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실조와 증형간 연관성 연구: 한열, 담음, 음허, 노권 및 네이메헨 설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reathing Disorders and Pathological Patterns Based on the Cold-Heat, Phlegm-, Yin Deficiency-, Lao Juan (勞倦)-Pattern Questionnaires and the Nijmegen Questionnaire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7 no.4, 2016년, pp.215 - 221  

홍한나 (경희대학교 학과간협동과정 한방인체정보의학과) ,  오환섭 (경희대학교 학과간협동과정 한방인체정보의학과) ,  박영배 (경희대학교 학과간협동과정 한방인체정보의학과) ,  박영재 (경희대학교 학과간협동과정 한방인체정보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patterns and hyperventilation syndrome, using pathological pattern and Nijmegen questionnaires. Methods: 33 healthy adul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Cold-Heat-, Phlegm-, Yin deficiency, and Lao Juan (勞倦)-pat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이러한 문헌적 고찰 연구에 비해, 정량화된 변증 도구를 활용한 변증과 과호흡간의 연관성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과호흡과 변증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과호흡을 한의학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과호흡을 한의학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네이메헌 설문지로 과호흡의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와 각각의 변증 설문의 점수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네이메헌 설문과 변증 설문은 단순히 하나의 구성요인으로 되어 있지 않고, 여러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 네이메헌 설문과 변증 설문은 단순히 하나의 구성요인으로 되어 있지 않고, 여러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인간 상관분석을 통해 다각도에서 입체적으로 과호흡과 변증 간의 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호흡이란 무엇인가 우리 몸은 정상적인 호흡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류가 이루어지는데, 어떤 원인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배출되어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이 정상범위보다 저하된 상태를 과호흡이라 한다1). 과호흡은 공황장애와 호흡기계 질환뿐만 아니라2),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나 피로에서도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3).
과호흡의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 몸은 정상적인 호흡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류가 이루어지는데, 어떤 원인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배출되어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이 정상범위보다 저하된 상태를 과호흡이라 한다1). 과호흡은 공황장애와 호흡기계 질환뿐만 아니라2),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나 피로에서도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3). 따라서 과호흡이 여러 질환 및 증상들과 연관있음을 감안하면, 과호흡을 평가하고 적절히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氣)와 호흡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한다고 본 이유는 무엇인가 한의학적 관점에서 ‘氣爲呼吸之根’이라 하여, 기(氣)에 의해 호흡이 발현된다고 보았다. 또한 호흡이 원활해야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청기(淸氣)가 수곡(水穀)의 정미(精微)와 결합하여 새로운 에너지원인 종기(宗氣)가 형성된다고 본다. 따라서 기(氣)와 호흡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gaerts K, Hubin M, Diest IV, Peuter SD, Houdenhove BV, Wambeke PV, Crombez G, Bergh OV. Hyperventi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the role of coping strategie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2007;45:2679-90. 

  2. Gorman JM, Papp LA, Coplan JD, Martinez JM, Lennon S, Goetz RR, Ross D, Klein DF. Anxiogenic effects of CO2 and hyperventilation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94;151(4):547-53. 

  3. Ristiniemi H, Perski A, Lyskov E, Emtner M. Hyperventilation and exhaustion syndrom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4;28:657-64. 

  4. Vansteenkiste J, Rochette F, Demedts M. Diagnostic tests of hyperventilation syndrom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1991;4:393-9. 

  5. Kang BG, Kim SY, Lee JS, Kim NS, Ko MM, Kwon SH, Bang OS. Weighting of stroke pattern identification using an AHP. Journal of physiology and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1;25(1):149-53. 

  6. Park WH, Cha YY, Song YK, Park TY, Kim HJ, Chung WS, Hwang EH, Shin SW, Jang BH, Ko SG. The review on the study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Focused on Korean research papers.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4;24(2):83-93. 

  7. Lee JH, Yoo SY, Lee JM, Park YJ, Park YB.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dema index of body composition and pathologic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2;16(1):27-34. 

  8. Kim MW, Ko YS, Lee JH, Chung WS, Shin BC, Chan YY, Go HY, Sun SH, Jeon CY, Jang BH, Song YK, Ko SG. The analysis of pattern identification of low back pain, which is used in thesis both in Korean and China.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3;23(2):85-94. 

  9. Heo Jun. Dongeui bogam. Shinwoomunhwasa. 2003: (1):90-131. 

  10. Dept. of biofunctional medicine and diagnost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Biofunctional medicine. 1stedition. Seoul:Gunja publishing company. 2008:429-39. 

  11. Ok JM, Lim YW, Park YJ, Park YB. Development of the Nijmegen questionnaire in Korean: Cross-cultural translations and verification of face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5; 19(3):133-40. 

  12. Ryu HH, Lee HJ, Kim HG, Kim J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old-heat pattern questionnair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0;16(6):663-7. 

  13. Park YJ, Park JS, Kim MY,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Phlegm pattern questionnair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1;17(9): 851-8. 

  14. Park YJ, Cho SW, Lee BH, Park Y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Yin deficiency scal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3;19(1):50-6. 

  15. Yoon KJ, Park YB, Park YJ, Kim M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aoJuan questionnaire.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5;21(7):500-6. 

  16. Chalder T, Berelowitz G, Pawlikowska T, Watts L, Wessely S, Wright D, Wallace EP.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3;37(2):147-53. 

  17. Han SS, Lee SC. Nursing and health statistical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company. 2012:282-94. 

  18. Bae NS, Oh HS, Park YB. Correlation analysis for 9 respiratory indices and the cold and heat sco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9; 12(2):96-106. 

  19. Yoon KJ, Lee SC, Kim MY, Park YB, Park YJ. Analysis of cause and effect structure for Nogwonsa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0;14(1):1-14. 

  20. Lavietes MH, Natelson BH, Cordero DL, Ellis SP, Tapp WN. Does the stressed patient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hyperventilat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996;3(1):70-83. 

  21. Nijs J, Adriaens J, Schuermans D, Buyl R, Vincken W. Breathing re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A pilot study.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2008;24(2):83-94. 

  22. Bass C, Gardner WN. Respiratory and psychiatric abnormalities in chronic symptomatic hyperventilation. British Medical Journal. 1985;290:1387-90. 

  23. Chenivesse C, Similowski T, Bautin N, Fournier C, Robin S, Wallaert B, Perez T. Severely impair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hyperventilation patients: Exploratory data. Respiratory Medicine. 2014;108:517-23. 

  24. Han JN, Stegen K, Valck CD, Clement J, Woestijne KPV. Influence of breathing therapy on complaints, anxiety and breathing pattern in patients with hyperventilation syndrome and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6;41(5):481-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