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근로자의 금연의도 영향요인: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Factors Affect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of Female Worker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2014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4, 2016년, pp.352 - 361  

장혜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한송이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in female workers. Methods: This study was secondary analys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4 with the subjects of 2,007 female work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x^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금연행위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흡연 관련 특성, 건강행위 관련 특성 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여성 근로자의 금연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금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 근로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여성 근로자의 금연율을 높이기 위해 수행된 2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그 결과 흡연량, 금연시도 여부, 수면시간, 만성질환 유무, 우울감, 체중조절경험, 체형인식이 여성 근로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여성 근로자 중 현재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의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흡연 여성 근로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시행된 2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여성 근로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은 무엇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인가? 흡연은 폐암을 비롯한 각종 암과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흡연 관련 질환에 더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흡연은 남성흡연과는 다른 여성 고유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자궁 외 임신, 조산아 출산 등 임신과 양육에 따른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Schultze, Kurz, Stümpflen, & Hafner, 2016; Seo, 2011; Song & Kim, 2008; Suh, 2007) 여성 흡연율 감소에 대한 방안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여성의 경우 사회 경제적 수준을 반영한 좀 더 세분화된 금연 관련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는 이유는? 대상자의 경제적 수준을 살펴보면 월 평균 수입이 200만원이하인 경우가 약 50%정도를 차지하였고, 수입이 낮은 경우에 수입이 많은 경우보다 금연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Yeon et al., 2012)에서 수입이 금연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과 상이한 결과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남성에 비해 경제적 수준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성의 경우 사회 경제적 수준을 반영한 좀 더 세분화된 금연 관련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성인여성 흡연율의 특징은? 하지만, 국내 성인여성 흡연율의 특징을 살펴보면 20대의 경우 9.1%로 전 연령 중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으며, 30대의 경우도 6.9%로 국내 성인여성 평균 흡연율 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젊은 여성의 흡연율이 높고, 흡연 시작 연령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향후 여성 흡연율의 증가가 예상된다 (MHW, 2015). 또한 여성은 흡연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 때문에 흡연사실을 숨기려하는 경향이 있으며(Seo, 2011), 니코틴 대사산물인 코티닌 수치를 활용한 흡연율보다 자가보고형 설문조사를 활용한 흡연율이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H. R.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community-dwelling male adult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6(4), 364-371.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4.364 

  2. Choi, E. J., Seo, M. K., Kim, D. J., Roh, J. M., Seo, K. H., & Park, S. W. (2009). Women's use of tobacco and alcohol and countermeasur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 DiClemente, C. C., Prochaska, J. O., Fairhurst, S. K., Velicer, W. F., Velasquez, M. M., & Rossi, J. S. (1991).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2), 295. 

  4. Do, E. S., & Seo, Y. S. (2014).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elderly smokers following a stroke.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1), 48-56. 

  5. Ha, Y. M., Park, K. S., Choi, H. O., & Yang, S. K. (2016). Self-efficacy and preparation of smoking cessation in service and sales woman smokers working in department stor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3), 168-176. http://dx.doi.org/10.5807/kjohn.2016.25.3.168 

  6. Kim, H. D., Lee, S. E., Kim, C. S., & Lee, K. G. (2008). The study of difference in physical fitness,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smoking habits in premenoposal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3(2), 923-932. 

  7. Kim, J. S., Yu, J. O., & Kim, M. S. (2012).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3, 358-365. 

  8. Kim, O. S., Kim, A. J., Kim, S. W., & Baik, S. H. (2001). The effects of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y among unmarried woman smok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3(4), 509-516. 

  9. Kim, Y. K., Cho, Y. G., Kang, J. H., Park, H. A., Kim, K. W., Hur, Y. I., et al. (2015). Weight control methods related to cotinineverified smoking among Korean adult wome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6(2), 72-81. 

  10. Kim, Y. S., & Jo, H. S. (2008). Smoking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of female smokers from public health center in Inche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3), 125-138.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urrent issues of chronic diseases, 2015. Retrieved October 1, 2016, from http://cdc.go.kr/CDC/cms/content/mobile/24/65024_view.html 

  12. Lee, Y. M. (2016).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related factors in current smokers diagnosed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1(2), 165-173. http://dx.doi.org/10.21032/jhis.2016.41.2.165 

  13. Marques-Vidal, P., Melich-Cerveira, J., Paccaud, F., Waeber, G., Vollenweider, P., & Cornuz, J. (2011).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ifficulty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Switzerland.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11, 227. http://dx.doi.org/10.1186/1471-2458-11-227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2). Retrieved October 1, 2016,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5. OECD. (2015). Health at a glance 2015: OECD indicators. Retrieved October 1, 2016, from http://www.keepeek.com/Digital-Asset-Management/oecd/social-issues-migration-health/health-at-a-glance-2015/tobacco-consumption-among-adults_health_glance-2015-16-en#.WC8rbbD_paQ#page1 

  16. Oh, H., Kim, S. B., & Huh, J. H. (2016).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smoking related behavior of adolescents: An analysi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30(1), 29-46. 

  17. Oncken, C., Prestwood, K., Kleppinger, A., Wang, Y., Cooney, J., & Raisz, L. (2006). Impact of smoking cess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Women's Health, 15, 1141-1150. 

  18. Park, K. Y. (2014).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woman smo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3), 253-263.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3.253 

  19. Prochaska, J. O., & Velicer, W. F. (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1), 38-48. 

  20. Ryu, S. Y., Shin, J. H., Kang, M. G., & Park, J.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male smokers in 13 communities in Honam region of Korea: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2), 75-85. 

  21. Schroeder, S. A. (2005). What to do with a patient who smok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4, 482-487. 

  22. Schultze, A., Kurz, H., Stumpflen, I., & Hafner, E. (2016). Smoking prevalence among pregnant women from 2007 to 2012 at a tertiary-care hospital.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75(6), 833-840. 

  23. Seo, M. K. (2011). Women's smoking behavior: Factors and policy option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172, 59-67. 

  24. Song, H. R., & Kim, C. H. (2008). Epidemiology of the smokingrelated disea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9(8), 563-571. 

  25. Song, T. M., Lee, J. Y., & Cho, K. S. (2008).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new en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2), 19-30. 

  26. Statistics Korea. (2014). Social survey. Retrieved October 1, 2016,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S14HE032R&vw_cdMT_ZTITLE&list_idD215_2014&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7. Suh, K. H. (2007). Updates in the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Korean wo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4), 695-713. 

  28. Yeon, J. W., Kim, H., Lee, K., Chang, S., Choi, H., Ham, E., et al. (2012).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 stage to quit smoking in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377-384. 

  29. Yoon, Y. M., Yang, E. K., & Shin, S. R. (2012). Influencing factors o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f adult mal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4(5), 520-5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