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흡연 흰쥐모델에서 양파껍질 추출물의 혈액지질 대사 개선 효과
Hypolipidemic Effect of Onion Peel Extract in Rats Exposed to Cigarette Smoke Extract with a High-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2, 2016년, pp.161 - 166  

김주연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상규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파껍질 추출물이 흡연동물모델에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의 혈액지질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흡연모델을 유도하기 위하여 담배연기(CS) 추출액을 공급하였으며, 일반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T), 일반식이와 담배연기 추출액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흡연군(CT+CS), 고지방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고지방식이군(HF), 고지방식이와 담배연기 추출액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고지방흡연군(HF+CS), 고지방식이와 담배연기 추출액과 더불어 양파껍질(OP) 추출물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고지방흡연양파군(HF+CS+OP)으로 6마리씩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시작 전, 3주, 6주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6주 동안 양파껍질 추출물의 공급으로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non-HDL-콜레스테롤 농도는 HF군과 HF+CS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HF+CS보다 HF+CS+OP에서 혈액의 AST, ALT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양파껍질 추출물의 공급이 담배연기 추출액과 고지방식이로 증가한 혈중지질 수준과 간 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을 바탕으로 양파껍질의 섭취는 흡연자들의 간 기능 손상과 고지혈증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onion peel extract can lower blood lipid levels in rats exposed to cigarette smoke (CS) extract with a high-fat diet. Initiall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housed individually in a stainless steel, wire-bottomed cage with free access to AIN-9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quercetin을 포함하는 피토케미칼 물질의 함량은 양파의 가식부위보다는 껍질부분에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21,22), 양파껍질을 이용한 혈액지질 개선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적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와 담배연기 추출액 공급을 통한 흡연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양파껍질 추출물의 섭취가 혈액지질 함량 및 간 기능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파껍질 추출물이 흡연동물모델에서 고지 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의 혈액지질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흡연모델을 유도하기 위하여 담배 연기(CS) 추출액을 공급하였으며, 일반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T), 일반식이와 담배연기 추출액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흡연군(CT+CS), 고지방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고지방식이군(HF), 고지방식이와 담배연기 추출액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고지방흡연군(HF+CS), 고지방식이와 담배연기 추출액과 더불어 양파껍질(OP) 추출물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고지방흡연양파군(HF+CS+OP)으로 6마리씩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in a row not sharing a superscript letter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의 효능은 어떠합니까? 최근 흡연으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한 식품의 섭취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13-15). 그중 양파(Allium cepa L.)는 quercetin, rutin 같은 flavonoid류와 allyl propyl disulfide 및 diallyl disulfide와 같은 황화합류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항혈당, 항동맥 경화, 혈액지질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6-20). 이러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quercetin을 포함하는 피토케미칼 물질의 함량은 양파의 가식부위보다는 껍질부분에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21,22), 양파껍질을 이용한 혈액지질 개선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적다.
담배의 유해성은 무엇입니까? 흡연 시 약 4,000여 종 이상의 화학물질과 40종 이상의 발암성 물질이 담배필터를 통해 체내로 유입된다(1).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 타르와 흡연으로 생성되는 유리라디칼의 영향으로 세포 내 DNA가 손상되며 이로 인하여 각종 암, 고혈 압, 구강질환, 위장질환 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4). 또한 흡연은 혈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의 수치는 높이고 HDL-콜레스테롤의 수치는 낮춰 동맥경화를 촉진하고 지질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5-7). 이는 산화적 스트레스 증가로 인한 산화된 LDL 수치 증가, foam cell 증가, 모세혈관 손상, 혈전 작용 증가 등으로 인해 혈관조직 경화가 발생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8-10).
양파의 섭취가 혈중중성지방 농도를 낮춰주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또한 실험동물에 고지방식이와 함께 양파즙을 공급한 Sheo와 Jung(35)의 연구와 고콜레스테롤 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양파추출물을 8주간 공급한 Nam 등(36)의 연구에서도 양파의 섭취가 혈중중성지방 농도를 낮춰준다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양파의 생리활성은 함황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물질과 식이섬유 성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양파의 생리활성 성분 중 하나인 S-methyl cysteine sulfoxide는 지방조직의 lipoprotein lipase 활성 억제와 지방합 성효소인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malic enzyme, HMG CoA reductase의 활성을 저하해 혈중지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된다(37). 실험동물에 플라보노이드를 섭취시키면 혈중콜레스테롤 수치가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지방 소화흡수과정 중의 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억제하며(38), 지방유화 과정을 억제하여 혈중지질을 저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Rogers JM. 2008. Tobacco and pregnancy: overview of exposures and effects. Birth Defects Res C Embryo Today 84: 1-15. 

  2. Church DF, Pryor WA. 1985. Free radical chemistry of cigarette smoke and its toxicological implications. Environ Health Perspect 64: 111-126. 

  3. Loft S, Poulsen HE. 1996. Cancer risk and oxidative DNA damage in man. J Mol Med 74: 297-312. 

  4. Pittilo RM. 2000. Cigarette smoking, endothelial injury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t J Exp Pathol 81: 219-230. 

  5. McGill HC. 1988. The cardiovascular pathology of smoking. Am Heart J 115: 250-257. 

  6. Ambrose JA, Barua RS. 2004. The pathophysiology of cigarette smok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 update. J Am Coll Cardiol 43: 1731-1737. 

  7. Craig WY, Palomaki GE, Haddow JE. 1989. Cigarette smoking and serum lipid and lipoprotein concentrations: an analysis of published data. Br Med J 298: 784-788. 

  8. Nishio E, Watanabe Y. 1997. Cigarette smoke extract inhibits plasma paraoxonase activity by modification of the enzyme's free thio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36: 289-293. 

  9. Frei B, Forte TM, Ames BN, Cross CE. 1991. Gas phase oxidants of cigarette smoke induce lipid peroxidation and changes in lipoprotein properties in human blood plasma. Protective effects of ascorbic acid. Biochem J 277: 133-138. 

  10. Cross CE, van der Vliet A, Eiserich JP. 1998. Cigarette smokers and oxidant stress: a continuing mystery. Am J Clin Nutr 67: 184-185.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p 23. 

  12. Mizuno O, Okamoto K, Sawada M, Mimura M, Watanabe T, Morishita T. 2005. Obesity and smoking: relationship with waist circumference and obesity-related disorders in men undergoing a health screening. J Atheroscler Thromb 12: 199-204. 

  13. Shenouda SM, Vita JA. 2007. Effects of flavonoid-containing beverages and EGCG on endothelial function. J Am Coll Nutr 26: 366S-372S. 

  14. Duffy SJ, Keaney JF Jr, Holbrook M, Gokce N, Swerdloff PL, Frei B, Vita JA. 2001. Short- and long-term black tea consumption reverses endotheli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irculation 104: 151-156. 

  15. Nagaya N, Yamamoto H, Uematsu M, Itoh T, Nakagawa K, Miyazawa T, Kangawa K, Miyatake K. 2004. Green tea reverses endothelial dysfunction in healthy smokers. Heart 90: 1485-1486. 

  16. Griffiths G, Trueman L, Crowther T, Thomas B, Smith B. 2002. Onion-a global benefit to health. Phytother Res 16: 603-615. 

  17. Jakubowski H. 2003. On the health benefit of Allium sp. Nutrition 19: 167-168. 

  18. El-Demerdash FM, Yousef MI, El-Naga NI. 2005. Biochemical study on the hypoglycem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Food Chem Toxicol 43: 57-63. 

  19. Chen JH, Chen H, Tsai SJ, Jen CJ. 2000. Chronic consumption of raw but not boiled Welsh onion juice inhibits rat platelet function. J Nutr 130: 34-37. 

  20. Yamamoto Y, Aoyama S, Hamaguchi N, Rhi GS. 2005. Antioxidantive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of Welch onion on rats fed with a high-fat high-sucrose diet. Biosci Biotechnol Biochem 69: 1311-1317. 

  21. Herrmann K. 1976. Flavonols and flavones in food plants: a review. Int J Food Sci Technol 11: 433-448. 

  22. Cook NC, Samman S. 1996. Flavonoids-Chemistry, metabolism, cardioprotective effects, and dietary sources. J Nutr Biochem 7: 66-76. 

  23. Benowitz NL, Jacob P 3rd, Fong I, Gupta S. 1994. Nicotine metabolic profile in man: comparison of cigarette smoking and transdermal nicotine. J Pharmacol Exp Ther 268: 296-303. 

  24. Zhang D, Tao Y, Gao J, Zhang C, Wan S, Chen Y, Huang X, Sun X, Duan S, Schonlau F, Rohdewald P, Zhao B. 2002. Pycnogenol in cigarette filters scavenges free radicals and reduces mutagenicity and toxicity of tobacco smoke in vivo. Toxicol Ind Health 18: 215-224. 

  25. Chen H, Hansen MJ, Jones JE, Vlahos R, Bozinovski S, Anderson GP, Morris MJ. 2006. Cigarette smoke exposure reprograms the hypothalamic neuropeptide Y axis to promote weight loss. Am J Respir Crit Care Med 173: 1248-1254. 

  26. Chiolero A, Jacot-Sadowski I, Faeh D, Paccaud F, Cornuz J. 2007. Association of cigarettes smoked daily with obesity in a general adult population. Obesity 15: 1311-1318. 

  27. Kim SK, Kim MK. 2004. Effect of dried powders or ethanol extracts of onion flesh and peel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and antithrombogenic capacities in 16-month-old rats. Korean J Nutr 37: 623-632. 

  28. Freeman DJ, Packard CJ. 1995. Smoking and plasma lipoprotein metabolism. Clin Sci 89: 333-342. 

  29. Steinberg D, Pathasarathy S, Carew TE, Khoo JC, Witztum JL. 1989. Beyond cholesterol. Modifications of low-density lipoprotein that increase its atherogenecity. N Engl J Med 320: 915-924. 

  30. Latha MS, Vijayammal PL, Kurup PA. 1988. Effect of exposure of rats to cigarette smoke on the metabolism of lipids. Atherosclerosis 70: 225-231. 

  31. Kim D, Seo S. 1988. Effect of drinking and smoking on AST and ALT activities. Korean J Prev Med 21: 329-339. 

  32. El-Zayadi AR. 2006. Heavy smoking and liver. World J Gastroenterol 12: 6098-6101. 

  33. Kim J, Seo Y, Noh SK, Cha YJ. 2010. A concentrated onion extract lowers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Korean J Food Preserv 17: 398-404. 

  34. Shin HK, Seo YJ, Kim JY, Kim CS, Noh SK. 2007. Onion favorably affects serum markers of ethanol-induced fatty liver in rats. Korean J Food Preserv 14: 662-668. 

  35. Sheo HJ, Jung DL. 1997. The effects of onion juice on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64-1172. 

  36. Nam KH, Baik HW, Choi TY, Yoon SG, Park SW, Joung H. 2007.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onion on the lipid profiles in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Nutr 40: 242-248. 

  37. Kumari K, Augusti KT. 2007. Lipid lowering effect of S-methyl cysteine sulfoxide from Allium cepa Linn in high cholesterol diet fed rats. J Ethnopharmacol 109: 367-371. 

  38. Juhel C, Armand M, Pafumi Y, Rosier C, Vandermander J, Lairon D. 2000. Green tea extract (AR25) inhibits lipolysis of triglycerides in gastric and duodenal medium in vitro. J Nutr Biochem 11: 45-51. 

  39. Shishikura Y, Khokhar S, Murray BS. 2006. Effect of tea polyphenols on emulsification of olive oil in a small intestine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54: 1906-1913. 

  40. Igarashi K, Ohmuma M. 1995. Effects of isorhamnetin, rhamnetin, and quercetin on the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and lipoperoxide in the serum and liver and on the blood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of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59: 595-601. 

  41. Faux SP, Tai T, Thorne D, Xu Y, Breheny D, Gaca M. 2009.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in the biological responses of lung epithelial cells to cigarette smoke. Biomarkers 14 (Suppl 1): 90-96. 

  42. Azuma K, Minami Y, Ippoushi K, Terao J. 2007. Lowering effects of onion intake on oxidative stress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Clin Biochem Nutr 40: 131-140. 

  43. Kim JM. 2012. Effects of onion peel extracts on antioxidant status-in vitro and human intervention study. PhD Dissertation. Gyeongnam University, Gyeongnam,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