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구조 분석
An Impact Analysis on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Affecting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from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2, 2016년, pp.129 - 142  

최진욱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부문별 효과를 평가하여 주민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가설 설정에 대한 적합성과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통해 전체 총 11개의 가설 중 8개의 가설을 PLS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해 거주민의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만족하려면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 대한 부문을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유휴공간 환경적 차원의 재생은 지자체 차원에서 주도해야 하며, 관 민 협업을 통해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효과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해 주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고 이러한 만족이 다시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순환적 효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휴공간의 재생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영향구조모형에 대한 실증연구로 의의가 존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the sectoral effects of the regeneration of the idle space and aims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and structure with the quality of residents'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is study verifies the 8 hypotheses from total 11 ones through the PLS structural equ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과 지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도출하는데 있다. 즉,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만족도가 주민의 삶의 질,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구조 모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또한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독립변수인 각 유휴공간의 도시재생 차원별 특성이 주민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주민 삶의 질은 지역 커뮤니티, 생활 환경개선, 주민 소득증가로 구분하였으며, 지역경제 활성화는 고용창출, 지역관광, 상권 활성화로 평가하도록 구분하였다.
  • 마지막으로 유휴공간 재생사례의 실제 방문자 및 이용자가 느끼는 각 부문별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PLS-SEM 3.0을 통하여 친환경계획요소의 영향계수 및 구조를 도출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향후 유휴공간의 재생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실제 거주민을 대상으로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부문별 효과를 평가하여 주민 삶의 질(지역 커뮤니티, 생활 환경개선, 주민 소득증가)과 지역경제 활성화(지역관광, 상권 활성화, 고용창출)에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체계를 마련하고, 영향구조모형의 검증을 통해 유휴공간 재생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의의가 있다.
  • 이러한 기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변 토지이용, 교통시설 등의 기반시설이 함께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공간 물리적 차원의 재생을 다양성, 연계성, 편리성, 접근성이 유지되는지를 평가하도록 구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휴공간 재생사례를 대상으로 평가체계를 이용하여 부문별 특성을 평가하고, 재생에 따른 주민 삶의 질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체계는 앞서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된 체계를 바탕으로 설문을 설계하였다.
  • 0을 통하여 친환경계획요소의 영향계수 및 구조를 도출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향후 유휴공간의 재생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즉, 사용된 구성개념과 측정문항에 대한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을 검증해야 한다[27]. 이러한 단계별 타당성 검증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설정한 모형이 전체적으로 타당한지 판별하기로 한다.
  •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유휴공간은 형태 및 장소가 다양하여 자료구득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적은 표본수의 한계를 보완하고 다양한 지표 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구조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과 지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도출하는데 있다. 즉,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만족도가 주민의 삶의 질,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구조 모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어떤 시설이 필요한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도시의 거점(foothold) 또는 촉매(catalyst)역할의 시설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도시의 자연생태 자원의 보존과 보호, 기존 도시 시설의 연계와 활용, 다양한 도시자원 활용, 도시민의 생활 욕구 충족 등이 가능해야 하며, 사회·경제·문화적 파급효과 유발이 가능해야 한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이 강조하는 것은? 많은 도시들은 한정된 공간과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다양한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다. 특히 도시의 친인간적, 친환경적 측면을 강조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을 통해 지속가능한 현대 도시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1].
도시차원의 물리적 측면과 도시재생의 파급효과가 가지는 영향관계를 통해 종합적인 도시재생의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 구체적으로 도시재생과 유휴공간의 관계를 밝히는 관련 연구는 도시차원의 물리적 측면이 도시재생의 파급효과와 가지는 영향관계를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도시재생은 물리적 측면 이외의 경제, 사회, 문화, 환경적인 정성적인 측면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구축된 자료의 영향관계를 통해 종합적인 도시재생의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이교선, 친환경 인증 계획요소가 공동주택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 하미경, 김아현, 이효창,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3호, pp.205-216, 2013. 

  3. 최성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철도폐선부지의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 김연진, "유휴공간의 문화적 활용의 의의와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정책논총, 제21권, pp.185-207, 2009. 

  5. 박선미, 유휴공간의 역사, 문화성을 활용한 콘텐츠와 방안_신안 증도 폐염전 및 소금창고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 김현주,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7. 김해천,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6권, 제3호, pp.1-22, 2013. 

  8. 도시재생사업단, "한국 도시쇠퇴의 실태와 특성," 토론회 자료, 2010. 

  9. 이왕건, 박태선, 박정은, 류태희, 이유리,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10.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 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6호, pp.103-112, 2011. 

  11. 김기홍, "지방도시 도심 분석과 도시재생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2007. 

  12. 강동진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산업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57-178, 2010. 

  13. 서기영, 이상욱, "폐교시설활용의 실태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청소년수련원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1-21, 2011. 

  14. 임유경, 근린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2012. 

  15. 김세영, 이재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제3호, pp.17-29, 2014. 

  16. 정민채, 역사문화유적지의 교육성.브랜드가치.선택속성이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이금실, 이형룡, "하드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축제참가객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충남보령 머드축제 참가객을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제25권, 제6호, pp.237-253, 2011. 

  18. 신은주, 이영선,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아시아마케팅저널, 제14권, 제2호, pp.177-207, 2012. 

  19. 현진, 강신겸, "문화소비성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시설의 관객 세분화,"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제16권, 제1호, pp.79-101, 2013. 

  20. 장혜원, 문화관광자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1. 차민경, 권상희, "공연예술 소비자의 소셜미디어 가치사슬과 문화자본 형성 구조 연구-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4호, pp.219-261, 2013. 

  22. 김지영, 유진형, 김철중, "도시재생 관점에서 바라보는 유휴공간 활성화 방향 연구-고가하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8권, 제1호, pp.75-83, 2013. 

  23. 박은영,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206-217, 2009. 

  24. 유일, 김소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의도 영향요인 및 인과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198-212, 2013. 

  25.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1998. 

  26. A. Rai, R. Patnayakuni, and N. Seth,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MIS Quarterly, Vol.30, No.2, 2006. 

  27. 황중만, 이주형, "친환경 계획요소가 초고층 복합주거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438-450, 2014. 

  28. 유재갑, 대학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9. C. R. Fornell and D. F. Larcker, "Stur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30. 송호창, 테크노파크 기업지원성과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성과영향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1. D. Barclay, R. Thompson, and C. Higgins,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1981. 

  32. R. Patnayakuni, A. Rai, and N. Seth,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