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의 건강관리 경험
Health Management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Severe Congenital Heart Disea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659 - 671  

황지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채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증 선천성 심장병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 전인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다. 본 연구는 한국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의 건강관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고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범주와 12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들은 자신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하였다. 그러나 심장 기능, 자아정체성,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받으며 부분적인 건강관리를 실천하고 있었다.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들은 신체적인 제한이나 주변의 차별적인 시선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지만, 질병정보 관리, 또래와의 동질성 추구, 자신의 질병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을 통해 정상화를 이루려고 노력하였다.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로는 질병지식과 정신건강 내용을 선호하였고, 청소년 캠프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달방식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의 건강한 성인기로의 전환을 도울 수 있는 건강관리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e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is a chronic disease requiring continuous and holistic health management to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This study explored the health management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severe CHDs in Korea. On the basis of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youths, f...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체성 혼미란?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은 청소년기의 특징인데, 대부분의 참여자는 정체성 혼미를 경험하고 있었다. 정체성 혼미는 자신의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해본적이 없으므로 확고한 미래지향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18]. 본 연구에서 대다수 참여자도 건강관리 대신 게임이나 핸드폰을 하였고, 귀찮고 의지가 약하고 게으름 때문에 건강관리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이 성인 환자 멘토링을 선택한 이유는? 또한, 일대일로 간호사 또는 의사가 좀 더 세심히 챙겨주고, 운동 등을 격려하는 문자발송을 통한 주기적인 건강관리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진술하였다. 성인 환자 멘토링을 선택한 이유는 직업을 포함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미래의 자신의 역할 모델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참여자 9는 “지금 안 좋은 애들한테 말해 주면 더 ‘아 저 사람도 저렇게 살아왔는데, 나도 이제 저렇게 될 수 있겠구나.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 참여자에게 물어본 주요 면담 질문은? 주요 면담 질문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넘어오면서 건강관리를 어떻게 하였나요?’, ‘앞으로 성인으로 성장하며 건강관리를 어떻게 할 건가요?’, ‘자신의 건강관리에 도움 또는 방해되는 것이 있나요?’,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청소년을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필요한 내용은 무엇일까요?’,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청소년을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어떤 방법으로 운영되면 좋을까요?’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ttps://www.heart.or.kr/Home/noticeDetail?nBoardIdx3100&&strNBoardTypeD02, 2020.8.17. 

  2. Z. Mandalenakis, A. Rosengren, K. Skoglund, G. Lappas, P. Eriksson, and M. Dellborg, "Survivorship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in Sweden," JAMA Internal Medicine, Vol.177, No.2, pp.224-230, 2017. 

  3. GBD 2017 Congenital Heart Disease Collaborator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congenital heart disease, 1990- 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Lancet Child & Adolescent Health, Vol.4, No.3, pp.185-200, 2020. 

  4. A. Abda, M. E. Bolduc, A. Tsimicalis, J. Rennick, D. Vatcher, and M. Brossard-Racine, "Psychosocial outcom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evere congenital heart defe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44, No.4, pp.463-477, 2019. 

  5. 강이석,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관리,"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제49권, 제9호, pp.937-945, 2006. 

  6. C. W. Chen, Y. C. Chen, M. Y. Chen, J. K. Wang, W. J. Su, and H. L. Wang, "Health-promoting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41, No.6, pp.602-609, 2007. 

  7. C. Sable, E. Foster, K. Uzark, K. Bjornsen, M. M. Canobbio, H. M. Connolly, T. P. Graham, M. Z. Gurvitz, A. Kovacs, A. K. Meadows, G. J. Reid, J. G. Reiss, K. N. Rosenbaum, P. J. Sagerman, A. Saidi, R. Schonberg, S. Shah, E. Tong, and R. G. Williams, "Best practices in managing transition to adulthood for adolesc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the transition process and medical and psychosocial issue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Vol.123, No.13, pp.1454-1485, 2011. 

  8. https://www.healthypeople.gov/2020/topicsobjectives/topic/Adolescent-Health#_edn2, 2020.8.17. 

  9. C. E. Holbein, G. R. Veldtman, P. Moons, A. H. Kovacs, K. Luyckx, S. Apers, S. Chidambarathanu, A. Soufi, K. Eriksen, J. L. Jackson, J. Enomoto, S. M. Fernandes, B. Johansson, L. Alday, M. Dellborg, M. Berghammer, S. Menahem, M. Caruana, S. Kutty, A. S. Mackie, C. Thomet, W. Budts, K. White, M. A. Sluman, E. Callus, S. C. Cook, P. Khairy, and A. Cedars, "Perceived health mediates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 Fontan circul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Vol.124, No.1, pp.144-150, 2019. 

  10. K. Dulfer, N. Duppen, N. A. Blom, A. P. J. van Dijk, W. A. Helbing, F. C. Verhulst, and E. M. W. J. Utens,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sports enjoyment and leisure-time spending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the moder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 and disease knowledge," Congenital Heart Disease, Vol.9, No.5, pp.415-423, 2014. 

  11. A. S. Mackie, G. R. Rempel, A. H. Kovacs, M. Kaufman, K. N. Rankin, A. Jelen, M. Yaskina, R. Sananes, E. Oechslin, D. Dragieva, S. Mustafa, E. Williams, M. Schuh, C. Manlhiot, S. J. Anthony, J. Magill-Evans, D. Nicholas, and B. W. McCrindle, "Transition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71, No.16, pp.1768-1777, 2018. 

  12. S. Lee, J. Lee, and J. Y. Choi, "The effect of a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Vol.16, No.4, pp.290-298, 2017. 

  13. K. N. Lopez, M. Karlsten, F. B. De Nigris, J. King, K. Salciccioli, A. Jiang, A. Marelli, A. H. Kovacs, M. Fordis, and D. Thompson, "Understanding age-based transition needs: perspectives from adolescents and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ongenital Heart Disease, Vol.10, No.6, pp.561-571, 2015. 

  14. M. Sandelowski,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23, No.4, pp.334-340, 2000. 

  15. U. H. Graneheim and B. Lundma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Vol.24, No.2, pp.105-112, 2004. 

  16. J. I. E. Hoffman and S. Kaplan, "The incidence of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39, No.12, pp.1890-1900, 2002. 

  17. M. Sandelowski,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8, No.3, pp.27-37, 1986. 

  18. J. Adelson,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Wiley & Sons, 1980. 

  19. E. Foster, T. P. Graham, D. J. Driscoll, G. J. Reid, J. G. Reiss, I. A. Russell, M. Sermer, S. C. Siu, K. Uzark, R. G. Williams, and G. D. Webb, "Task force 2: special health care needs of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37, No.5, pp.1176-1183, 2001. 

  20. L. Kendall, R. J. P. Lewin, J. M. Parsons, G. R. Veldtman, J. Quirk, and G. E. Hardma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perceived state of health in adolescents with congenital cardiac disease attending paediatric cardiologic clinics," Cardiology in the Young, Vol.11, No.4, pp.431-438, 2001. 

  21. C. A. Williams, L. Gowing, R. Horn, and A. G. Stuart, "A survey of exercise advice and recommendations in United Kingdom paediatric cardiac clinics," Cardiology in the Young, Vol.27, No.5, pp.951-956, 2017. 

  22. M. L. O'Byrne, M. G. McBride, S. Paridon, and E. Goldmuntz, "Association of habitu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in survivors of congenital heart surgery: a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etralogy of Fallot,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and Fontan palliation," World Journal for Pediatric and Congenital Heart Surgery, Vol.9, No.2, pp.177-184, 2018. 

  23. R. L. Knowles, V. Tadic, A. Hogan, C. Bull, J. S. Rahi, and C. Dezateux, "Self-reported health experiences of children living with congenital heart defects: including patient-reported outcomes in a national cohort study," PLoS ONE, Vol.11, No.8, p.e0159326, 2016. 

  24. 이선희, 김소선, "복잡 심기형을 가진 환자의 청소년기 삶,"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3호, pp.411-422, 2010. 

  25. A. H. Kovacs and E. M. Utens, "More than just the heart: transition and psychosocial issues in adult congenital heart disease," Cardiology Clinics, Vol.33, No.4, pp.625-634, 2015. 

  26. J. D. Monti, J. L. Jackson, and K. Vannatta,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living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oping, stress reactivity, and emotional function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Vol.25, No.4, pp.441-451, 2018. 

  27. C. W. Chen, W. J. Su, Y. T. Chiang, Y. M. Shu, and P. Moons, "Healthcare needs of adolesc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transitioning into adulthood: a Delphi survey of patients, par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Vol.16, No.2, pp.125-13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