 2002. A comparison of ensemble method between models in prediction of season. J Meteorological Society. 12(1): 1-3. [Korean Literature] 

  2. Cantor SB, Sun CC, Tortolero-Luna G, Richard- Kortum R, Follen M. 1999. A comparison of C/B ratios from studies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J Clinical Epidemiology. 52: 885-892. 

  3. Dormann CF. 2007. Effects of incorporat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to the analysis of species distribution data.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6(2): 129-138. 

  4. Elith J, Graham CH, Anderson RP, Dudik M, Ferrier S, Guisan A, Hijmans RJ, Huettmann F, Leathwick JR, Lehmann A, Li J, Lohmann LG, Loiselle BA, Manion G, Moritz C, Nakamura M, Nakazawa Y, Overton J McC, Peterson AT, Phillips SJ, Richardson KS, Scachetti-Pereira R, Schapire RE, Soberon J, Williams S, Wisz MS, Zimmermann NE.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 129-151. 

  5. Gibson L, Barrett B, Burbidge A. 2007. Dealing with uncertain absences in habitat modelling: a case study of a rare grounddwelling parrot.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3(6): 704-713. 

  6. Hyun BK, Jung SJ, Sonn YK, Park CW, Zhang YS, Song KC, Kim LH, Choi EY, Hong SY, Kwon SI, Jang BC. 2010. J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5): 696-704. [Korean Literature] 

  7.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Geneva, Switzerland. 

  8. Kim HJ, Hong JK, Kim SC, Oh SH, Kim JH. 2011.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 - 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 J plant resources. 24(5): 549-556. [Korean Literature] 

  9. Kim YD. 2010. New trend of research in reduction of uncertainty in effe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J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9): 32-36. [Korean Literature]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Catchable Forecasting Technology. [Korean Literature] 

  11. Korean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3a. Manual of Standard Income Process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Korean Literature] 

  12. Korean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3b. Easy Omija. [Korean Literature] 

  13. Korean Forest Service. 2008. Specialized Items Technical Dissemination Book(6). Special Tree Cultivation. [Korean Literature] 

  14. Korean Forest service. 2012. Standard Forest Products Cultivation Manual for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Korean Literature] 

  15. Lee SC, Choi SH, Lee WK, Byun JG. 2011. The Effect of Climate Data Applying Temperature Lapse Rate on Prediction of Potential Forest Distribution. J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2): 19-27. [Korean Literature] 

  16. Lee SH, Jung HC, Choi JY. 2012. Projecting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Endemic Plants (Megaleranthis saniculifolia) in Korea. J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3): 75-84. [Korean Literature] 

  17. Lee SJ, Ahn YH. 2011. Influences of Global Warming and Succession Possibility through Vertical Distribution of Communities in Ecotone. Wolchulsan National Park. J environmental sciences. 20(12): 1561-1584. [Korean Literature] 

  18. Lim SJ, Lee KS, Jung HR, Kim YG, Song MS, Cho JY. 2010. Soi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Located in Jangsu-gun, Jeollabuk-do. J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6): 771-775. [Korean Literature] 

  19. Manel S, Dias JM, Ormerod SJ. 1999. Comparing discriminant analysis, neural networks and logistic regression for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a case study with a Himalayan river bird. Ecological Modelling. 120: 337-347. 

  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Current State of Production of Special Crops. [Korean Literature]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National Longterm Research Project of Ecology. [Korean Literature] 

  22. Relevant ministries. 2010.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2011-2015). [Korean Literature] 

  23. Seo CW, Park YR, Choi YS.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J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4): 59-64. [Korean Literature] 

  24. Statistic Korea. National statistic portal (http://kosis.kr) 

  25. Syfert MM, Smith MJ, Coomes DA. 2013. The Effects of Sampling Bias and Model Complexity on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MaxEnt Species Distribution Models. PLoS ONE. 8(2): e55158. 

  26. Watling JI, Romaach SS, Bucklin DN, Speroterra C, Brandt LA, Pearlstine LG, Mazzotti FJ. 2012. Do bioclimate variables improve performance of climate envelope models?. Ecological Modelling. 246(10): 79-85. 

  27. Yun JH, Kim JH, Oh KH, Lee BY. 2011. Distributional Change and Climate Condi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J Environ and ecology. 25(1): 47-56.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