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연구의 패션상품 평가속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Fashion Product Evaluation Attribut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0 no.6, 2016년, pp.1150 - 1163  

이정우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  김미영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akes use of meta-analysis to statistically integrate the quantitative results of individual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on purchase;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s the effect siz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This study was based on 24 individual studies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다양한 결과는 각 개별연구에서 사용된 여러 가지 요인들 즉, 패션상품의 종류와 연구대상자의 특성 등에서 오는 결과로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연구에 사용된 상품의 종류나 연구대상자의 특성 등 차이를 고려하여 패션상품 평가속성의 전체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진행하고 중재변인에 따른 평가속성의 전체효과 크기와 차이를 통해 평가속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과 상품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 사용된 패션상품의 속성별 효과크기를 밝히고, 패션상품의 속성들을 물리적 특성에 따라 내재적 평가속성과 외재적 평가속성으로 범주화하여 범주에 따른 평가속성의 효과크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메타분석연구는 개별연구들을 종합하여 통합적 이론을 추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정 개념이나 변인에 대한 연구가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류학 분야에서 오랜 시간 연구되어온 패션상품 평가속성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상품구매 시 평가기준이 되는 패션상품의 평가속성은 구매를 결정짓는 평가요인 중 하나로 상품 자체에서 결정되는 내재적 평가속성과 상품 외적으로 결정되는 외재적 평가속성이 함께 포함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연구에 사용된 상품의 종류나 연구대상자의 특성 등 차이를 고려하여 패션상품 평가속성의 전체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진행하고 중재변인에 따른 평가속성의 전체효과 크기와 차이를 통해 평가속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과 상품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 사용된 패션상품의 속성별 효과크기를 밝히고, 패션상품의 속성들을 물리적 특성에 따라 내재적 평가속성과 외재적 평가속성으로 범주화하여 범주에 따른 평가속성의 효과크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외에도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출판연도에 따른 평가속성의 효과크기를 밝혀 연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평가속성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로 기존에 다양하게 연구되었던 평가속성에 대한 효과크기와 중재변인의 영향력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패션상품을 대상으로 한 개별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한 연구로 각 개별연구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패션상품의 평가속성이 구매에 미친 영향력을 산술적으로 통합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의류학 분야의 연구들 중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상품의 평가속성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Cooper et al.
  • 본 연구에서는 패션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상품 속성의 효과크기를 밝히고자 국내에서 발표된 개별연구들의 양적 연구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학술정보원(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과 국회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발행된 학회지 게재논문 및 석 · 박사 학위논문 등으로, 해당 자료는 학술지 검색엔진에서 제공하는 검색창을 통해 수집하였다.
  • 또한 기존 연구에 사용된 패션상품의 속성별 효과크기를 밝히고, 패션상품의 속성들을 물리적 특성에 따라 내재적 평가속성과 외재적 평가속성으로 범주화하여 범주에 따른 평가속성의 효과크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외에도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출판연도에 따른 평가속성의 효과크기를 밝혀 연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평가속성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메타분석연구는 방법의 특성상 포괄적인 내용보다 특정 변수나 개념을 다루는 연구에 더 적합하다(Lee & Yu,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류학 분야에서 많이 다루어진 패션상품의 평가속성을 주제로 그 효과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Cooper et al.
  • 또한 Cohen(1988)이 제안한 해석기준에 따르면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에 가격, 독특성, 심미성, 유행성이, 큰 효과보다 조금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에 다양성, 독창성, 브랜드 이미지, 상징성, 표현성, 통합속성이 포함되었고, 유의한 속성들은 상품 자체의 물리적인 부분에 의해 결정되는 내재적 속성과 물리적인 부분이 아닌 외부에 의해 결정되는 외재적 속성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내용들을 범주화하고자 패션상품 평가속성을 내재적 평가속성과 외재적 평가속성으로 분류하여 두 평가속성의 효과크기를 비교하는 분석을 재진행하였다. 그 결과 내재적 평가속성이 .
  •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연구자의 주관적 서술로 결과를 종합하는 화술적 종합법(Narrative Syntheses)과는 달리 메타분석은 효과크기(Effect Size)를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종합함으로써 관심변수의 효과크기와 방향을 알려준다(Jang& Shin, 2011). 즉 개별연구들을 종합하여 해당 변수의 효과가 얼마만큼의 크기인지와 그 효과의 방향이 부정인지 긍정인지를 알려주게 된다. 효과크기란 메타분석에서 사용되는 분석단위로 변수 간의 관계를 표현한 관계규모의 지표를 말한다.

가설 설정

  • 메타분석에서는 사례수가 많은 연구의 효과크기가 사례수가 적은 연구보다 더 정확하다고 가정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사례수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효과크기를 계산하고자 Hedges and Olkin(1985)의 방법을 활용하였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분석이란 무엇인가? 이처럼 다양한 개별연구들을 양적으로 통합하는 강력한 도구로는 메타분석이 있다(Cho, 2011). 메타분석이란 각 연구물에 설정된 다양한 설계를 고려하여 개별연구들을 계량적으로 통합하는 통계분석방법으로 메타분석으로 종합된 결과는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다(Glass, 1976). 최근 메타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국내 연구들의 결과를 통합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Ha, 2010; Je etal.
패션상품의 평가속성들을 내재적, 외재적 속성으로 어떻게 분류 할 수 있는가? 따라서 기존에 연구들에서 사용된 패션상품의 평가속성들을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으로 분류를 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심미성, 기능성, 독특성, 패션성, 품질, 실용성, 표현성, 스타일, 외형, 편안함, 봉제상태 등은 패션상품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속성들로 내재적 평가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고, 가격, 상표, 브랜드 이미지, A/S, 상징성, 다양성 등의 속성들은 패션상품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특성이 아니고 외적으로 부가되는 비본질적 속성으로 외재적 평가속성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Table 1).
패션상품의 평가속성엔 무엇이 포함되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류학 분야에서 오랜 시간 연구되어온 패션상품 평가속성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상품구매 시 평가기준이 되는 패션상품의 평가속성은 구매를 결정짓는 평가요인 중 하나로 상품 자체에서 결정되는 내재적 평가속성과 상품 외적으로 결정되는 외재적 평가속성이 함께 포함된다. 패션상품의 내재적 평가속성에는 상품 자체에 대한 아름다움이나 기능과 관련된 품질 등이, 외재적 평가속성에는 상품가격이나 상표 등이 포함되는데,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속성들이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Bang, 2015; Jeon, 2014; Jung, 2011; Kim, 2003; Kim,2009; Kim, 2014;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Baek, S. H. (2007). The effect on consumer behavior to purchase though involvement and product familiarity-The focus on the golf-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 Bang, J. M. (2015). The effects of product and store attributes on planned and impulse buying behavior in lifestyle sho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3.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1st ed.). Chichester: WILEY. 

  4. Cho, Y. S. (2011). A meta analysis on the effect of word of mouth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5. Choi, M. Y. (1997). The effect of price information cues on the consumer's apparel quality evalu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Choi, L. Y. (2009). A study on the fashion behavior with male's consumption trend tend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7. Choi, Y. J. (2005). A study of comparisons between consumer's impulsive buying of clothing in online and off-line sto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8. Chung, Y. J., Jang, E. Y., & Lee, S. J. (2002). A study on the buying intention and impulse buying of discount store appar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1), 37-52. 

  9.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Cooper, H. M. (2010).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11. Cooper, H., Hedges, L. V., & Valentine, J. C. (Eds.). (2009).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2nd ed.). New York, NY: Russell Sage Foundation. 

  12.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doi:10.1111/j.0006-341X.2000.00455.x 

  13.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doi:10.1177/0887302X9000800202 

  14.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5(10), 3-8. doi:10.3102/0013189X005010003 

  15. Ha, Y. C. (2010). Meta-analysis on the risk factors for fracture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17(2), 105-107. doi.:10.4078/jkra.2010.17.2.105 

  16. Hedges, L. V., & Olkin, I. (1985). Statistical models for meta-analysis (1st ed.). Orlando, FL: Academic Press. 

  17. Heo, N. S.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on the clothing product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action - To home shopping user in Chunche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18. Higgins, J. P., & Green, S. (Eds.). (2008).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hichester: WILEY. 

  19. Hines, J. D., & O'Neal, G. S. (1995). Underlying determinants of clothing quality: The consumers' perspectiv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4), 227-233. doi:10.1177/0887302X9501300403 

  20. Hunter, J. E., & Schmidt, F. L. (2000). Fixed effects vs. random effects meta-analysis models: Implications for cumulative research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8(4), 275-292. doi:10.1111/1468-2389.00156 

  21. Jang, D. H., & Shin, I. S. (2011). Historical development of meta-analysis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4(3), 309-332. 

  22. Je, M. Y., Shin, I. S., & Choi, J. E. (2012).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2), 361-385. 

  23. Jenkins, M. C., & Dickey, L. E. (1976). Consumer types based on evaluative criteria underlying clothing decisions. Family &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4(3), 150-162. doi:10.1177/1077727X7600400301 

  24. Jeon, K. S., & Park, H. J. (2005). The effect of fashion orientation and consumer needs for uniqueness on buying intentions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2), 231-241. 

  25. Jeon, M. J. (2014). A study on the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product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fast fashion collabor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26. Ji, H. K. (2012). Purchase decision factors on clothing in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2), 185-198. 

  27. Ji, H. K. (2013). The influences of price, product and promotion on clothing impulse buying by the internet shopping mall typ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4), 543-553. doi:10.5805/SFTI.2013.15.4.543 

  28. Ju, S. R., & Chung, M. S. (2014). A study on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 and purchasing behavior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for green marketing strateg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 (4), 511-525. doi:10.7741/rjcc.2014.22.4.511 

  29. Jung, M. S. (2011). Relationship among brand equity,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sportswear brands and origi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30. Kwak, H. J., & Kim, H. J. (2013). A meta-analysis of related factors depression of Korea university stud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7), 75-98. 

  31. Kim, E. J. (2014). Purchasing behavior of the latest trendy color bags-Focused on purchase motives, purchasing type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32. Kim, E. Y. (2003). A study on the college women's attittude toward and buying intention of abroad well-known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3. Kim, H. J. (2009). The structural model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Vanity, the internet shopping value, and buying intentions-Focusing on surrogate eCommerce retai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4. Kim, M. Y., & Rhee, E. Y. (1991). A study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3), 321-334. 

  35. Lee, H. K. (2005).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line purchasing intention of commercial jewelry: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shopping malls, and consum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unggi University, Yongin. 

  36. Lee, J. E., Shin, I. S., & Choi, Y. A. (2014).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adventure education in Korea. Asian Journal of Education, 15(3), 149-169. doi:10.15753/aje.2014.15.3.007 

  37. Lee, J., & Yu, H. (2013). Synthesis of primary studies related to clothing involvement by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3), 386-398. doi:10.5850/JKSCT.2013.37.3.386 

  38. Lee, J. Y., Chung, I. J., & Back, J. L. (2014). A meta-analysis on the predictor variables of the school adjustment of youth.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5(2), 1-23. doi:10.5723/KJCS.2014.35.2.1 

  39. Lee, M. A., & Rhee, E. Y. (2009). Structural analysis o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fashion go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755-1767. 

  40. Lee, S. M. (2005). The study on college student consumers' premium brand on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purch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1. Liu, P. (2014).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properties of fast fashion brand and the shopping value on the impulse buying - The mediation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42. Liu, X. X. (2009). A study on the fashion consumer's stor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Focused store's student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43. Nam, H. E., Jin, H. M., & Baik, J. W. (2015). Meta analysis of social worker's factor of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1045-1053. doi:10.5762/KAIS.2015.16.2.1045 

  44. Oh, P. J., & Jung, J. A. (2011).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related fatigue in Korea: 1990-2010.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163-175. 

  45. Olson, J. C., & Jacoby, J. (1972). Cue utilization in the quality perception process. In M. Venkatesan (Ed.), Proceedings of the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pp. 167-179). Chicago, IL: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46. Park, E. J. (199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purchase situation and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 (2), 163-171. 

  47. Park, E. J., & Lee, E. Y. (1982). The factorial structure analysis of the criteria on clothing se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6(2), 49-55. 

  48. Park, H. J. (2013). The antecedents of purchasing fast fashion brand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 (6), 827-843. doi:10.7741/rjcc.2013.21.6.827 

  49. Rao, A. R., & Sieben, W. A. (1992).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price acceptability and the type of information examine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2), 256-270. doi:10.1086/209300 

  50.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641. doi:10.1037/0033-2909.86.3.638 

  51. Ryou, E. J. (1997). Clothing evaluation processes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2. Seo, H. J. (2015). A study of outdoor wear consumers' behavio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3. Sherwood, G. (1999). Meta-synthesis: Merging qualitative studies to develop nursing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3(1), 37-42. 

  54. Suh, M. O. (2011). The review of meta-analysis and research methodology proposed.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9(2), 1-23. 

  55. Song, H. H. (2014). A study on the behavior of mothers in purchasing luxury brands children's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56. Yoo, H. J. (2013). Study on the influence of product quality perception on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llaboration fashion products on home shopping channe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7. Yulia, P. (2005). Comparative research o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Russia and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58. Yum, M. J. (2009).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and impulse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product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Focusing on stimulus factors of price and va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